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종무

색인 이종무

이종무(李從茂, 1360년 ~ 1425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

59 처지: 도기석, 마산시, 명나라, 민욱, 박상조, 강원도, 경기도,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김종서, 김훈, 대마도 정벌, 대왕 세종, 노이, 용인시, 용의 눈물, 회안대군, 장수 이씨, 이을진, 음력 6월 12일, 음력 6월 19일, 음력 6월 9일, 의정부, 제1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 조선, 조선 태종, 조선 세종, 조선왕조실록, 좌명공신, 좌참찬, 추봉도, 육룡이 나르샤, 상장군, 수지구, 옹진군, 쓰시마섬, 한국방송공사, 황보인, SBS, 11월 9일, 1360년, 1381년, 1392년, 1397년, 1400년, 1406년, 1419년, 1423년, ..., 1424년, 1425년, 1996년, 1998년, 2008년, 2015년, 2016년, 2월 25일, 6월 2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 더) »

도기석

석(1974년 9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종무와 도기석 · 더보기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새로운!!: 이종무와 마산시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이종무와 명나라 · 더보기 »

민욱

민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종무와 민욱 · 더보기 »

박상조

박상조 (1945년 12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이종무와 박상조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이종무와 강원도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종무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이종무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이종무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우왕

우왕(禑王, 1365년 7월 25일 (음력 7월 7일) ~ 1389년 12월 31일 (음력 12월 14일))은 고려 제32대 국왕(재위: 1374년 ~ 1388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고려 우왕 · 더보기 »

김종서

종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종무와 김종서 · 더보기 »

김훈

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종무와 김훈 · 더보기 »

대마도 정벌

마도 정벌(對馬島征伐)은 13세기에서 16세기까지 한반도와 중국을 침략하여 노략질하던 왜구의 본거지인 쓰시마(대마도)을 정벌한 사건이.

새로운!!: 이종무와 대마도 정벌 · 더보기 »

대왕 세종

《대왕 세종》(大王世宗)은 한국방송공사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종무와 대왕 세종 · 더보기 »

노이

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종무와 노이 · 더보기 »

용인시

용인시(龍仁市)는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종무와 용인시 · 더보기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1996년 11월 24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종무와 용의 눈물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새로운!!: 이종무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장수 이씨

장수 이씨(長水 李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종무와 장수 이씨 · 더보기 »

이을진

이을진(李乙珍, ? - ?)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제1차 요동 정벌에 참여하였고,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에 봉해졌.

새로운!!: 이종무와 이을진 · 더보기 »

음력 6월 12일

음력 6월 12일은 음력 6월의 12번째 날이.

새로운!!: 이종무와 음력 6월 12일 · 더보기 »

음력 6월 19일

음력 6월 19일은 음력 6월의 19번째 날이.

새로운!!: 이종무와 음력 6월 19일 · 더보기 »

음력 6월 9일

음력 6월 9일은 음력 6월의 9번째 날이.

새로운!!: 이종무와 음력 6월 9일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이종무와 의정부 · 더보기 »

제1차 왕자의 난

제1차 왕자의 난은 1398년 왕위 계승권을 에워싸고 일어난 왕자간의 싸움으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이 반란을 일으켜 반대 세력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방원의 난으로도 불리며, 그밖에 방석의 난, 혹은 정도전의 난, 무인정사(戊寅靖社)라고도 불린.

새로운!!: 이종무와 제1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제2차 왕자의 난

제2차 왕자의 난은 1400년 태조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과 이방간이 세자 자리를 두고 싸운 것으로 제1차 왕자의 난과 구별하기 위해 제2차 왕자의 난 또는 제2왕자의 난, 방간의 난, 박포의 난 등으로 불린.

새로운!!: 이종무와 제2차 왕자의 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이종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이종무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이종무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이종무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좌명공신

좌명공신은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때 이방원에게 도움을 줬던 인물들에게 주었던 칭호이.

새로운!!: 이종무와 좌명공신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이종무와 좌참찬 · 더보기 »

추봉도

봉도(秋蜂島)는 대한민국 경상남도의 섬이.

새로운!!: 이종무와 추봉도 · 더보기 »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SBS에서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3월 22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이종무와 육룡이 나르샤 · 더보기 »

상장군

상장군(上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이종무와 상장군 · 더보기 »

수지구

수지구(水枝區)는 용인시의 북서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이종무와 수지구 · 더보기 »

옹진군

옹진군(甕津郡)은 1945년 11월 3일까지 황해도 남서부에 있던 군으로 옹진반도의 대부분과 인근 도서를 관할로 하였으며 옹진읍·부민면·용연면·봉구면·흥미면·동남면·북면·서면·용천면·교정면·가천면의 1읍 10면으로 구성되었.

새로운!!: 이종무와 옹진군 · 더보기 »

쓰시마섬

쓰시마()는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섬이.

새로운!!: 이종무와 쓰시마섬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이종무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황보인

황보 인(皇甫仁, 1387년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문관 겸 정치가이며,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

새로운!!: 이종무와 황보인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이종무와 SBS · 더보기 »

11월 9일

11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3번째(윤년일 경우 3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종무와 11월 9일 · 더보기 »

13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360년 · 더보기 »

13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381년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392년 · 더보기 »

13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397년 · 더보기 »

1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00년 · 더보기 »

14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06년 · 더보기 »

14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19년 · 더보기 »

14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23년 · 더보기 »

14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24년 · 더보기 »

14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종무와 142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1996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1998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2008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종무와 2016년 · 더보기 »

2월 25일

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6번째(윤년일 경우도 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종무와 2월 25일 · 더보기 »

6월 20일

6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1번째(윤년일 경우 1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종무와 6월 2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장천군 이종무, 양후공 이종무, 통원군, 통원군 이종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