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톈진 조약 (1885년)

색인 톈진 조약 (1885년)

조약(天津條約)은 갑신정변 실패의 결과로 1885년(고종 22년) 4월 18일(음력 3월 4일) 청나라 전권 대신 이홍장(리훙장)과 일본 제국 전권 대신 이토 히로부미가 동북아시아 세력 균형을 위해 맺은 조약이.

20 처지: 덕수궁, 동북아시아, 개화당, 갑신정변, 베이징 시, 대한제국 고종, 임오군란, 이토 히로부미, 이홍장, 일본 제국, 음력 3월 4일, 조약, 청나라, 청일 전쟁, 위안스카이, 톈진 시, 한반도, 한성조약, 1885년, 4월 18일.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덕수궁 · 더보기 »

동북아시아

동북아시아(東北亞-, Northeast Asia)는 아시아의 동북부 지역을 말. 좁은 의미로는 한, 중, 일 3개국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며, 넓은 의미로는 몽골, 러시아의 극동 지역 및 시베리아.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동북아시아 · 더보기 »

개화당

화당(開化黨)은 1874년(고종 11년) 경 김옥균(金玉均), 박영교(朴泳敎),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개화당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임오군란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홍장

이홍장의 초상 이홍장(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은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이며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이홍장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음력 3월 4일

음력 3월 4일은 음력 3월의 4번째 날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음력 3월 4일 · 더보기 »

조약

조약(條約)이란 나라와 나라 사이에 맺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약속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조약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톈진 시

(천진)은 중화인민공화국 동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톈진 시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한반도 · 더보기 »

한성조약

성조약(漢城條約)은 1885년(고종 22년) 1월 9일 조선의 한성부에서 조선측 대표 의정부좌의정 김홍집 외 조선측 대표단과 일본 제국 외무부대신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 외 일본측 대표단이 조선과 일본의 갑신정변의 사후 처리 및 보상에 대해 체결한 조약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한성조약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1885년 · 더보기 »

4월 18일

4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8번째(윤년일 경우 10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톈진 조약 (1885년)와 4월 18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