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콘스탄티누스 9세

색인 콘스탄티누스 9세

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쿠스 또는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그리스어:Κωνσταντίνος Θ΄ Μονομάχος, 1000년 경 ~ 1055년)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재위:1042년-1055년)였.

38 처지: 도나우강, 동서 교회의 분열, 로마노스 3세, 마케도니아 (지역),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미하일 4세, 바실리오스 2세, 그리스의 불, 그리스어, 비잔티움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교황, 노르만인, 트라키아, 페체네그족, 조이 (비잔티움 제국), 총대주교, 콘스탄티누스, 콘스탄티노스 8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에디르네, 키예프 루스, 성상 파괴 운동, 아드리아해, 테오도라 (11세기), 셀주크 제국, 1000년, 1042년, 1043년, 1045년, 1047년, 1048년, 1053년, 1054년, 1055년, 6월 11일, 9월 25일.

도나우강

우 강()은 독일 남부에서 발원하여 루마니아 동쪽 해안을 통해 흑해로 흘러가는 길이 2,860km의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도나우강 · 더보기 »

동서 교회의 분열

동서 교회의 분열(東西 敎會의 分裂)은 기독교 역사상 11세기에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상호 파문으로 분리된 사실을 말. 이에 대해 단일한 기독교 공동체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동방 정교회의 시각과 교황과의 일치로부터 동방 정교회가 이탈한 것으로 이해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시각차이가 오늘날까지도 대립하고 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동서 교회의 분열 · 더보기 »

로마노스 3세

마노스 8세 아르이로스'(그리스어: Ρωμανός Γ΄ Αργυρός, 968년 – 1034년 4월 15일)는 1028년 부터 1034년 4월까지 비잔티움의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로마노스 3세 · 더보기 »

마케도니아 (지역)

리스령, 그 동북쪽의 녹색은 불가리아령 마케도니아는 남유럽 발칸 반도에 있는 지리 · 역사상의 지역을 일컫.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마케도니아 (지역) · 더보기 »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미카엘 1세 케룰라리우스(Μιχαήλ Α΄ Κηρουλάριος) 또는 미카엘 케룰라리오스(1000년경 - 1059년)는 1043년부터 1059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미카엘 케룰라리오스 · 더보기 »

미하일 4세

미하일 4세 주화 미하일 4세 파플라고니아인(그리스어: Μιχαήλ Δ΄ Παφλαγών, 1010년 – 1041년 12월 10일)은 1034년부터 1041년까지 비잔티움의 황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미하일 4세 · 더보기 »

바실리오스 2세

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그리스어: Βασίλειος Β΄ Βουλγαροκτόνος, 958년경 –1025년 12월 15일)는 비잔티움의 황제(재위기간:976년~ 1025년)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바실리오스 2세 · 더보기 »

그리스의 불

리스의 불을 사용하는 비잔티움 해군(11세기) 그리스 화약 또는 그리스의 불()은 비잔티움 제국의 군대에서 사용하던 화기를 말. 이 불은 물로 잘 꺼지지 않았고 수면에서도 불이 계속 타오르는 특성 때문에 비잔티움 해군에 의거해 해전에서 주로 사용되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그리스의 불 · 더보기 »

그리스어

리스어(엘리니카)는 (사멸한 아나톨리아어파를 제외하면) 인도유럽어족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언어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그리스어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기 다음은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티움 제국의 역대 황제들의 목록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교황 · 더보기 »

노르만인

르만족의 점령지는 빨강색으로 표기되었다. 노르만인은 중세시대 스칸디나비아에서부터 유래하여 프랑스 북부지역에 살던 민족으로, 프랑스화된 노르드인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노르만인 · 더보기 »

트라키아

아와 현재의 국경 고대의 트라키아와 그 주변 트라키아(또는 트라키(고대 그리스어로는 트라케), 트라키야()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발칸반도의 남동쪽을 부르는 지명이다. 전통적으로 흑해, 에게 해, 마르마라 해의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져 있는 지역을 말한다. 터키에서는 루멜리(Rumeli)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오늘날 트라키아는 불가리아 남부(북부 트라키야), 그리스 북동부(서부 트라키), 터키의 유럽 영토(동부 트라크야)를 일컫는다. 트라키아의 경계는 시대마다 변화가 있었다. 고대 트라키아(인종상 트라키아인이 살던 곳)는 오늘날 불가리아, 터키령 유럽, 그리스 북동부, 세르비아 동부 일부 지방, 마케도니아 공화국 동부 등지를 포괄하였다. 그 경계선은 북쪽으로는 도나우 강이고, 남쪽으로는 에게 해, 동쪽으로는 흑해와 마르마라 해, 서쪽으로는 바르다르 강, 대 모라바 강이었다. 로마 시대 트라키아 속주는 이보다 작아서, 동쪽으로는 바다를 경계로 삼지만, 북쪽으로는 발칸 산맥까지였으며, 서쪽으로는 메스타 강에 국한되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트라키아 · 더보기 »

페체네그족

1015년 경 동유럽의 지도, 페체네그족의 영토가 표시됨. 페체네그족(불가리아어/러시아어: Печенеги, 그리스어:Πατζινάκοι/Πετσενέγοι, 헝가리어: Besenyő, 라틴어: Расinасае, 터키어: Peçenekler)은 6세기부터 12세기 중앙 아시아와 흑해 북쪽 스텝 지역 연안에 살던 투르크 계열의 유목민족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페체네그족 · 더보기 »

조이 (비잔티움 제국)

조이(978년 경 ~ 1050년)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1028-1050)였으며 1042년에는 동생 테오도라와 함께 비잔티움의 여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조이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총대주교

총대주교(總大主敎, Patriarch)는 유대인들의 가부장(家父長), 씨족장, 부족장을 의미하는 말에서 나와 4세기부터 기독교에서 쓰이기 시작하였으며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로는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5개 주요 교구들의 최고권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총대주교 · 더보기 »

콘스탄티누스

스탄티누스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콘스탄티누스 · 더보기 »

콘스탄티노스 8세

스탄티노스 8세(그리스어: Κωνσταντίνος Η΄, 960년 – 1028년 11월 15일)는 비잔티움의 황제(재위기간:1025년~ 1028년)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콘스탄티노스 8세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스탄티노플의 지도 콘스탄티노플 조감 복원 상상도(그래픽 재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터키의 도시 이스탄불의 옛 이름으로, 로마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바꾸기 전의 원명은 비잔티움()이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 더보기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문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현재의 터키 이스탄불의 로마제국 시절 명칭에서 유래된 직위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더보기 »

에디르네

에디르네()는 터키의 가장 서쪽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에디르네 · 더보기 »

키예프 루스

예프 대공국 또는 키예프 루스()는 880년경부터 12세기 중반까지 현 우크라이나의 키예프를 중심으로 존재한 고대 국가로 동슬라브족들이 구성원들의 주를 이루었.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키예프 루스 · 더보기 »

성상 파괴 운동

성상파괴운동(聖像破壞運動)이란 8-9세기 동방 정교회에서 성화상(이콘) 공경이 금지되고 성상을 파괴한 운동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성상 파괴 운동 · 더보기 »

아드리아해

아드리아 해 아드리아 해()는 지중해 북쪽의 이탈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 사이에 있는 바다이.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아드리아해 · 더보기 »

테오도라 (11세기)

오도라 (980년 - 1056년 8월 31일)는 1042년 언니 조이와 함께 비잔티움의 공동 여제였으며 1055년부터 1056년에는 단독 여제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테오도라 (11세기) · 더보기 »

셀주크 제국

셀주크 제국(터키어: Selçuklular 셀추크룰라르, 페르시아어: سلجوقيان 살주키얀; 아랍어 سلجوق 살주크, 또는 السلاجقة 알살주키야) 또는 셀주크 튀르크는 11세기 중반부터 12세기 중반까지 중앙아시아와 중동 일대를 다스린 수니파 무슬림 왕조를 말. 셀주크 왕조.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셀주크 제국 · 더보기 »

10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00년 · 더보기 »

10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42년 · 더보기 »

104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43년 · 더보기 »

10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45년 · 더보기 »

10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47년 · 더보기 »

10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48년 · 더보기 »

10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53년 · 더보기 »

10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54년 · 더보기 »

10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1055년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6월 11일 · 더보기 »

9월 25일

9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8번째(윤년일 경우 2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콘스탄티누스 9세와 9월 2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콘스탄티노스 9세, 콘스탄티노스 9세 모노마코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