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토성의 고리

색인 토성의 고리

시니 탐사선''의 위치에서 토성이 태양을 가릴 때 촬영된 토성의 고리의 총집합(밝기가 과장되었다)이다. G 고리와 E 고리 외곽 사이에서 약 4시 방향 위치에서 지구가 창백한 푸른 점의 형태로 보인다. 라디오파 엄폐를 통해 색을 입혀 만들어진 사진이다. 0.94, 3.6, 13 cm 파장의 라디오 신호가 카시니로부터 고리를 통해 지구로 전송되었다. 신호의 파장과 비슷하거나 큰 크기의 수많은 입자들이 반사하여 각 신호의 감쇠가 일어난다. 보라색(B 고리와 A 고리 내부)은 5 cm 보다 작은 입자가 얼마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모든 신호의 감쇠와 비슷하다. 초록색과 파란색(C 고리와 A 고리 외곽)은 5 cm에서 1 cm보다 작은 입자가 각각 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B 고리의 하얀 영역은 가장 밀도가 높고 크기 추정 용도의 작은 신호를 매우 잘 반사한다. 또다른 증거는 세 고리 모두 미터 단위를 넘나드는 넓은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이저 2호''가 본 고리에 드리운 토성의 그림자. 네 개의 위성과 고리의 테가 보인다. 토성의 고리()는 태양계에서 어떤 행성의 고리보다도 가장 큰 행성 고리계이.

103 처지: 레아 (위성), 로슈 한계, 망원경, 메릴랜드 대학교, 목성의 고리, 미마스, 미마스 (위성), 미국 항공우주국, 갈릴레오 갈릴레이, 밀도파, 버지니아 대학교, 고리의 간극, 보이저 1호, 광역적외선탐사위성, 광학적 깊이, 궤도 공명, 궤도역학, 분점, 규산염, , 대기, 국제천문연맹, 굴절 망원경, 나선은하, 다프니스 (위성), 스피처 우주망원경, 승화 (화학),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자기장, 자외선, 히페리온 (위성),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포에베, 포에베 (위성), 이산화 탄소, 이아페투스 (위성), 적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조석력, 중력, 지구, 창백한 푸른 점, 천문학자, 천왕성, 천왕성의 고리, 카시니-하위헌스, 코넬 대학교,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 판 (위성), 판도라, 판도라 (위성), 유튜브, 유성진, 유성체, 육안, 윌리엄 라셀, 윌리엄 허셜, 파이어니어 11호, 태양, 태양계, 타이탄 (위성), 수산화물, 수소, 영국방송공사, 오베론 (위성), 혜성, 어구전철, 양치기 위성, 행성, 행성의 고리,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헨리 노리스 러셀, 역행 운동, 허블 우주망원경, 허셜 우주망원경, 엔셀라두스, 엄폐, 사투르누스, 산소, 피드백,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플라스마,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 (위성), 프리드리히 베셀, 섭동 (천문학), 성운, 토성, 토성의 위성, 톨린, 소행성,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해왕성의 고리, 야누스 (위성), 암모니아, 아틀라스 (위성), 테티스 (위성), 티타니아 (위성), 시직경, 황도, Ppb.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3 더) »

레아 (위성)

아(Rhea)는 토성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며, 태양계의 위성 중 아홉 번. 레아는 1672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레아 (위성) · 더보기 »

로슈 한계

슈 한계(Roche limit) 혹은 로슈 반지름은 위성이 모행성의 중력에 의한 기조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접근할 수 있. 로슈 한계 안쪽에서는 궤도를 도는 물질이 부서져 원반을 형성하며, 한계 바깥쪽의 물질은 한데 뭉치는 경향이 있. 이 한계는 1848년에 프랑스의 천문학자인 에두아르 로슈(Édouard Roche)가 처음 계산하였.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로슈 한계 · 더보기 »

망원경

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망원경(望遠鏡)은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망원경 · 더보기 »

메릴랜드 대학교

메릴랜드 대학교, 칼리지파크(종종, 메릴랜드 대학교, UMD, UMCP, 칼리지파크 또는 간단히 메릴랜드 라고 불림)는 워싱턴 D.C.외곽의 메릴랜드 주 칼리지파크에 위치한 연구 중심 주립 대학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메릴랜드 대학교 · 더보기 »

목성의 고리

의 고리 주요 구성성분을 보여주는 그림. 단순화를 위해,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같은 궤도를 도는 것으로 나타냈다. 목성의 고리는 목성에 있는 고리를 말하며, 이는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목성의 고리 · 더보기 »

미마스

미마스(Mimas)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미마스 · 더보기 »

미마스 (위성)

미마스(Mimas)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미마스 (위성) · 더보기 »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의 기 미국 항공우주국(美國航空宇宙局)은 미국의 국가 기관으로서 우주 계획 및 장기적인 일반 항공 연구 등을 실행하고 있. 1958년 소비에트 연방의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스푸트니크 충격을 받은 미국은 1958년 7월 29일 NASA를 발족시.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미국 항공우주국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밀도파

밀도파 이론에서 설명하는 나선팔의 개요. 간단한 나선팔 구조를 가진 은하의 시뮬레이션. 은하 자체는 회전하지만 나선팔은 회전하지 않는다. 자세히 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별들이 나선팔 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밀도파(密度波, density wave)란 치아치아오 린과 프랭크 수가 1960년대 중반에 나선은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밀도파 · 더보기 »

버지니아 대학교

버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 약칭 U.Va., UVA)는 미국 버지니아 주 샬러츠빌에 1819년에 토머스 제퍼슨 제 3대 미국 대통령에 의해 설립된 공립 대학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버지니아 대학교 · 더보기 »

고리의 간극

리의 간극은 행성의 고리에서 발견되는 빈틈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고리의 간극 · 더보기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Voyager 1)는 현재까지 작동하고 있는 NASA의 722 kg의 태양계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보이저 1호 · 더보기 »

광역적외선탐사위성

광역적외선탐사위성(廣域赤外線探査衛星,, WISE)은 2009년 12월 14일에 발사된, 미국 항공 우주국 (NASA)의 예산으로 개발된 적외선 천문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광역적외선탐사위성 · 더보기 »

광학적 깊이

광학적 깊이(Optical depth)는 투명도의 측정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광학적 깊이 · 더보기 »

궤도 공명

219px 궤도공명이란 천체역학에서, 공전하는 두 천체가 작은 정수비를 만족하는 공전 주기로 인해 서로에게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중력적 영향을 가할 때 발생.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궤도 공명 · 더보기 »

궤도역학

를 도는 인공위성은 접선 방향 속력과 구심가속도를 가진다. 궤도역학(軌道力學, orbital mechanics) 또는 천체동역학(天體動力學, astrodynamics)은 은 물체의 운동에 천체역학과 탄도학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궤도역학 · 더보기 »

분점

분점(分點, equinox)은 태양이 지나는 길인 황도가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을 말.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분점 · 더보기 »

규산염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각종 규산염들. 규산염(硅酸鹽, Silicate)은 조암 광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광물로 규소와 산소 및 약간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져 있. 일반적으로 녹는점이 높으며, 녹은 것이 냉각할 때 유리로 되기 쉽. 정장석, 흑운모, 석영 등을 포함하며 유리, 도자기, 내화물의 원료로 쓰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규산염 · 더보기 »

사람의 귀 귀는 동물이 소리를 듣는 기관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귀 · 더보기 »

대기

의 모습, 아래에 구름이 보인다 화성의 옅은 대기 대기(大氣, Atmosphere)는 천체의 주위를 대체로 일정하게 둘러싸고 있는 기체층을 말. 별다른 조건없이 '대기'라고 표현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지구 대기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대기 · 더보기 »

국제천문연맹

국제천문연맹(國際天文聯盟)은 천문학계의 국제적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국제천문연맹 · 더보기 »

굴절 망원경

여키스 천문대의 망원경. 굴절 망원경(屈折 望遠鏡)은 렌즈를 이용해서 빛을 모으는 망원경을 말. 보통 2매 이상의 렌즈를 조합하여 빛을 모으고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해서 보여주는데, 망원경의 양 끝이 밀폐된 구조의 경통을 가지므로 반사 망원경에 비해서 안정된 상(像)을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 하지만,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될 때 색수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큰 구경의 렌즈 제작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 렌즈의 구성에 따라 볼록 렌즈 두 개로 되어있는 케플러식 망원경과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로 되어있는 갈릴레이식 망원경이 있.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굴절 망원경 · 더보기 »

나선은하

선은하 중 하나인 바람개비 은하(메시에 101 또는 NGC 5457)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은하 NGC 4414 나선은하(螺旋銀河) 는 1936년에 발표된 에드윈 허블의 저서, 성운의 왕국(The Realm of the Nebulae)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어 허블 순차의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은하의 유형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나선은하 · 더보기 »

다프니스 (위성)

스(임시 명칭 S/2005 S 1)는 토성의 위성으로, A 고리의 킬러 간극에 위치하는 양치기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다프니스 (위성) · 더보기 »

스피처 우주망원경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은 적외선 우주 망원경이며, 미국 항공우주국의 대형 망원경 프로그램(Great Observatories program)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망원경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스피처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승화 (화학)

승화(昇華)는 화학에서 어떤 물질이 액체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현상을 말. 나프탈렌, 아이오딘, 드라이아이스 등이 대표적인 승화물질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승화 (화학) · 더보기 »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공식 명칭 D/1993 F2)은 1992년 7월에 여러 조각으로 분해되어 2년 후에 목성과 충돌한 혜성으로, 두 천체의 충돌은 처음으로 인류가 태양계 천체끼리 충돌하는 모습을 관찰한 사건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슈메이커-레비 제9혜성 · 더보기 »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Johann Gottfried Galle, 1812년 6월 9일 ~ 1910년 7월 10일)는 베를린 천문대 대장으로 재직하며 연구생 하인리히 루이 다레스트와 함께 최초로 해왕성을 육안 관측한 독일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 더보기 »

자기장

자기장(磁氣場, magnetic field)이란 자기력을 매개하는 벡터장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자기장 · 더보기 »

자외선

휴대용 자외선램프 자외선(紫外線, ultraviolet, UV) 혹은 넘보라살 은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보라색 띠에 인접한, 사람의 육안에는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10에서 400나노미터의 파장 영역(750THz)을.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자외선 · 더보기 »

히페리온 (위성)

히페리온(Hyperion)은 윌리엄 크랜치 본드, 조지 필립스 본드, 윌리엄 라셀 3인이 1848년에 발. 히페리온의 모양은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모양으로 멀리서 봤을 때 마치 감자나 고구마를 연상시키는 모양이며 자전 주기는 일정치 않고, 표면은 스펀지와 흡사한 모양을 보이고 있.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히페리온 (위성) · 더보기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리스티안 하위헌스(1629년 4월 14일 ~ 1695년 7월 8일)는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더보기 »

포에베

에베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포에베 · 더보기 »

포에베 (위성)

에베(Phoebe)또는 피비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포에베 (위성) · 더보기 »

이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의 구조 이산화 탄소(二酸化炭素)는 탄소 원자 하나에 산소 원자 둘이 결합한 화합물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이산화 탄소 · 더보기 »

이아페투스 (위성)

이아페투스(Iapetus)는 토성의 23번째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이아페투스 (위성) · 더보기 »

적도

적도가 지나가는 나라(빨강)와 본초 자오선이 지나가는 나라(파랑) 적도(赤道)는 지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구의 자전축에 수직인 평면이 지표를 나누는 선을 말.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곳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적도 · 더보기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FRS, 1831년 6월 13일 ~ 1879년 11월 5일)은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더보기 »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Giovanni Domenico Cassini, 1625년 ~ 1712년)는 프랑스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 더보기 »

조석력

목성의 조석력에 의해 찢어져 여러 조각으로 박살난 슈메이커-레비 혜성. 조석력(潮汐力, tidal force) 혹은 기조력(起潮力)은 중력의 2차적인 효과 중 하나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조석력 · 더보기 »

중력

중력(重力)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중력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지구 · 더보기 »

창백한 푸른 점

61억 킬로미터 거리에서 촬영한 지구의 사진. 태양 반사광 속에 있는, 파랑색 동그라미 속 희미한 점이 지구이다. 태양계 사진들. 희미한 푸른 점(Pale Blue Dot)은 보이저 1호가 찍은 지구의 사진을 부르는 명칭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창백한 푸른 점 · 더보기 »

천문학자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 천문학자(天文學者)는 행성, 항성, 은하 등 천체및 여러 천문현상들을 연구하는 과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천문학자 · 더보기 »

천왕성

왕성(天王星, Uranus)은 태양에서부터 일곱번째로 떨어져 있으며 세 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네 번째로 질량이 큰 태양계의 행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천왕성 · 더보기 »

천왕성의 고리

왕성의 고리 체계. 천왕성의 고리를 가색상으로 나타낸 것. 천왕성의 고리()는 천왕성의 고리 체계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천왕성의 고리 · 더보기 »

카시니-하위헌스

시니-하위헌스(Cassini-Huygens)는 미국과 유럽의 공동 토성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카시니-하위헌스 · 더보기 »

코넬 대학교

학교 캠퍼스 코넬 대학교(Cornell University)는 미국 뉴욕 주 이사카에 있는 사립 대학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코넬 대학교 · 더보기 »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시모 2세 데 메디치(Cosimo II de' Medici, 1590년 5월 12일 ~ 1621년 2월 28일)는 토스카나의 대공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 더보기 »

판 (위성)

(Pan)은 토성의 위성들 중 토성과 가장 가까운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판 (위성) · 더보기 »

판도라

줄 조셉 르페브르의 1882년 作 〈판도라〉 판도라(Pandora)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최초의 여성으로, 판도라의 상자는 인류의 불행과 희망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징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판도라 · 더보기 »

판도라 (위성)

(Pandora)는 토성의 안쪽을 도는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판도라 (위성) · 더보기 »

유튜브

유튜브()는 전 세계 최대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로, 사용자가 영상 클립을 보거나, 업로드 · 공유할 수 있. 2005년 2월에 페이팔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 스티브 천, 자베드 카림(퇴사)이 공동으로 창립했으며, 2006년 구글에 인수되었.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유튜브 · 더보기 »

유성진

극 눈에서 수집된 미소 유성체 유성진(流星塵) 또는 미소 유성체는 작은 유성체로 우주공간의 작은 암석 입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유성진 · 더보기 »

유성체

유성체(流星體, Meteoroid) 또는 별찌는 태양계에 존재하는 바위에서 모래 정도 크기의 작은 물체들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유성체 · 더보기 »

육안

육안 육안(肉眼)은 망원경이나 현미경, 돋보기 같은 광학기기의 도움이 없는 사람의 시각을 의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육안 · 더보기 »

윌리엄 라셀

윌리엄 라셀 윌리엄 라셀(William Lassell, 1799년 6월 18일 ~ 1880년 10월 5일)은 영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윌리엄 라셀 · 더보기 »

윌리엄 허셜

릭 윌리엄 허셜(Frederick William Herschel, 1738년 11월 15일~1822년 8월 25일)은 독일에서 태어난 천문학자이고, 전문적인 기술자이며, 작곡가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윌리엄 허셜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1호

발사되는 파이어니어 11호 파이어니어 11호는 목성을 두 번째로 탐사하고, 토성과 토성의 테를 처음으로 탐사한 우주선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파이어니어 11호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태양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태양계 · 더보기 »

타이탄 (위성)

이탄 타이탄을 발견한 사람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타이탄 또는 티탄(Titan)은 토성의 위성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에서는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토성 VI라고 부르기도 한다.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이며, 지구처럼 표면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가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대기 구성이 원시지구와 유사하여 다양한 관심을 받고 있다. 타이탄은 토성에서 20번째로 먼 위성이자 구형 외관을 지니는 일정 질량 이상 되는 위성들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행성과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위성으로 자주 기술되는 것처럼 타이탄은 반지름이 달의 약 1.5배이고 질량은 1.8배나 된다.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크기만으로 따진다면 수성보다 더 크다. (그러나 질량은 수성의 반 정도이.)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5년 3월 25일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들 중 첫 번째로 존재가 증명된 존재였다. 태양계의 위성 중 갈릴레이 위성 다음으로 발견된 첫 천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 신족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이탄 신족은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의 12남매를 지칭한다. 타이탄의 표면은 주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탄은 짙은 대기로 둘려싸여 있기 때문에,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타이탄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했다. 카시니-하위헌스 호의 탐사로부터 탄화 수소로 채워진 호수들이 타이탄의 극지에 존재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면은 지질학적으로 젊었으며, 산과 얼음 화산으로 보여지는 지형들이 몇몇 관찰되었다. 타이탄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했으며, 충돌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메테인과 에테인이 섞여 있다. 타이탄 표면에는 바람과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지구 해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지형도 형성되어 있다. 표면 및 지하에 있는 액체 물질 및 질소로 충만한 대기 때문에 타이탄은 온도가 훨씬 더 낮다는 점만 제외하면 마치 원시 지구의 모습과 유사해 보였다. 이 때문에 타이탄은 예전부터 미생물 혹은 적어도 복잡한 유기 화합물 형태의 생명체가 태동할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져 왔다.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지하에 있는 액체 바다가 생명체가 생겨날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타이탄 (위성) · 더보기 »

수산화물

수산화 이온(水酸化-, hydroxide)은 산소 하나에 수소 하나가 결합된 형태의 수소 산화물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수산화물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수소 · 더보기 »

영국방송공사

영국방송공사(英國放送公社) 또는 BBC()는 영국의 공영 방송사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영국방송공사 · 더보기 »

오베론 (위성)

보이저 2호가 관측한 오베론 오베론(Oberon)은 천왕성의 제 4위성이며 천왕성의 위성 중 5개 주요위성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자리하고 있는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오베론 (위성) · 더보기 »

혜성

헤일-밥 혜성. 1997년 3월 촬영 혜성(彗星) 또는 살별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싼 구름층)와 꼬리를 갖.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 등을 불러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으나, 영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핼리 혜성의 주기를 계산,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혜성 · 더보기 »

어구전철

어구전철 또는 애너그램은 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놀이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어구전철 · 더보기 »

양치기 위성

성의 F 고리에서 양치기 위성 역할인 프로메테우스. 양치기 위성(shepherd satellites)은 행성의 고리에 간극을 주는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양치기 위성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행성 · 더보기 »

행성의 고리

성의 고리 행성의 고리는 평평한 디스크 형태의 영역 내에 행성 주위로 공전하는 먼지와 다른 작은 입자들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행성의 고리 · 더보기 »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Edward Emerson Barnard, 1857년 12월 16일~1923년 2월 6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 더보기 »

헨리 노리스 러셀

헨리 노리스 러셀(Henry Norris Russell, 1877년 10월 25일 ~ 1957년 2월 18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헨리 노리스 러셀 · 더보기 »

역행 운동

역행 궤도: 중심 천체(파란색)의 자전과 반대 방향에 있는 위성(빨간색)의 궤도. 역행 운동(逆行 運動, retrograde motion)은 다른 물체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며, 순행 운동(順行 運動, direct 또는 prograde motion)의 반대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역행 운동 · 더보기 »

허블 우주망원경

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천문 관측용 망원경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허블 우주망원경 · 더보기 »

허셜 우주망원경

셜우주망원경(Herschel Space Observatory)은 유럽 우주국에서 2009년 - 2013년 사이에 운용했던 우주망원경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허셜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엄폐

목성(오른쪽)이 달에 의해 엄폐되기 몇 분 전의 모습-2005년도. 천문학에서 엄폐(掩蔽, occultation)는 한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해 가리어지는 현상을 의미.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엄폐 · 더보기 »

사투르누스

프란시스코 고야, '아들을 잡아먹는 사트르누스' 사투르누스()는 로마 신화의 농업의 신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사투르누스 · 더보기 »

산소

산소(酸素←)는 화학 원소의 하나로, 원소 기호는 O(←)이고 원자 번호는 8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산소 · 더보기 »

피드백

page.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피드백 · 더보기 »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1749년 3월 23일~1827년 3월 5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 더보기 »

플라스마

플라스마 램프(Plasma Lamp) 안에서 만들어지는 플라스마. 플라스마()는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에서 디바이 차폐(Debye sheath)를 만족하는 이온화된 기체를 말. 자유 전하로 인해 플라스마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전자기장에 대한 매우 큰 반응성을 갖.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99%가 플라스마로 이루어져 있. 물리적으로, 플라스마는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전하를 띤 입자들의 집합체로, 외부 전자기장에 집합적으로 반응.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플라스마 · 더보기 »

프로메테우스

마시대 부조, 3세기) 프로메테우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의 신들보다 한 세대 앞서는 티탄족에 속하는 신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프로메테우스 · 더보기 »

프로메테우스 (위성)

메테우스(Prometheus)는 토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프로메테우스 (위성)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베셀

right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 (Friedrich Wilhelm Bessel, 1784년 7월 22일 ~ 1846년 3월 17일) 은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민덴 (Minden) 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프리드리히 베셀 · 더보기 »

섭동 (천문학)

섭동(Perturbation:攝動)은 천문학에서 여러 개의 다른 물체로부터 명확한 중력 효과를 겪은 하나의 큰 물체가 보이는 복잡한 움직임을 설명할 때 쓰는 용어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섭동 (천문학) · 더보기 »

성운

용골자리 성운의 일부. 성운(星雲) 또는 성무(星霧)은 성간 물질과 수소로 이루어진 구름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성운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토성 · 더보기 »

토성의 위성

성 행성계 토성의 위성은 2008년 기준으로 약 63개 정도의 위성이 발견되었.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토성의 위성 · 더보기 »

톨린

이탄의 대기에서 톨린이 형성되는 과정 톨린(Tholin 톨린은 단일 화합물의 이름이 아니며, 행성체 표면을 덮고 있는 붉은색 유기물질 분자들을 집합적으로 이름이다. 우측 그림에 나와있다시피 톨린은 A화학반응의 연쇄를 통해 만들어진다고 생각된다. 이 과정은 질소와 메탄 분자가 태양 방사선에 의해 해리 및 전리되면서 시작된다. 이후 에틸렌, 에탄, 아세틸렌, 시안화수소를 비롯한 단순한 분자들과 단순한 양이온들이 만들어진다. 반응이 계속되면 벤젠을 비롯한 다른 유기분자들이 만들어지고, 이것들이 중합체를 이루면 무거운 분자의 연무질을 형성한다. 연무질은 응고되어 대기 아래 행성 표면에 누적된다. 저압 환경에서 형성된 톨린은 분자구조 안쪽에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고압 환경에서 형성된 톨린은 대개 질소 원자가 분자 말단에 존재한다.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톨린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소행성 · 더보기 »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소피야 바실리예브나 코발렙스카야(1850–1891)는 러시아의 수학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소피야 코발렙스카야 · 더보기 »

해왕성의 고리

왕성의 고리와 위성들을 나타낸 도표. 실선은 고리를, 점선은 위성 궤도를 나타낸다. 해왕성의 고리는 5개의 고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1984년에 앙드레 브라익이 예측하고 1989년에 보이저 2호가 발.Miner, Ellis D., Wessen, Randii R., Cuzzi, Jeffrey N. (2007).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해왕성의 고리 · 더보기 »

야누스 (위성)

야누스(Janus)는 토성의 내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야누스 (위성) · 더보기 »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암모니아 · 더보기 »

아틀라스 (위성)

아틀라스(Atlas)는 토성의 내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아틀라스 (위성) · 더보기 »

테티스 (위성)

스(Tethys)는 토성의 위성으로,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테티스의 지름은 약 1066km이며, 테티스는 태양계에서 16번째로 큰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테티스 (위성) · 더보기 »

티타니아 (위성)

아 티타니아(Titania)는 1787년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천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티타니아 (위성) · 더보기 »

시직경

시직경(Apparent diameter), 시지름, 또는 각지름(Angular diameter)은 대부분 지구의 관측자가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뜻하며, 각의 단위인 초(″) 또는 분(') ·도(°).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시직경 · 더보기 »

황도

지동설에서의 황도. 황도(黃道)는 하늘에서 해가 한 해 동안 지나는 길로, 지구의 공전에 의. 황도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과 천구가 만나는 커다란 원이며, 하늘의 적도와 약 23.5˚기울어져 있. 춘/추분에 하늘의 적도와 교차하므로 이때 해의 위치를 춘/추분점이라 하고 하지일 때를 하지점, 동지일 때를 동지점이.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황도 · 더보기 »

Ppb

ppb()는 10억 분의 1(10-9)이라는 뜻이며, 용액 1,000,000,000 g에 들어 있는 용질의 g 수를.

새로운!!: 토성의 고리와 Ppb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A 고리, F 고리, 킬러 간극, 토성 고리, 토성의 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