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펜리르

색인 펜리르

봉인당한 펜리르. 사지가 글레이프니르로 포박당했으며, 입에서 흘러나온 침이 강을 이루고 있다. 펜리르(),Orchard (1997:42).

62 처지: 늑대, 라그나로크, 라그나르의 송가, 로키, 루돌프 지메크, 맨섬, 마니 (노르드 신화), 무녀의 예언, 발키리, 발홀, 바르그, 바프스루드니르,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가름 (노르드 신화), 고 에다, 볼바, 귈피, 귈피의 속임수, 브라기 보다손, 글레이프니르, 비다르, , 나글파르, 드베르그, 높으신 분과 그만큼 높으신 분과 세 번째 분, 노르드 신화, 니플헤임, 스바르트알파헤임, 스노리 스투를루손, 스칼드, 스콜 (노르드 신화), 스웨덴, 트롤, 요르문간드, 요툰, 잠시드, 족쇄, 지옥문, 컴브리아 주, 케닝그, , 타무라스, 수르트, 오딘,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혼합주의, 최후의 심판, 에길 스칼라그림손, 에인헤랴르, 헤임스크링글라, ..., , 프레이, 프리그, 손목, 솔 (노르드 신화), 하티 흐로드비트니손, 아스, 앙그라 마이뉴, 신 에다, 티르, 시어법, 후긴과 무닌.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 더) »

늑대

몽골늑대() 또는, 털늑대()는 러시아 동부, 몽골 지역, 위구르 지역을 포함한 중국 북부에 서식하고 있는 회색늑대의 아종 중 하나이.

새로운!!: 펜리르와 늑대 · 더보기 »

라그나로크

〈파멸할 운명의 신들의 싸움〉. 프리드리히 빌헬름 하이네의 1882년 그림. 라그나로크()는 노르드의 말세 신화이.

새로운!!: 펜리르와 라그나로크 · 더보기 »

라그나르의 송가

〈라그나르의 송가〉()는 《신 에다》에 실려 있는 스칼드 시이.

새로운!!: 펜리르와 라그나르의 송가 · 더보기 »

로키

()는 롭트() 또는 흐베드룽그()라고도 불리며,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또는 요툰 또는 둘 다인 존재이.

새로운!!: 펜리르와 로키 · 더보기 »

루돌프 지메크

메크(Rudolf Simek, 1954년 2월 21일 ~)는 오스트리아의 독일학자, 문헌학자이.

새로운!!: 펜리르와 루돌프 지메크 · 더보기 »

맨섬

맨 섬()은 아일랜드 해에 있는 브리튼 제도에 속하는 영국 왕실령섬이며 위치는 그레이트브리튼 섬과 아일랜드 섬의 사이에 있. 국가 원수는 엘리자베스 2세이며, 주총독(Liutenant Governer)이 대신 정치에 관여.

새로운!!: 펜리르와 맨섬 · 더보기 »

마니 (노르드 신화)

솔. 1895년 그림. 마니()는 게르만 신화의 달의 신, 또는 의인화된 달이.

새로운!!: 펜리르와 마니 (노르드 신화) · 더보기 »

무녀의 예언

〈오딘과 볼바〉. 1895년. 〈무녀의 예언〉()은 《고 에다》의 첫 번째 부분이며, 가장 널리 알려진 부분이.

새로운!!: 펜리르와 무녀의 예언 · 더보기 »

발키리

마를 타고 하늘을 달리는 발키류르. 존 찰스 돌먼 그림. 발키리아()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여전사.

새로운!!: 펜리르와 발키리 · 더보기 »

발홀

17세기 아이슬란드 문서의 그림. 발홀 입구를 헤임달이 지키고 있다. 발홀(.)은 노르드 신화에서 아스가르드에 위치한 거대한 저택으로, 오딘이 다스리고 있. 전쟁터에서 죽은 자들 중 절반은 발키리의 인도에 따라 오딘의 발홀로 가고, 다른 절반은 프레이야의 폴크방으.

새로운!!: 펜리르와 발홀 · 더보기 »

바르그

300px 바르그()는 북유럽 신화에서 늑대, 그 중에서도 펜리르와 그 아들들(하티와 스콜)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이.

새로운!!: 펜리르와 바르그 · 더보기 »

바프스루드니르

오딘(왼쪽)과 바프스루드니르(오른쪽) 바프스루드니르(Orchard (1997:170).)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지혜로운 요툰이.

새로운!!: 펜리르와 바프스루드니르 · 더보기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혜를 겨루는 오딘과 바프스루드니르(1895년).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의 세 번째 시가이.

새로운!!: 펜리르와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 더보기 »

가름 (노르드 신화)

헬(뒤쪽)과 가름. 가름()은 노르드 신화에서 니블헤임을 지키는 개이.

새로운!!: 펜리르와 가름 (노르드 신화) · 더보기 »

고 에다

《고 에다》(Elder Edda) 또는 《운문 에다》(Poetic Edda)란 저자 미상의 여러 고대 노르드어 시 작품들을 오늘날 집합적으로 일컫는 것이.

새로운!!: 펜리르와 고 에다 · 더보기 »

볼바

frame 볼바()란 노르드 종교의 샤머니즘적 예언자들이.

새로운!!: 펜리르와 볼바 · 더보기 »

귈피

오딘을 환영하는 귈피. 귈피()는 기록상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스칸디나비아의 왕이.

새로운!!: 펜리르와 귈피 · 더보기 »

귈피의 속임수

"높으신 분", "그만큼 높으신 분", "세 번째 분"을 만난 귈피 왕(오른쪽) 〈귈피의 속임수〉()는 스노리 스툴루손의 《신 에다》의 서장 이후 가장 먼저 나오는 제1부이.

새로운!!: 펜리르와 귈피의 속임수 · 더보기 »

브라기 보다손

브라기 보다손 인 가믈리()는 9세기 전반 노르웨이의 궁정 시인으로,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에위스테인 벨리, 뵤른 아트 하우기 등 많은 스웨덴 왕들을 모셨.

새로운!!: 펜리르와 브라기 보다손 · 더보기 »

글레이프니르

펜리르의 구속. 글레이프니르(Gleipnir)는 드워프가 만든 사슬로, 겉보기엔 평범한 끈 처럼 생겼으나 실제론 어떤 무기로도 끊을 수 없는 튼튼함을.

새로운!!: 펜리르와 글레이프니르 · 더보기 »

비다르

350px 비다르()는 노르드 신화의 에시르 중 하나로 복수와 관련된 신이.

새로운!!: 펜리르와 비다르 · 더보기 »

()은 노르드 신화에서 태초의 열하나 강줄기인 엘리바가르 중 하나로, 니플헤임의 흐베르겔미르 우물에서 발원하여 긴눙가가프로 흘. 긴눙가가프에서 중간계가 창세된 이후에는 이 강줄기가 헬헤임을 지나가는데, 망자들이 사는 지하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걀라르브루라는 다리를 통해 굘 강을 건너야.

새로운!!: 펜리르와 굘 · 더보기 »

나글파르

르() 또는 나글파리()는 노르드 신화에 나오는, 망자의 손발톱으로만 만든 배이.

새로운!!: 펜리르와 나글파르 · 더보기 »

드베르그

19세기에 출판된 〈무녀의 예언〉 삽화의 드베르그. 로렌츠 프뢸리히의 1895년 그림. 드베르그()는 게르만 신화에서 산맥 깊은 곳과 지하세계에 산다고 하는 존재들이.

새로운!!: 펜리르와 드베르그 · 더보기 »

높으신 분과 그만큼 높으신 분과 세 번째 분

사본 삽화의 "높으신 분", "그만큼 높으신 분", "세 번째 분"과 길피 왕(오른쪽). 다만 여기서는 "높으신 분"이 가장 위에 그려져 있어서 〈길피의 속임수〉의 묘사와는 약간 다르다. 높으신 분()과 그만큼 높으신 분()과 세 번째 분()은 《신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서 강글레리(변장한 길피 왕)가 던지는 질문들에 대답을 해주는 존재이.

새로운!!: 펜리르와 높으신 분과 그만큼 높으신 분과 세 번째 분 · 더보기 »

노르드 신화

300px 노르드 신화(── 神話) 혹은 (협의의) 스칸디나비아 신화는 기독교 개종 이전 스칸디나비아및 북부 유럽(오늘날의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그리고 그린란드 일부, 북부 독일 등지)에 살았던 게르만인의 일파인 노르드인들의 종교·신앙·전설 등을 일컫.

새로운!!: 펜리르와 노르드 신화 · 더보기 »

니플헤임

헤임()은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장소이며, 니플헬 및 헬헤임과 동일시.

새로운!!: 펜리르와 니플헤임 · 더보기 »

스바르트알파헤임

스바르트알파헤임(Svartálfaheimr)은 노르드 신화에서 스바르트알프들이 사는 곳이.

새로운!!: 펜리르와 스바르트알파헤임 · 더보기 »

스노리 스투를루손

스노리 스투를루손(1178년 ~ 1241년 9월 23일)은 아이슬란드의 시인·역사가·정치가이.

새로운!!: 펜리르와 스노리 스투를루손 · 더보기 »

스칼드

르웨이 왕 올라프 2세의 포로로 잡혀서 시를 짓는 베르시 스칼드토르푸손 스칼드()는 사전적 의미로는 그 자체로 "시"를 의미하며, 바이킹 시대에서 중세 시대까지 스칸디나비아 및 아이슬란드의 궁정에 소속된 어용시인들이 쓴 궁정시를 말. 에다와 함께 고대 노르드어 시문학의 양대 줄기를 이루는 장르이.

새로운!!: 펜리르와 스칼드 · 더보기 »

스콜 (노르드 신화)

《해와 달을 쫓는 늑대들》(1909년 그림) 스콜()은 솔의 전차를 끄는 말 아르바크와 알스비드를 쫓는 바르그이.

새로운!!: 펜리르와 스콜 (노르드 신화) · 더보기 »

스웨덴

스웨덴 왕국(), 약칭 스웨덴()은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반부를 차지하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스톡홀름이.

새로운!!: 펜리르와 스웨덴 · 더보기 »

트롤

셋과 납치된 공주.(존 바우어의 1915년작 삽화.) 트롤(troll)은 스칸디나비아와 스코틀랜드의 전설에 등장하는, 인간과 비슷한 모습의 거인족이.

새로운!!: 펜리르와 트롤 · 더보기 »

요르문간드

르의 요르문간드 낚시. 소머리 미끼를 요르문간드가 물려고 한다. 요르문간드(), 또는 미드가르드오름()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큰 바다뱀으로, 여자 요툰 앙그르보다와 신 로키 사이에서 태어.

새로운!!: 펜리르와 요르문간드 · 더보기 »

요툰

프레이야를 끌고가는 요툰 파프네르와 파솔트. 요툰()이란 노르드 신화에서 널리 발견되는 존재들로, 곧 노르드의 거인이.

새로운!!: 펜리르와 요툰 · 더보기 »

잠시드

자하크앞에서 잠시드를 반으로 가르는 것을 묘사한 페르시아 그림 잠세드 또는 잠시드 또는 아베스타어 위마는 이란의 신화적인 인물이.

새로운!!: 펜리르와 잠시드 · 더보기 »

족쇄

족쇄 족쇄(足鎖)는 사람의 발목에 채우는 쇠사슬이.

새로운!!: 펜리르와 족쇄 · 더보기 »

지옥문

《지옥문》은 1962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펜리르와 지옥문 · 더보기 »

컴브리아 주

브리아 주의 위치 컴브리아주(Cumbria)는 잉글랜드의 주로 주도는 칼라일이며 면적은 6,768km2, 인구는 499,800명(2014년 기준), 인구 밀도는 74명/km2이.

새로운!!: 펜리르와 컴브리아 주 · 더보기 »

케닝그

닝그()은 고대 노르드어, 아이슬란드어, 앵글로색슨어 시문학에서 자주 나오는 완곡어법의 일종이.

새로운!!: 펜리르와 케닝그 · 더보기 »

무리는 종종 들소를 협력하여 사냥하기도 한다. 리카온 피투스의 사냥 무리. 무리 크기 분포. 팩(pack)은 동종의 개과 동물들이 이루는 무리이.

새로운!!: 펜리르와 팩 · 더보기 »

타무라스

''타무라트'' (1939). 타무라스 또는 타무라트는 페르도우시의 샤나마에 따르면 세상의 세 번째 황제였.

새로운!!: 펜리르와 타무라스 · 더보기 »

수르트

《불의 검을 든 거인》(1909년 그림) 수르트(Orchard (1997:154). 또는 Simek (2007:303–304))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엘드요툰(불의 거인)이며 악한 거인이.

새로운!!: 펜리르와 수르트 · 더보기 »

오딘

슬레이프니르에 타고 있는 오딘. 오딘()은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주신(主神)이.

새로운!!: 펜리르와 오딘 · 더보기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로고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 OUP)는 세계 최대의 대학교 출판부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한 부서이.

새로운!!: 펜리르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더보기 »

혼합주의

싱크리티즘(syncretism) 또는 혼합주의(混合主義)는 본질적으로 상이하거나 혹은 완전히 정반대의 성격을 가진 여러 믿음을 조화롭게 공존시키고 다양한 학파의 사상들을 융합하는 것을 가리.

새로운!!: 펜리르와 혼합주의 · 더보기 »

최후의 심판

후의 심판: 15세기 슈테판 로흐너 작품. 기독교 종말론에서 최후의 심판, 마지막 심판, 주님의 날은 온 나라에 대한 하나님의 영원하고도 마지막 심판을 가리.

새로운!!: 펜리르와 최후의 심판 · 더보기 »

에길 스칼라그림손

《에길의 사가》 17세기 필사본에 그려진 에길의 모습. 에길 스칼라그림손(Egill Skallagrímsson, 904년경 ~ 995년경)은 바이킹 시대의 시인, 전사, 농부이.

새로운!!: 펜리르와 에길 스칼라그림손 · 더보기 »

에인헤랴르

"Walhalla" (1905년) 에밀 되플러 作. 에인헤랴르(Orchard (1997:36) and Lindow (2001:104).) 노르드 신화에서 전쟁터에서 죽어 발퀴류르에게 발홀로 인도된 이들을 말. 발홀에서 에인헤랴르들은 매일 되살아나는 짐승 세흐림니르를 잡아먹고 염소 헤이드룬의 젖통에서 짜낸 봉밀주를 발키리들에게 술시중 받. 에인헤랴르는 라그나로크를 대비해 훈련하고 있으며, 운명의 날이 오면 비그리드 들판으로 나아가 마족들과 건곤일척 승부를 벌이.

새로운!!: 펜리르와 에인헤랴르 · 더보기 »

헤임스크링글라

《헤임스크링글라》()는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역사가인 스노리 스툴루손이 1230년경 고대 노르드어로 집필한 사가의 묶음을 이른.

새로운!!: 펜리르와 헤임스크링글라 · 더보기 »

발드르(오른쪽 위)를 데려오기 위해 슬레이프니르(왼쪽 아래)를 타고 헬(오른쪽 아래)을 방문한 헤르모드(왼쪽 위). 오른쪽 구석에 헬의 접시 "굶주림"과 헬의 나이프 "기근"이 해골바가지들 위에 놓인 디테일도 돋보인다. 헬()은 노르드 신화에서 자신과 이름이 같은 장소인 헬헤임을 다스리는 존재이며, 그곳에서 망자들을 거느리고 있. 헬은 13세기 이전의 서사시 모음집인 《고 에다》 및 13세기에 아이슬란드의 스노리 스툴루손이 쓴 《신 에다》에 등장.

새로운!!: 펜리르와 헬 · 더보기 »

프레이

이 프레이()는 노르드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신들 중 하나이.

새로운!!: 펜리르와 프레이 · 더보기 »

프리그

리그 프리그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여왕으로 아스 신족에 속. 오딘의 아내이자 발드르의 어머니로, 결혼·가정·출산·풍요를 주. 흔히 실을 잣는 모습이나 어린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으.

새로운!!: 펜리르와 프리그 · 더보기 »

손목

손목 손목은 손과 팔이 닿는 부분이.

새로운!!: 펜리르와 손목 · 더보기 »

솔 (노르드 신화)

마니와 솔. 1895년 그림. 솔() 또는 순나()은 게르만 신화의 태양의 여신, 또는 의인화된 태양이.

새로운!!: 펜리르와 솔 (노르드 신화) · 더보기 »

하티 흐로드비트니손

와 스콜, 그리고 달과 해의 신인 마니와 솔. 하티 흐로드비트니손()는 북유럽 신화에서 달을 쫓아 하늘을 달리는 괴물 늑대이.

새로운!!: 펜리르와 하티 흐로드비트니손 · 더보기 »

아스

발드르의 시체를 둘러싸고 모인 에시르. 아스()는 북유럽 신화의 신족으로, 복수형은 에시르()이.

새로운!!: 펜리르와 아스 · 더보기 »

앙그라 마이뉴

앙그라 마이뉴(Aŋra Mainiuu)는 아베스타어의 이름으로 파괴적인 영혼의 조로아스터교의 실체이.

새로운!!: 펜리르와 앙그라 마이뉴 · 더보기 »

신 에다

260px 《신 에다》(Younger Edda) 또는 《산문 에다》(Prose Edda), 《스노리 에다》(Snorra Edda, 약자 SnE)는 1220년경에 아이슬란드의 시인 스노리 스툴루손이 쓴 시 교본이.

새로운!!: 펜리르와 신 에다 · 더보기 »

티르

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펜리르와 티르 · 더보기 »

시어법

시프가 잠자는 사이 로키가 다가가 그녀를 삭발시켰다. 〈시어법〉()은 스노리 스툴루손의 《신 에다》 제2부이.

새로운!!: 펜리르와 시어법 · 더보기 »

후긴과 무닌

오딘의 어깨에 앉은 후긴과 무닌. 후긴()과 무닌()은 노르드 신화에 나오는 한 쌍의 도래까마귀이.

새로운!!: 펜리르와 후긴과 무닌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바나르간드, 흐로드비트니르, 펜리르 늑대, 펜리르늑대, 펜리스 늑대, 펜리스늑대, 펜리스울프, 펜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