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극초신성

색인 극초신성

NASA의 예술가가 그린 SN 2006gy의 모습. SN 2006gy는 여태껏 관측된 극초신성 중 가장 밝은 것 중 하나이다. 극초신성()은 일반적인 초신성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별의 폭발로 우주에서 가장 격렬한 현상 중 하나이.

36 처지: 리뷰 오브 모던 피직스, 마그네타, 감마선, 감마선 폭발, 밝은 청색변광성, 백색왜성, 볼프–레이에별, 광년, 극대거성, 금속함량, 블랙홀, Ia형 초신성, Ib형 및 Ic형 초신성, II형 초신성, 스펙트럼, 운동 에너지, 은하, 제트 (천문학), 전파, 중성자별, 천체물리학, 초대질량 블랙홀, 초신성, 충격파, 쿼크별, 쌍불안정형 초신성, 쌍생성, 파섹, 위치 에너지, 생태계, 태양, 수소, 성운, 항성질량 블랙홀, SN 1998bw, SN 2006gy.

리뷰 오브 모던 피직스

리뷰 오브 모던 피직스는 미국 물리학회에서 연간 4회 발간되는 학술 저널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리뷰 오브 모던 피직스 · 더보기 »

마그네타

마그네타의 상상도 (붉은선은 자기장선) 마그네타는 매우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는 중성자성의 유형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마그네타 · 더보기 »

감마선

마선(γ선)은 전자기 복사의 강력한 형태로, 방사능 및 전자-양전자 소멸과 같은 핵과정 등에 의해 생성.

새로운!!: 극초신성와 감마선 · 더보기 »

감마선 폭발

량이 큰 항성의 일생. 항성은 가벼운 원소를 무거운 원소로 핵융합 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면서 삶을 유지한다 더이상 핵융합이 불가능해지면 압력이 유지되지 않아 자체 중력으로 인해 항성은 급격히 붕괴하여 블랙홀을 형성한다. 이론적으로, 이 붕괴가 일어날 때 항성의 자전축 방향으로 분출되는 에너지가 감마선 폭발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GRB)이란 멀리 떨어진 은하들에서 관측되는 에너지의 폭발로 인한 감마선의 섬광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감마선 폭발 · 더보기 »

밝은 청색변광성

LBV의 대표적 예인 용골자리 AG.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태양의 150배에 육박한다. 밝은 청색변광성(LBV, Luminous blue variables)은 밝기와 스펙트럼의 변화가 변덕스럽고 그 폭이 크며, 질량이 크고 항성 진화 단계의 후반부를 지나고 있는 항성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밝은 청색변광성 · 더보기 »

백색왜성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시리우스 A와 시리우스 B의 사진. 밝은 시리우스 A의 밑에 희미하고 작은 점처럼 보이는 백색왜성 시리우스 B가 보인다. 백색왜성(白色矮星)은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도달하는 천체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백색왜성 · 더보기 »

볼프–레이에별

볼프-레이에별 WR 124와 그 주위의 M1-67 성운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볼프-레이에별(약칭 WR)은 주계열성이었을 때 질량이 약 20 이상인 별들이 나이를 먹고 진화한 별으로, 초속 2천 킬로미터 이상의 강력한 항성풍을 통해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볼프–레이에별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광년 · 더보기 »

극대거성

청색극대거성, 황색극대거성, 적색초거성, 적색극대거성의 비교. 적색극대거성은 우리 태양계 바깥에 놓여져 있다. 파란색 고리는 해왕성의 궤도를 의미한다. 극대거성(極大巨星)은 매우 큰 질량손실률을 보이는 아주 밝은 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극대거성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금속함량 · 더보기 »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O. Straub, F.H. Vincent, M.A. Abramowicz, E. Gourgoulhon, T. Paumard, ``Modelling the black hole silhouette in Sgr A* with ion tori'',Astron. Astroph 543 (2012) A8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블랙홀 · 더보기 »

Ia형 초신성

Ia형 초신성(Ia形超新星)은 초신성의 하위 범주로, 백색 왜성이 격렬하게 폭발한 결과물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Ia형 초신성 · 더보기 »

Ib형 및 Ic형 초신성

accessdate.

새로운!!: 극초신성와 Ib형 및 Ic형 초신성 · 더보기 »

II형 초신성

대마젤란운에서 발생한 II-P형 초신성 SN 1987A의 팽창하는 잔해. ''NASA 사진.'' II형 초신성()은 무거운 별의 급격한 붕괴와 격렬한 폭발의 결과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II형 초신성 · 더보기 »

스펙트럼

무지개에서 발생하는 스펙트럼 현상. 스펙트럼(spectrum)은 흔히 빛을 프리즘 등의 도구로 색깔에 따라 분해해서 살펴보는 것을 일컫.

새로운!!: 극초신성와 스펙트럼 · 더보기 »

운동 에너지

운동 에너지 (運動-, kinetic energy)는 운동하고 있는 물체 또는 입자가 갖는 에너지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운동 에너지 · 더보기 »

은하

머리털자리의 나선 은하 NGC 4414 은하(銀河)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은하 · 더보기 »

제트 (천문학)

제트()는 천문학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으로, 밀집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방출되는 물질의 흐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제트 (천문학) · 더보기 »

전파

섬네일 전파(電波)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진동수 3KHz부터 3THz까지의 전자기파를 의미.

새로운!!: 극초신성와 전파 · 더보기 »

중성자별

WISE 데이터)도 보인다. 중성자별(中性子-)은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중성자별 · 더보기 »

천체물리학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극초신성와 천체물리학 · 더보기 »

초대질량 블랙홀

의 질량의 수 배 정도 되는 가스 구름이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 쪽으로 가속되고 있다. '''위''': 별을 찢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컨셉 아트. '''아래''': 은하 RX J1242-11에서 별을 먹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보여주는 사진. '''왼쪽''': X-선 사진, '''오른쪽''': 광학 사진.http://chandra.harvard.edu/photo/2004/rxj1242/ Chandra:: Photo Album:: RX J1242-11:: 18 Feb 04 초대질량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초대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극초신성와 초신성 · 더보기 »

충격파

음속폭음. 충격파(衝擊波, 쇼크웨이브)는 진행하는 파동의 한 종류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충격파 · 더보기 »

쿼크별

별()은 별난 별(exotic star)의 일종이며 가설로 존재하는 천체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쿼크별 · 더보기 »

쌍불안정형 초신성

열핵반응(사진에서는 설명되지 않는다)이 뒤따르고 별이 폭발하여 우주공간으로 잔해가 방출된다. 쌍불안정형 초신성(対不安定型超新星, pair-instability supernova)은 원자핵과 고에너지 감마선 사이의 충돌에서 자유전자와 양전자의 쌍생성이 매우 무거운 별의 핵 내부의 열적 압력을 감소시킬 때 발생하는 초신성 폭발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쌍불안정형 초신성 · 더보기 »

쌍생성

쌍생성(pair production)이란 기본입자(주로 전자나 그 외의 보손입자)와 그의 반입자가 생성되는 것을 말. 이는 한 쌍을 생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에너지(적어도 두 입자의 총 정지질량 에너지만큼)가 공급돼야만 가능하고 에너지와 운동량이 보존돼야.

새로운!!: 극초신성와 쌍생성 · 더보기 »

파섹

섹(parsec)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파섹 · 더보기 »

위치 에너지

위치 에너지(퍼텐셜 에너지)는 물리학에서, 물체나 계에 저장되는 에너지로, 보존력에 대한 그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

새로운!!: 극초신성와 위치 에너지 · 더보기 »

생태계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의 좋은 예이다. 생태계(生態系)는 상호작용하는 유기체들과 또 그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주변의 무생물 환경을 묶어서 부르는 말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생태계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태양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수소 · 더보기 »

성운

용골자리 성운의 일부. 성운(星雲) 또는 성무(星霧)은 성간 물질과 수소로 이루어진 구름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성운 · 더보기 »

항성질량 블랙홀

항성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은 무거운 별의 마지막 일생에서 중력붕괴로 인해 생성된 블랙홀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항성질량 블랙홀 · 더보기 »

SN 1998bw

SN 1998bw는 1998년 4월 26일 ESO 184-G82 나선은하에서 발견된 감마선폭발형 초신성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SN 1998bw · 더보기 »

SN 2006gy

SN 2006gy의 폭발의 상상도. SN 2006gy의 밝기 곡선과 Ia, II, SN 1987A의 밝기 곡선. SN 2006gy는 2006년 9월 18일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발견된 매우 강력한 거대 초신성이.

새로운!!: 극초신성와 SN 2006gy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콜랩서, 수축성, 하이퍼노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