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포항 스틸러스

색인 포항 스틸러스

항 스틸러스는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으로 경상북도 포항시를 연고지로 두고 있으며, 현재 K리그1에 참가하고 있. 법적으로는 상법상 주식회사이며 포스코의 계열사이.

345 처지: A3 챔피언스컵, AFC 챔피언스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2008, AFC 챔피언스리그 2009, AFC 챔피언스리그 2013, AFC 챔피언스리그 2014, AFC 챔피언스리그 2016, 데릭 아사모아, 데니우송 마르틴스 나시멘투, 더블 (축구), 돌고래, 라데 보그다노비치, 라자르 베셀리노비치, 레우 가말류, 룰리냐, 류원우, 리그컵 (대한민국), 리그컵 1993, 리그컵 1996, 리그컵 2008, 리그컵 2009, 마철준, 문민귀, 문창진, 감독 대행, 배슬기 (축구 선수), 배천석, 백록기 축구대회, 백기태, 백기홍, 박진옥, 박창현 (1966년), 강상우, 박태하, 강수일, 강현무, 박선용, 박선주 (축구 선수), 박성우 (1995년), 박성호 (1982년), 박성화, 박원재, 가와사키 프론탈레, 경남 FC, 경상북도, 고란 페트레스키, 고려대학교, 고무열, 고병운, 고기구, ..., 공문배, 광주 FC,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권완규, 부산 아이파크, 브라질, 금석배 전국학생 축구대회, 김동기 (축구 선수), 김로만, 김민혁 (1992년 8월), 김병지, 김광석 (축구 선수), 김기동 (축구인), 김대호 (1988년), 김대환 (축구인), 김승대, 김재성 (축구 선수), 김준수 (축구 선수), 김철수 (축구인), 김상호 (축구인), 김태수 (축구 선수), 김현솔, 김형일 (축구 선수), 김성주 (축구 선수), 김원일 (축구 선수), 대구 FC, 대구광역시, 대전 시티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구정컵, 국립 경기장 (도쿄도), 국태정, 남아메리카, 내셔널리그 (대한민국), 노동건, 노병준, 노태경,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 FA컵 (대한민국), FA컵 1996, FA컵 1997, FA컵 1998, FA컵 2001, FA컵 2002, FA컵 2007, FA컵 2008, FA컵 2011, FA컵 2012, FA컵 2013, FA컵 2014, FC 바르셀로나, FC 부뇨드코르, FC 서울, FIFA 클럽 월드컵, FIFA 클럽 월드컵 2009, 스테비차 리스티치, 우주소년 아톰, 우즈베키스탄, 우찬양, 우성용, 울산 현대 축구단, 승부차기, 장결희, 장철용, 장학영, 임민혁 (1994년), 임경훈 (축구인), 포스코, 포스코그룹, 포항 스틸러스 2013 시즌, 포항스틸야드, 포항제철고등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포항제철서초등학교, 포항시, 흥선대원군, 이래준, 이동국, 이명주 (축구 선수), 이민성, 이광재 (축구 선수), 이광혁, 이광훈 (축구 선수), 이근호 (1996년), 이기근, 이승모, 이승기 (축구 선수), 이승희 (1988년), 이회택, 이흥실, 이준희 (1993년), 이진현, 이진행, 이창원, 이상기 (1996년), 이영상, 이티하드 FC, 이싸빅, 이원재 (축구 선수), 이원철 (축구인), 이원영 (축구 선수), 이후권, 인천 유나이티드 FC, 일본, 제로톱, 제주 유나이티드 FC, 제테르송 아우베스 두스 산투스, 전북 현대 모터스,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전국체육대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전남 드래곤즈, 정원진, 조민우, 조긍연, 조찬호, 조윤옥, 조수철,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 중국, 창춘 야타이, 축구, 축구단, 카타르, 카타르 SC, 코너 채프먼, 유동관, 윤성효, 윤원일 (1983년), 위약금, 상주 상무 축구단, 수원 삼성 블루윙즈, 오범석, 오스트레일리아, 오창현 (1993년), 최문식, 최백호, 최효진 (축구 선수), 최은택, 최은성, 최종범 (축구인), 최진철, 최상국, 최순호, 양동현, 양태렬, 에스투디안테스,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여성해, 허정무, 사우디아라비아,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킹스컵 (축구), 프리킥, 성균관대학교, 성남 FC, 세르지우 파리아스, 세미프로,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서보민, 손준호 (축구 선수), 송승민 (축구 선수), 톈진 테다, 쇄국정책,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 해트트릭, 한국프로축구연맹, 한양대학교, 알아흘리 사우디 FC, 한홍기,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 안드레 모리츠, 안재훈, 하노이 FC, 하창래, 하파에우 베르게르, 하석주, 아드리아누 슈바, 아산 무궁화 축구단,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프리카, 아시안 슈퍼컵, 아시안 슈퍼컵 1997, 아시안 슈퍼컵 1998,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97,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아틀란테 FC, 신광훈, 신진호, 신화용, 심동운, 티키타카,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움살랄 SC, 홍명보, 홍콩, 황재원, 황희찬, 황진성 (축구 선수), 황지수, 황선홍,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 와우데마르 레무스 지 올리베이라, K리그, K리그 1983, K리그 1985, K리그 1986, K리그 1987, K리그 1988, K리그 1989, K리그 1990, K리그 1991, K리그 1992, K리그 1993, K리그 1994, K리그 1995, K리그 1996, K리그 1997, K리그 1998, K리그 2000, K리그 2003, K리그 2004, K리그 2006, K리그 2007, K리그 2008, K리그 2009, K리그 2010, K리그 2011, K리그 2012, K리그 도움상, K리그 감독상, K리그 베스트 11, K리그 클래식 2013, K리그 클래식 2014, K리그 클래식 2015, K리그 클래식 2017, K리그 주니어, K리그 챔피언십, K리그 영플레이어상, K리그1, K리그2, R리그, TP 마젬베, 10월 29일, 11월 10일, 11월 7일, 11월 8일, 1973년, 1975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90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7년 1월, 1998년, 1999년, 1월, 2000년, 2005년, 2005년 A3 챔피언스컵, 2007년, 2008년, 2009년, 2009년 2월, 2009년 9월, 2010년, 2010년 2월, 2014년, 2014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아시안 게임, 2015년 FIFA U-17 월드컵,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월 9일, 4월 1일, 5월 29일, 6월 24일, 8월 3일, 9월 13일, 9월 16일, 9월 24일, 9월 2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95 더) »

A3 챔피언스컵

A3 챔피언스컵(A3 Champions Cup)은 동아시아 지역의 세 나라,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의 각 프로 축구 리그 우승 팀들이 모여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3 챔피언스컵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AFC 챔피언스리그(AFC Champions League)는 아시아 상위 14개 리그의 우승 클럽과 컵 대회 우승 클럽이 참가하는 클럽간 축구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2008

AFC 챔피언스리그 2008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27번째 대회이자, 현재의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6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2008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2009

AFC 챔피언스리그 2009는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28번째 대회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7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2009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2013

AFC 챔피언스리그 2013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2번째 대회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1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2013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2014

AFC 챔피언스리그 2014는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3번째 대회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2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2014 · 더보기 »

AFC 챔피언스리그 2016

AFC 챔피언스리그 2016은 14번째로 개최되는 AFC 챔피언스리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AFC 챔피언스리그 2016 · 더보기 »

데릭 아사모아

릭 아사모아(1981년 5월 1일 ~)는 가나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데릭 아사모아 · 더보기 »

데니우송 마르틴스 나시멘투

우송 마르틴스 나시멘투(1976년 9월 4일 ~)는 데니우송으로 잘 알려진 브라질 사우바도르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데니우송 마르틴스 나시멘투 · 더보기 »

더블 (축구)

블(Double)은 사전적으로 ‘2배의’, ‘두 곱의’, ‘두 겹의’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 흔히 축구에서 한 시즌에 한 팀이 2개의 주요 대회(주로 리그+FA컵)를 동시에 우승하는 것을 지칭하며, 축구 리그가 발전된 유럽 프로축구에서 그 의미가 크게 부각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더블 (축구) · 더보기 »

돌고래

수생 포유류로, 이빨고래의 한 종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돌고래 · 더보기 »

라데 보그다노비치

보그다노비치(1970년 5월 2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는 과거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로, K리그에 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외국인 선수 중 한 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라데 보그다노비치 · 더보기 »

라자르 베셀리노비치

자르 베셀리노비치 (Lazar Veselinović,, 1986년 8월 4일 ~)는 세르비아 국적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라자르 베셀리노비치 · 더보기 »

레우 가말류

오나르두 가말류 지 소우자 (1986년 1월 30일 ~)는 짧게 레오 가말류라고도 불리며,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레우 가말류 · 더보기 »

룰리냐

이스 마르셀루 모라이스 함린 두스 헤이스(1990년 4월 10일 ~)는 룰리냐로 불리는 브라질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룰리냐 · 더보기 »

류원우

원우(1990년 8월 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류원우 · 더보기 »

리그컵 (대한민국)

리그컵 (League Cup)으로 불리는 이 대회는 K리그의 구단 수가 적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는 충분한 경기를 치를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홈 경기수를 보장하기 위해 열리는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리그컵 (대한민국) · 더보기 »

리그컵 1993

1993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제 2회 아디다스컵)은 리그컵의 두 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리그컵 1993 · 더보기 »

리그컵 1996

1996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96 아디다스컵)은 리그컵의 다섯 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리그컵 1996 · 더보기 »

리그컵 2008

2008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삼성 하우젠컵 2008)은 리그컵의 16번째 대회이며 5번째 삼성 하우젠컵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리그컵 2008 · 더보기 »

리그컵 2009

2009년 리그컵 (공식 대회명칭: 피스컵 코리아 2009)은 리그컵의 17번째 대회이며 기존의 리그컵 스폰서를 해오던 삼성전자의 스폰서 포기 이후, 한국프로축구연맹 회장인 곽정환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피스컵 조직위원회에서 지원하면서 결정된 대회 명칭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리그컵 2009 · 더보기 »

마철준

마철준(馬哲俊, 1980년 11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마철준 · 더보기 »

문민귀

문민귀(文民貴, 1981년 11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문민귀 · 더보기 »

문창진

문창진(1993년 7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문창진 · 더보기 »

감독 대행

독 대행 (Caretaker manager)은 프로스포츠에서 감독이 임기 중 경질이나 자진 사퇴로 팀을 떠났을 경우 혹은 유고시 권한과 직무를 이어받아 정식 감독이 임명될 때 까지 팀을 지도하는 감독을 뜻. 분류:스포츠 용어 분류:축구 용어 분류:스포츠 관련 직업.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감독 대행 · 더보기 »

배슬기 (축구 선수)

배슬기(1985년 6월 9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배슬기 (축구 선수) · 더보기 »

배천석

배천석(裵千奭, 1990년 4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배천석 · 더보기 »

백록기 축구대회

백록기 축구대회는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열리는 고교 축구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백록기 축구대회 · 더보기 »

백기태

백기태(1979년 4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축구 지도자로 선수로 활동할 당시 포지션은 미드필더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백기태 · 더보기 »

백기홍

백기홍(1971년 3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내셔널리그 강릉시청의 수석코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백기홍 · 더보기 »

박진옥

박진옥(朴鎭玉, 1982년 5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진옥 · 더보기 »

박창현 (1966년)

박창현(1966년 6월 8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지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창현 (1966년) · 더보기 »

강상우

강상우(1993년 10월 7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강상우 · 더보기 »

박태하

박태하(朴泰夏, 1968년 5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태하 · 더보기 »

강수일

강수일 (姜修一, 1987년 7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주한 미군으로 한국에서 살았던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강수일 · 더보기 »

강현무

강현무 (1995년 3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강현무 · 더보기 »

박선용

박선용(1989년 3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풀백(오른쪽)이고 수비형 미드필더도 소화 가능.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선용 · 더보기 »

박선주 (축구 선수)

박선주(朴宣住, 1992년 3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선주 (축구 선수) · 더보기 »

박성우 (1995년)

박성우(1995년 10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성우 (1995년) · 더보기 »

박성호 (1982년)

박성호(朴成鎬, 1982년 7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성호 (1982년) · 더보기 »

박성화

박성화(朴成華, 1955년 5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 및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성화 · 더보기 »

박원재

박원재(朴源載, 1984년 5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박원재 · 더보기 »

가와사키 프론탈레

와사키 프론탈레(Kawasaki Frontale)는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팀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가와사키 프론탈레 · 더보기 »

경남 FC

경남 FC(Gyeongnam Football Club, 경남 도민프로축구단)는 K리그1에 소속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경상남도를 연고로 하고 있으며 창원시에 위치한 창원축구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경남 FC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고란 페트레스키

스키(1972년 5월 23일 ~)은 마케도니아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고란 페트레스키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고려대학교 · 더보기 »

고무열

무열(高武烈, 1990년 9월 5일 ~)은 대한민국 아산 무궁화에 소속되어 있는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고무열 · 더보기 »

고병운

병운(高炳運, 1973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며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고병운 · 더보기 »

고기구

(高基衢, 1980년 7월 31일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고기구 · 더보기 »

공문배

공문배(孔文培, 1964년 8월 28일~)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전 건국대학교 축구부의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공문배 · 더보기 »

광주 FC

광주 FC는 광주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광주 FC · 더보기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Confederation Of North, Central American and Caribbean Association Football)은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제도 지역의 축구 종목을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더보기 »

권완규

완규(權完規, 1991년 11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권완규 · 더보기 »

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 FC(Busan IPark Football Club, 부산 아이파크 축구단)는 부산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부산 아이파크 · 더보기 »

브라질

브라질 연방공화국(), 줄여서 브라질()은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브라질 · 더보기 »

금석배 전국학생 축구대회

석배 전국학생 축구대회는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열리는 전국 규모의 초·중·고 학생 축구대회로, 축구인 채금석을 기념하기 위하여 1992년 창설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금석배 전국학생 축구대회 · 더보기 »

김동기 (축구 선수)

동기(1989년 5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동기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로만

만(Kim Roman 1996년 8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로만 · 더보기 »

김민혁 (1992년 8월)

민혁(金珉赫, 1992년 8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민혁 (1992년 8월) · 더보기 »

김병지

병지 (金秉址, 1970년 4월 8일 ~)11월 29일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병지 · 더보기 »

김광석 (축구 선수)

광석(1983년 2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광석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기동 (축구인)

동(金基東, 1971년 음력 5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기동 (축구인) · 더보기 »

김대호 (1988년)

호(1988년 5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대호 (1988년) · 더보기 »

김대환 (축구인)

환(金大桓, 1976년 1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대환 (축구인) · 더보기 »

김승대

승대(金承大, 1991년 4월 1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승대 · 더보기 »

김재성 (축구 선수)

재성 (金在成, 1983년 10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형 미.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재성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준수 (축구 선수)

준수(1991년 7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준수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철수 (축구인)

수(1952년 7월 6일)는 한국의 전 프로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철수 (축구인) · 더보기 »

김상호 (축구인)

상호(1964년 10월 5일 -)는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출신의 축구 감독이으로 과거 포항 스틸러스와 전남 드래곤즈에서 선수로 활동하였고,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전력강화실장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상호 (축구인) · 더보기 »

김태수 (축구 선수)

수(1981년 8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 2017년 현재 K리그 챌린지 FC 안양 소속의 플레잉 코치로 뛰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태수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현솔

현솔(Chico, 1991년 5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적 역시 가지고 있는 다중국적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현솔 · 더보기 »

김형일 (축구 선수)

형일(1984년 4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형일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성주 (축구 선수)

성주(1990년 1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현재 K리그 클래식 울산 현대에서 활약하고 있. 2015년 김영근(金永根)에서 개명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성주 (축구 선수) · 더보기 »

김원일 (축구 선수)

원일(金源一, 1986년 10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자, 현재 K리그 클래식 제주 유나이티드 소속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김원일 (축구 선수) · 더보기 »

대구 FC

FC는 대구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구 FC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전 시티즌

전 시티즌 FC(Daejeon Citizen Football Club, 대전 시티즌 축구단)는 1997년에 창단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대전광역시를 연. 현재 K리그2에 참가하고 있. 처음에는 대전과 충청 지역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구단을 출범시켰지만, 2005년 11월부터 시민주 공모를 통한 준비작업을 거쳐 2006년 3월 12일 시민구단으로 공식 재출범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전 시티즌 · 더보기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통령배 전국축구대회는 아마추어 성인 축구의 최강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매년 상반기에 개최되었으며 1952년 시작되어 똑같은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는 몇 안 되는 전통의 축구대회였으나 2009년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 더보기 »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

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는 1968년부터 열리고 있는 전국 남자 고등학교 축구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통령금배 전국고교축구대회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민국 축구 국가대표팀(大韓民國 蹴球 國家代表-)은 대한민국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구성.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구정컵

정컵 국제축구대회(Lunar New Year Cup)는 홍콩에서 설날을 전후로 열리는 국제축구 대회로 과거 스폰서명에 의해 칼스버그컵 축구대회(Carlsburg Cup)라고도 불. 2010년과 2011년에는 아시안 챌린지컵(Asian Challenge Cup)이라는 이름으로 개최했으며 2013년부터 다시 구정컵이라는 이름으.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구정컵 · 더보기 »

국립 경기장 (도쿄도)

국립 경기장()은 일본 도쿄도 신주쿠 구의 스포츠 컴플렉스인 국립 가스미가오카 경기장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국립 경기장 (도쿄도) · 더보기 »

국태정

국태정 (1995년 9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국태정 · 더보기 »

남아메리카

아메리카() 또는 남미(南美)는 서반구에 위치한 대륙으로, 대부분 남반구에 위치해 있고 일부분은 북반구에 걸쳐 있. 북쪽으로는 파나마 지협을 통해 북아메리카와 연결되며, 서쪽에는 태평양, 북동쪽에는 대서양, 남쪽에는 남극해와 접. "아메리카"란 이름은 1580년 지도 제작자 마르틴 발트제뮐러와 마티아스 링만이 아메리카 대륙이 동인도가 아닌 신세계임을 주장한 최초의 유럽인인 아메리고 베스푸치 이름에서 지은 데서 나온 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남아메리카 · 더보기 »

내셔널리그 (대한민국)

셔널리그(Korea National League)는 한국실업축구연맹이 주관하는 세미프로 리그 형태의 실업축구 리그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3부 리그 격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내셔널리그 (대한민국) · 더보기 »

노동건

동건 (盧東健, 1991년 10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뛰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노동건 · 더보기 »

노병준

병준 (盧炳俊, 1979년 9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노병준 · 더보기 »

노태경

경(1972년 4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노태경 · 더보기 »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

슬 유나이티드 제츠 FC(Newcastle United Jets FC)는 A리그에 소속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FC · 더보기 »

FA컵 (대한민국)

FA컵(FA Cup)은 대한민국에서 열리고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하는 축구대회로 승자전 방식으로 진행.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대한민국) · 더보기 »

FA컵 1996

1996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제1회 FA CUP 축구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원년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1996 · 더보기 »

FA컵 1997

1997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제2회 FA CUP 축구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두 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1997 · 더보기 »

FA컵 1998

1998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제3회 삼보체인지업 FA CUP 축구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세 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1998 · 더보기 »

FA컵 2001

2001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01 서울은행 FA CUP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6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01 · 더보기 »

FA컵 2002

2002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02 하나-서울은행 FA CUP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7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02 · 더보기 »

FA컵 2007

2007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07 하나은행 FA CUP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로, 프로팀 이외에 실업팀, 대학팀, 아마추어 성인 팀이 모두 참여하여 2007년 한국 축구 최강팀을 가리는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07 · 더보기 »

FA컵 2008

2008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08 하나은행 FA CUP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은 포항 스틸러스가 대회원년인 1996년 이후 12년 만에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끝. 포항이 FA컵에서 우승한 것은 1996년에 이어 두 번째이면서 2001년 옛 전국선수권대회 통합 이후 첫 우승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08 · 더보기 »

FA컵 2011

2011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11 하나은행 FA CUP)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16번째 시즌이며 전신인 전국선수권대회 (2001년 통합)을 포함할 시 66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11 · 더보기 »

FA컵 2012

2012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12 하나은행 FA CUP)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17번째 시즌이며 전신인 전국선수권대회 (2001년 통합)을 포함할 시 67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12 · 더보기 »

FA컵 2013

2013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 2013 하나은행 FA CUP)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한 컵 대회인 FA컵의 18번째 시즌이며 전신인 전국축구선수권대회 (2001년 통합)를 포함할 시 68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13 · 더보기 »

FA컵 2014

2014년 대한민국 FA컵 (공식 대회명칭: 2014 하나은행 FA CUP)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하는 컵 대회인 FA컵의 19번째 시즌이며 전신인 전국축구선수권대회 (2001년 통합)를 포함할 시 69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2014 · 더보기 »

FC 바르셀로나

FC 바르셀로나의 홈구장 캄 노우 풋볼 클럽 바르셀로나 (축구단 바르셀로나)는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바르셀로나를 연고지로 하는 세계 최초이자 세계 최대 규모로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되는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C 바르셀로나 · 더보기 »

FC 부뇨드코르

FC 부뇨드코르()는 우즈베키스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타슈켄트를 연. 부뇨드코르는 2005년에 PFC 쿠루프치라는 명칭으로 창단되었으며 2007 시즌에 우즈벡 리그 준우승을 하면서 AFC 챔피언스리그에 처음으로 진출, 준결승까지 올. 이후 2008년 8월에 클럽 명칭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C 부뇨드코르 · 더보기 »

FC 서울

FC 서울(Football Club Seoul)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K리그1 소속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C 서울 · 더보기 »

FIFA 클럽 월드컵

FIFA 클럽 월드컵 트로피 FIFA 클럽 월드컵(FIFA Club World Cup, 공식명: FIFA Club World Championship)은 국제 축구 연맹(FIFA) 주관으로 1년마다 열리는 축구 대회로, 6개 대륙의 클럽간 컵 대회 우승 팀이 참가하는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IFA 클럽 월드컵 · 더보기 »

FIFA 클럽 월드컵 2009

FIFA 클럽 월드컵 2009()은 2009년 12월 9일부터 19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FIFA 클럽 월드컵 2009 · 더보기 »

스테비차 리스티치

스테비차 리스티치(1982년 5월 23일 ~)는 세르비아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브르샤츠 출생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스테비차 리스티치 · 더보기 »

우주소년 아톰

《우주소년 아톰》은 테즈카 오사무(手塚治虫)가 1952년부터 1968년까지 쇼넨(少年)지에 연재한 SF만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우주소년 아톰 ·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약칭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내륙국이고, 수도는 타슈켄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우즈베키스탄 · 더보기 »

우찬양

우찬양(1997년 4월 27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우찬양 · 더보기 »

우성용

우성용(禹成用, 1973년, 8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서 현재 인천 유나이티드 U-15 팀의 감독을 맡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우성용 · 더보기 »

울산 현대 축구단

울산 현대 축구단(Ulsan Hyundai Football Club)은 울산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울산 현대 축구단 · 더보기 »

승부차기

축구에서 승부차기(Penalty Shoot-out)는 승자를 가려야 하는 상황에서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때 쓰는 방법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승부차기 · 더보기 »

장결희

장결희(1998년 4월 4일 ~)는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소속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장결희 · 더보기 »

장철용

장철용(1995년 11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장철용 · 더보기 »

장학영

장학영(1981년 8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왼쪽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장학영 · 더보기 »

임민혁 (1994년)

임민혁(1994년 3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임민혁 (1994년) · 더보기 »

임경훈 (축구인)

임경훈(林敬勳, 1984년 3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축구 지도자로 선수로 활동할 당시 포지션은 수비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임경훈 (축구인) · 더보기 »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POSCO, Pohang Iron and Steel Company)는 철강 회사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스코 · 더보기 »

포스코그룹

스코그룹(POSCO group)은 포스코를 중심으로 한 기업집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스코그룹 · 더보기 »

포항 스틸러스 2013 시즌

항 스틸러스의 2013 시즌은 황선홍 감독의 3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 스틸러스 2013 시즌 · 더보기 »

포항스틸야드

항스틸야드(浦項 -, Pohang Steel Yard)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괴동동 포스코 내에 위치한 관중석 17,443석(최대 수용 가능인원 25,000명) 규모의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1990년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건립된 축구 전용 경기장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스틸야드 · 더보기 »

포항제철고등학교

항제철고등학교(浦項製鐵高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고등학교 · 더보기 »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

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포항제철고등학교 소속의 축구부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 · 더보기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항제철공업고등학교(浦項製鐵工業高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더보기 »

포항제철중학교

항제철중학교(浦項製鐵中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동에 위치한 사립 중학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중학교 · 더보기 »

포항제철초등학교

항제철초등학교(浦項製鐵初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초등학교 · 더보기 »

포항제철서초등학교

항제철서초등학교(浦項製鐵西初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효자동에 있던 사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제철서초등학교 · 더보기 »

포항시

항시(浦項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포항시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래준

이래준(1997년 3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주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래준 · 더보기 »

이동국

이동국 (李同國 단, 호적상의 이름을 바꾼 것은 아님., 1979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동국 · 더보기 »

이명주 (축구 선수)

이명주 (李明周, 1990년 4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명주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민성

이민성 (李敏成, 1973년 6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민성 · 더보기 »

이광재 (축구 선수)

이광재(1980년 1월 1일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광재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광혁

이광혁(1995년 9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광혁 · 더보기 »

이광훈 (축구 선수)

이광훈(1993년 11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3리그 청주 시티 FC 소속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광훈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근호 (1996년)

이근호(1996년 5월 21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중앙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근호 (1996년) · 더보기 »

이기근

이기근(李基根, 1965년 8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기근 · 더보기 »

이승모

이승모(1998년 3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승모 · 더보기 »

이승기 (축구 선수)

이승기(李承琪, 1988년 6월 2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승기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승희 (1988년)

이승희(李承煕,1988년 6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승희 (1988년) · 더보기 »

이회택

이회택(李會澤, 1946년 10월 11일 ~)은 은퇴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회택 · 더보기 »

이흥실

이흥실(李興實, 1961년 5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자, 현 안산 그리너스 FC의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흥실 · 더보기 »

이준희 (1993년)

이준희 (1993년 12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골키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준희 (1993년) · 더보기 »

이진현

이진현(1997년 8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진현 · 더보기 »

이진행

이진행(李晉行, 1971년 7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진행 · 더보기 »

이창원

이창원(1975년 7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창원 · 더보기 »

이상기 (1996년)

이상기(1996년 5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상기 (1996년) · 더보기 »

이영상

이영상(1967년 2월 24일~)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순천고등학교 축구부의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영상 · 더보기 »

이티하드 FC

알이티하드 클럽 사우디아라비아()는 흔히 알이티하드라 불리며, 알이티하드의 뜻은 연합을 뜻. 이 구단은 지다를 연고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프로축구단으로, 1927년에 창단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티하드 FC · 더보기 »

이싸빅

이싸빅(李싸빅, 1973년 5월 29일 ~)은 크로아티아계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투즐라 출생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싸빅 · 더보기 »

이원재 (축구 선수)

이원재(1986년 2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원재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원철 (축구인)

이원철(1967년 5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원철 (축구인) · 더보기 »

이원영 (축구 선수)

이원영(1981년 3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원영 (축구 선수) · 더보기 »

이후권

이후권(李厚權, 1990년 10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이후권 · 더보기 »

인천 유나이티드 FC

인천 유나이티드 FC(Incheon United Football Club, 인천 유나이티드 축구단)는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하는 대한민국 K리그1 소속의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인천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일본 · 더보기 »

제로톱

원톱, 투톱 등 최전방 공격수를 두지 않는 전술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제로톱 · 더보기 »

제주 유나이티드 FC

제주 유나이티드 FC(Jeju United Football Club, 제주 유나이티드 축구단)는 K리그1에 소속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제주특별자치도를 연고지로 두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제주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제테르송 아우베스 두스 산투스

제테르송 아우베스 두스 산투스(1991년 5월 16일 ~)는 통상 제테르송()이라고 불리는 브라질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윙어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제테르송 아우베스 두스 산투스 · 더보기 »

전북 현대 모터스

전북 현대 모터스 FC(Jeonbuk Hyundai Motors Football Club, 전북 현대 모터스 축구단)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이며, 현재 K리그1에 속해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북 현대 모터스 · 더보기 »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全國 初中高 蹴球리그)는 대한민국 유소년 선수들이 참가하는 축구 리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국 초중고 축구리그 · 더보기 »

전국체육대회

민국 전국체육대회(大韓民國 全國體育大會)는 대한민국에서 매년 개최되는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국체육대회 · 더보기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1945년 해방 이전에는 1921년부터 조선체육회에서 주관하는 전조선축구대회가 열려왔으나, 일제의 침략정책 강화로 인해 1940년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열리지 못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더보기 »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소년체육대회(全國少年體育大會)는 1972년 이후로 매년 실시되는 대한민국의 체육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국소년체육대회 · 더보기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64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실업축구연맹에 의해 매년 봄과 가을에 나뉘어 열렸던 실업축구 정규리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더보기 »

전남 드래곤즈

전남 드래곤즈 FC(Jeonnam Dragons Football Club, 전남 드래곤즈 축구단)는 1994년에 창단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K리그1에 속해 있. 이 팀은 전라남도를 연고지로 하고 있. 1995년에 프로축구대회에 진출한 이래로, 1997년과 2006년 그리고 2007년에 FA컵에서 3번이나 정상에 올랐지만 아직 K리그 클래식 우승은 차지하지 못. 광양시에 있는 홈구장 광양축구전용구장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광양제철 직원들을 위해서 1992년에 기공하여 1993년 개장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전남 드래곤즈 · 더보기 »

정원진

정원진(政原進, 1994년 8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리그1 포항 스틸러스에서 활약하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정원진 · 더보기 »

조민우

조민우(趙民宇, 1992년 5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리그 클래식 포항 스틸러스에서 뛰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조민우 · 더보기 »

조긍연

조긍연(趙兢衍, 1961년 3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자 행정가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조긍연 · 더보기 »

조찬호

조찬호(1986년 4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윙어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조찬호 · 더보기 »

조윤옥

조윤옥(1937년 ~ 2002년 6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및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조윤옥 · 더보기 »

조수철

조수철(1990년 10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며, 현재 대한민국 상주 상무에서 활약하고 있. 풍부한 활동량과 상대의 공격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헌신적인 플레이, 역습의 시발점이 되는 정확한 긴 패스가 장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조수철 · 더보기 »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1980년 11월 21일 ~)는 모따로 불리는 브라질 포르탈레자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중국 · 더보기 »

창춘 야타이

창춘 야타이 FC()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창춘 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창춘 야타이 · 더보기 »

축구

축구 경기장 모형 축구(蹴球)는 손과 팔을 제외한 신체를 사용해 공을 다루는 구기 경기 종목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축구 · 더보기 »

축구단

축구단은 축구 경기를 하는 여러 명의 선수들로 이루어진 팀과 코칭스태프로 구성된 선수단 그리고 이런 팀을 운영하는 스태프로 구성되어 있. 종종 대안적인 이름인 축구 "클럽(Club)"을 사용하는데, "팀(Team)"은 다른 디비전이나 리그에 참가하는 개별적인 팀을 보유한 법인 조직이 있는 클럽을 뜻.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축구단 · 더보기 »

카타르

르국(), 약칭 카타르()는 중동에 있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도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카타르 · 더보기 »

카타르 SC

르 스포츠 클럽()은 카타르 도하에 위치한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카타르 SC · 더보기 »

코너 채프먼

먼(1994년 10월 31일 ~)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코너 채프먼 · 더보기 »

유동관

유동관(柳東官, 1963년 5월 12일 ~)은 한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유동관 · 더보기 »

윤성효

윤성효(尹星孝, 1962년 5월 18일, 김해시 ~)는 전 대한민국 축구 선수 및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윤성효 · 더보기 »

윤원일 (1983년)

윤원일(尹元一, 1983년 3월 31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윤원일 (1983년) · 더보기 »

위약금

위약금이란 채무불이행의 경우에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지급할 것을 약속한 금전 기타의 것을 말.(대 한민국 민법 제398조 5항) 위약금은 그 약정목적에 따라 위약벌과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분류되는데 위약금의 약정은 당사자 사이의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추정.(대한민국 민법 제398조 제4항) 따라서 반증을 들어서 위약벌이라고 주장할 수 있. 위약금은 당사자의 약정에 따라 위약벌(違約罰), 제재금(制裁金)으로 하는 취지일 수도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위약금 · 더보기 »

상주 상무 축구단

상주 상무 축구단은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으로 현재 K리그1에 참가하고 있. 연고지는 경상북도 상주시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상주 상무 축구단 · 더보기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1995년 12월 15일에 창단한 대한민국의 K리그1 소속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더보기 »

오범석

오범석(吳範錫, 1984년 7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이며 가끔 수비형 미. 현재 K리그 클래식 강원 FC에 소속되어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오범석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줄여서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호주는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나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본토와 태즈메이니아 섬, 그리고 인도양과 태평양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 세계에서 6번째로 면적이 넓은 나라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오스트레일리아 · 더보기 »

오창현 (1993년)

오창현(1993년 3월 2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리그 챌린지 성남 FC에서 활약하고 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오창현 (1993년) · 더보기 »

최문식

문식(1971년 1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문식 · 더보기 »

최백호

백호(崔百浩, 1950년 4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백호 · 더보기 »

최효진 (축구 선수)

효진 (崔孝鎭, 1983년 8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효진 (축구 선수) · 더보기 »

최은택

은택(1941년~ 2007년)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은택 · 더보기 »

최은성

은성 (崔殷誠, 1971년 4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골키퍼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은성 · 더보기 »

최종범 (축구인)

종범(1978년 3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종범 (축구인) · 더보기 »

최진철

(崔眞喆, 1971년 3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현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진철 · 더보기 »

최상국

상국(崔相國, 1961년 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상국 · 더보기 »

최순호

순호 (崔淳鎬, 1962년 1월 10일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최순호 · 더보기 »

양동현

양동현(梁東賢, 1986년 3월 28일 ~, 광양)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양동현 · 더보기 »

양태렬

양태렬(1995년 5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양태렬 · 더보기 »

에스투디안테스

에스투디안테스(Estudiantes)는 스페인어로 '학생들'을 의미.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에스투디안테스 · 더보기 »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라플라타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속해 있.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09 우승, FIFA 클럽 월드컵 2009 준우승으로 세계 클럽 랭킹 2위에 오르는 등 최근 뛰어난 실적을 보이고 있. 1960년대 후반에 열렸던 여러 국제 대회 석권으로 인해 아르헨티나 전역에서 팬층이 분포하고 있. 에스투디안테스의 팬들은 (비록 보카, 리베르, 인데펜디엔테의 3강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충성도가 높은 팬 중의 하나로 여. 라플라타에서는 주로 중산층의 지지를 받고 있. 또한 노동자 계층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힘나시아와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 (클라시코 플라텐세 참조.).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 · 더보기 »

여성해

여성해(呂成海, 1987년 8월 6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여성해 · 더보기 »

허정무

정무(許丁茂, 1955년 1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허정무 · 더보기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또는)는 중동에 있는 전제군주국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사우디아라비아 · 더보기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로고 마이스터 고등학교(Meister School)는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0조 제1항제10호에서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정의되는 대한민국의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한 종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 더보기 »

킹스컵 (축구)

킹스컵 국제 축구 대회()는 매년 태국에서 개최되는 초청식 국제 축구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킹스컵 (축구) · 더보기 »

프리킥

리킥(free kick)은 축구, 럭비 등의 스포츠 경기에서 심판에 의하여 반칙으로 지적되었을 때 상대편에게 주어지는 킥으로 시합을 재개하는 방법 중 하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프리킥 · 더보기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성균관대학교 · 더보기 »

성남 FC

성남 FC(Seongnam Football Club, 성남 시민프로축구단)는 경기도 성남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 K리그2의 프로 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성남 FC · 더보기 »

세르지우 파리아스

세르지우 히카르두 지 파이바 파리아스(1967년 6월 9일 ~)은 브라질 출신의 축구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세르지우 파리아스 · 더보기 »

세미프로

세미프로(Semi-pro)는 반(半)직업 선수를 의미.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세미프로 · 더보기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Central Coast Mariners FC)는 A리그에 소속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축구단으로, 연고지는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시드니의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져 있는 센트럴코스트의 고스퍼드에 자리잡고 있.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는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의 1부 리그인 A리그에 참가하고 있.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제츠, 시드니와 함께 A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뉴사우스웨일스 주 클럽 세 팀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FC · 더보기 »

서보민

서보민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서보민 · 더보기 »

손준호 (축구 선수)

손준호(孫準浩, 1992년 5월 12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손준호 (축구 선수) · 더보기 »

송승민 (축구 선수)

송승민(1992년 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송승민 (축구 선수) · 더보기 »

톈진 테다

이다()는 중화인민공화국 톈진 시를 연고로 하는 축구 팀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톈진 테다 · 더보기 »

쇄국정책

경주박물관 척화비 쇄국정책(鎖國政策)은 말뜻은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정책을 말하며, 정치·외교·통상에서는 이윤의 확보나 자기 방위 및 국제적 고립 상태의 유지가 불가피할 때 외국인의 입국이나 무역을 통제하는 정책을 일컫.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쇄국정책 · 더보기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Adelaide United FC)는 A리그에 소속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축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해트트릭

릭(Hat-trick)은 축구, 아이스하키 등에서 한 선수가 한 게임에서 3득점 달성하거나 한 팀이 3년 또는 3번의 대회 연속으로 대회 타이틀을 석권했을 때 칭. ‘해트트릭’이라는 말은 20세기 초 영국 크리켓 게임에서 3명의 타자를 연속아웃시킨 투수에게 새 모자를 주어 그 명예를 칭송할 수 있었던 것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해트트릭 · 더보기 »

한국프로축구연맹

국프로축구연맹(韓國프로蹴球聯盟)은 대한민국 프로축구 K리그의 수준 향상과 저변확대, 국제교류 등 축구를 통해 국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 도모 및 스포츠 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한국프로축구연맹 · 더보기 »

한양대학교

양대학교의 위치(한반도) 한양대학교의 위치(서울/경기) 한양대학교(漢陽大學校, Hanya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에 있는 서울캠퍼스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에 있는 ERICA캠퍼스로 이루어진 사립 대학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한양대학교 · 더보기 »

알아흘리 사우디 FC

알아흘리(الأهلي السعودي‎, Al-Ahli‎)는 지다에 위치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알아흘리 사우디 FC · 더보기 »

한홍기

홍기는 대한민국의 축구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한홍기 · 더보기 »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1983년 7월 30일 ~)는 브라질 캄피나스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안드레 루이스 타바레스 · 더보기 »

안드레 모리츠

안드레 프란시스코 모리츠 (1986년 8월 6일 ~)는 독일계이자 이탈리아계인 브라질 국적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안드레 모리츠 · 더보기 »

안재훈

안재훈(安在勳, 1988년 2월 1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안재훈 · 더보기 »

하노이 FC

이 FC()는 베트남 수도 하노이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하노이 FC · 더보기 »

하창래

창래(1994년 10월 16일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현재 K리그1 포항 스틸러스에 소속되어 있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하창래 · 더보기 »

하파에우 베르게르

에우 베르게르(1989년 8월 7일 ~)는 통상 알레망()이라고 불리며, 독일계 브라질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센터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하파에우 베르게르 · 더보기 »

하석주

석주(河錫舟, 1968년 2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하석주 · 더보기 »

아드리아누 슈바

아드리아누 네베스 페레이라(1979년 5월 24일 ~)는 흔히 아드리아누 슈바로 불리는 브라질 카팡다카노아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드리아누 슈바 · 더보기 »

아산 무궁화 축구단

아산 무궁화 축구단(Asan Mugunghwa Football Club)은 충청남도 아산시를 연고지로 한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으로, 경찰대학 부설 기관인 무궁화체육단 산하의 군경구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산 무궁화 축구단 · 더보기 »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Afro-Asian Club Championship)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과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대회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더보기 »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아프리카(Africa, 음역: 아비리가(阿非利加))는 아시아 다음으로 면적이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프리카 · 더보기 »

아시안 슈퍼컵

아시안 슈퍼컵(Asian Super Cup)은 아시아 챔피언스컵 우승 팀과 아시안 컵위너스컵 우승 팀이 맞붙는 대회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시안 슈퍼컵 · 더보기 »

아시안 슈퍼컵 1997

아시안 슈퍼컵 1997은 아시안 슈퍼컵의 3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시안 슈퍼컵 1997 · 더보기 »

아시안 슈퍼컵 1998

아시안 슈퍼컵 1998은 아시안 슈퍼컵의 4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시안 슈퍼컵 1998 · 더보기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97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97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16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97 · 더보기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은 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17번째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 · 더보기 »

아틀란테 FC

아틀란테 풋볼 클럽(Atlante Fútbol Club) 또는 아틀란테(Atlante)는 멕시코의 축구 클럽으로, 캉쿤을 연. 이 클럽은 1916년에 창단되었으며 2007년 멕시코 시티에서 현재의 연고지인 캉쿤으로 연고지 이전을 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아틀란테 FC · 더보기 »

신광훈

신광훈 (申光勳, 1987년 3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오른쪽 풀백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신광훈 · 더보기 »

신진호

신진호(申塡浩, 1988년 9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신진호 · 더보기 »

신화용

신화용(申和容, 1983년 4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신화용 · 더보기 »

심동운

심동운(沈東雲, 1990년 3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심동운 · 더보기 »

티키타카

()는 스페인어로 탁구공이 왔다갔다 한다는 뜻으로 축구에서 짧은 패스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전술을 말. 스페인의 프리메라리가인 FC 바르셀로나가 티키타카를 애용하는것으로 유명.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티키타카 · 더보기 »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1975년 3월 9일 아르헨티나 라 플라타 ~)은 아르헨티나를 대표했던 중앙 미. 파르마와 라치오에서 성공적인 활약을 하였는데, 파르마에서는 UEFA컵 우승을 이끌어 냈고, 라치오에선 세리에 A 우승을 이끌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 더보기 »

움살랄 SC

움살랄 스포츠 클럽()은 움살랄에 연고지를 두고 있는 카타르의 축구 클럽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움살랄 SC · 더보기 »

홍명보

홍명보 (洪明甫, 1969년 2월 12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전 축구 감독이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홍명보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홍콩 · 더보기 »

황재원

황재원(黃載元, 1981년 4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황재원 · 더보기 »

황희찬

황희찬 (黄喜燦,1996년 1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황희찬 · 더보기 »

황진성 (축구 선수)

황진성(黃辰成, 1984년 5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황진성 (축구 선수) · 더보기 »

황지수

황지수(黃智秀, 1981년 3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황지수 · 더보기 »

황선홍

황선홍 (黃善洪, 1968년 7월 14일,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축구 지도자이다. 가장 최근에 지휘봉을 잡고 있었던 팀은 FC 서울이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황선홍 · 더보기 »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는 한국유소년축구연맹에서 주최·주관하는 초등학교 학생 대상 축구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화랑대기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 · 더보기 »

와우데마르 레무스 지 올리베이라

와우데마르 레무스 지 올리베이라(1954년 5월 6일 ~)은 브라질 출신의 축구 감독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와우데마르 레무스 지 올리베이라 · 더보기 »

K리그

K리그(K League)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Korea Professional Football League)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에 위치한 프로 리그인 K리그1과 K리그2를 통칭하는 이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 더보기 »

K리그 1983

1983년 대한민국 프로축구(1983 K-League)는 蹴球수퍼리그战(축구수퍼리그전) 라는 이름으로 1983년 4월 12일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써 출범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3 · 더보기 »

K리그 1985

K리그 1985는 K리그의 3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5 · 더보기 »

K리그 1986

K리그 1986는 K리그의 4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6 · 더보기 »

K리그 1987

K리그 1987은 K리그의 5번째 시즌으로 K리그 역사상, 프로팀들로만 리그를 치룬 첫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7 · 더보기 »

K리그 1988

K리그 1988은 K리그의 6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8 · 더보기 »

K리그 1989

K리그 1989는 K리그의 7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89 · 더보기 »

K리그 1990

K리그 1990은 K리그의 8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0 · 더보기 »

K리그 1991

K리그 1991은 K리그의 9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1 · 더보기 »

K리그 1992

K리그 1992은 K리그의 10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2 · 더보기 »

K리그 1993

K리그 1993은 K리그의 11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3 · 더보기 »

K리그 1994

K리그 1994은 K리그의 12번째 시즌이자 이번 시즌은 한국프로축구 최초으로 리그 타이틀 스폰서 제도가 도입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4 · 더보기 »

K리그 1995

범 13년째 맞는 1995년 대회는 작년대회와 마찬가지로 하이트배 코리안 리그로 대회를 이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5 · 더보기 »

K리그 1996

1996년에 이르러 연맹은 리그에 대한 몇 가지 개선 방안을 내놓았.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6 · 더보기 »

K리그 1997

범 15년째를 맞는 1997 프로축구는 대전 시티즌의 창단으로 10개팀으로 늘어난데다 전력의 평준화로 어느 해보다 우승의 향방을 가늠하기가 쉽지 않았.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7 · 더보기 »

K리그 1998

K리그 1998는 1998년 FIFA 월드컵에서 대표팀의 부진으로 인해 축구 열기가 가라앉을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고종수, 이동국, 안정환 등의 걸출한 신예 스타의 등장으로 K-리그는 새로운 르네상스를 이룩하게 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1998 · 더보기 »

K리그 2000

2000년 K리그는 삼성전자와 타이틀 스폰서를 맺게 되면서 2000 삼성디지털 K-리그라는 대회명으로 치러졌.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0 · 더보기 »

K리그 2003

삼성 하우젠 K-리그 2003은 3월 23일부터 11월 16일까지 진행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3 · 더보기 »

K리그 2004

K-리그 2004는 1996년 이후 8년 만에 전후기 양대 리그로 나뉘어, 전후기 각각 팀당 12경기씩 치러 순위를.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4 · 더보기 »

K리그 2006

삼성 하우젠 K-리그 2006은 3월 12일 시작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6 · 더보기 »

K리그 2007

K-리그 2007 시즌은 3월 3일에 시작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7 · 더보기 »

K리그 2008

K-리그 2008 참가팀 위치 삼성 하우젠 K-리그 2008 시즌은 3월 8일 (토요일) 전년도 리그 우승 팀인 포항 스틸러스와 FA컵 우승 팀인 전남 드래곤즈의 경기로 시작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8 · 더보기 »

K리그 2009

K리그 2009 정규리그는 스폰서를 구하지 못해 대회명칭을 2009 K-리그로 하고 2009년 3월 7일 (토요일) 전년도 리그 우승 팀인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FA컵 우승 팀인 포항 스틸러스의 경기로 시작되어 11월 1일 (일요일)까지 진행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09 · 더보기 »

K리그 2010

K리그 2010 정규리그는 2010년 2월 27일(토요일)과 2월 28일(일요일)에 개막.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10 · 더보기 »

K리그 2011

K리그 2011은 K리그의 29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11 · 더보기 »

K리그 2012

K리그 2012는 K리그의 30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2012 · 더보기 »

K리그 도움상

역대 K리그와 리그컵, R리그에서 도움상을 수상한 선수들의 명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도움상 · 더보기 »

K리그 감독상

K리그 감독상은 역대 K리그에서 올해의 감독상을 받은 프로축구단 감독들의 명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감독상 · 더보기 »

K리그 베스트 11

역대 K리그에서 시즌별 베스트 11에 선정된 선수들의 명단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베스트 11 · 더보기 »

K리그 클래식 2013

K리그 클래식 2013은 K리그의 31번째 시즌이자 K리그 클래식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 첫 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클래식 2013 · 더보기 »

K리그 클래식 2014

K리그 클래식 2014는 1983년에 설립된 K리그의 32번째 시즌이자 K리그 클래식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 2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클래식 2014 · 더보기 »

K리그 클래식 2015

K리그 클래식 2015은 1983년에 출범한 K리그 클래식의 33번째 시즌이자 승강제 도입으로 개편된 지 3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클래식 2015 · 더보기 »

K리그 클래식 2017

K리그 클래식 2017는 1983년에 설립된 K리그의 35번째 시즌이자 K리그 클래식으로 명칭이 변경된 이후 5번째 시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클래식 2017 · 더보기 »

K리그 주니어

K리그 주니어(K League Junior)는 K리그 클럽 U-18 유소년팀들의 리그를 말. K리그 주니어는 프로축구단의 유소년 클럽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하여 2008년에 출범하였.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주니어 · 더보기 »

K리그 챔피언십

K리그는 1983년에 출범한 이래 정규시즌 우승 팀을 단일리그로 가리거나 아니면 리그 종료 후에 별도의 포스트 시즌을 거쳐서 우승 팀을 가리는 방식을 혼용해 왔. 이러한 K리그 포스트 시즌 전체를 2009년부터 한국프로축구연맹에 의해서 K-리그 챔피언십으로 공식 명명되었으며 포스트 시즌 중 최종 결승전은 챔피언 결정전이라는 사용하고 있. 그리고 2009년 챔피언십 타이틀스폰서십으로 현대자동차가 후원협약을 맺게 되면서 대회 정식 명칭으로 K-리그 쏘나타 챔피언십 2009 라는 명칭으로 열리게 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챔피언십 · 더보기 »

K리그 영플레이어상

K리그 영플레이어상은 K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중 국내외 프로 리그에서 출전한 햇수가 3년 이내인 만 23세 이하의 북한국적, 해외동포를 포함한 대한민국 국적 선수를 대상으로 수여.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 영플레이어상 · 더보기 »

K리그1

K리그1(K League 1)은 1983년에 출범한 프로축구 리그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최상위 리그를 담당하고 있. 2013년부터 승강제가 완전히 도입되면서, 기존 K리그에서 K리그 클래식으로 변경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1 · 더보기 »

K리그2

K리그2(K League 2)는 대한민국의 축구 리그 시스템 중에서 2부 리그의 명칭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K리그2 · 더보기 »

R리그

R리그(리저브리그, R League)는 K리그의 2군 리그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R리그 · 더보기 »

TP 마젬베

이상 마젬베(Tout Puissant Mazembe), 약칭 TP 마젬베(TP Mazembe)는 콩고 민주 공화국 루붐바시의 축구 클럽 팀으로, 이전에는 앙글레베르(Englebert)라는 이름으로 알. 클럽 이름은 프랑스어로 "전지전능한 마젬베"를 뜻. TP 마젬베는 2010년 FIFA 클럽 월드컵 준결승전에서 남미의 강호 SC 인테르나시오나우(브라질)를 2:0으로 제압하고 유럽과 남미 이외의 클럽으로는 사상 최초로 클럽 월드컵 결승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TP 마젬베 · 더보기 »

10월 29일

10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2번째(윤년일 경우 3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0월 29일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7일

11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1번째(윤년일 경우 3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1월 7일 · 더보기 »

11월 8일

1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2번째(윤년일 경우 3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1월 8일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73년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75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81년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82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83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84년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85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0년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7년 · 더보기 »

1997년 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7년 1월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999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1월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0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5년 · 더보기 »

2005년 A3 챔피언스컵

2005년 A3 챔피언스컵은 2005년 2월 22일부터 2월 28일까지 대한민국 서귀포시에서 열린 세 번째 A3 챔피언스컵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5년 A3 챔피언스컵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7년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8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9년 · 더보기 »

2009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9년 2월 · 더보기 »

2009년 9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09년 9월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0년 · 더보기 »

2010년 2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0년 2월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4년 · 더보기 »

2014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타이에서 개최되었.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4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2014년 아시안 게임

제17회 아시안 게임은 2014년 9월 19일에서 10월 4일까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열. 총 36종목이 치러졌.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4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2015년 FIFA U-17 월드컵

2015년 FIFA U-17 월드컵은 2015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칠레에서 개최된 FIFA U-17 월드컵 대회이.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5년 FIFA U-17 월드컵 · 더보기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은 8월 4일부터 8월 20일까지 진행.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2월 9일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4월 1일 · 더보기 »

5월 29일

5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9번째(윤년일 경우 1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5월 29일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6월 24일 · 더보기 »

8월 3일

8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5번째(윤년일 경우 2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8월 3일 · 더보기 »

9월 13일

9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6번째(윤년일 경우 2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9월 13일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9월 16일 · 더보기 »

9월 24일

9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7번째(윤년일 경우 2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9월 24일 · 더보기 »

9월 26일

9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9번째(윤년일 경우 2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포항 스틸러스와 9월 2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FC 포항 스틸러스, 포항 스틸러스 FC, 포항 아톰즈, 포항 아톰스, 포항제철 돌핀스, 포항제철 돌핀스 축구단, 포항제철 축구단, 포항제철 아톰즈, 포항제철 아톰즈 축구단, 포항제철 아톰스, 포항스틸러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