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명제
명제(命題)는 논리학적으로 뜻이 분명한 문장을 말. 즉, 어떤 말을 딱 본 순간 '참' 혹은 '거짓'을 대번에 알 수 있는 말을 말. 명제는 거의 대부분의 인간들이 즉각, 맞다 틀리다 말할 수 있는 조건이지만, 현대 사회에서 거의 진리로 인정받고 있는 특정 가치관이 명제의 판별에 혼동을 주는 경우가 무시할 수 없이 많다는 것이.
무어의 역설
무어의 역설(Moore's paradox)은 조지 에드워드 무어에 의해 만들어진 역설로,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에 의해 널리 알려졌.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보조정리
수학에서, 보조 정리(補助定理, 렘마)는 이미 증명된 명제로서, 그 자체가 중시되기보다 다른 더 중대한 결과를 증명하는 디딤돌로 사용되는 명제이.
공리
공리(公理)는 어떤 이론체계에서 가장 기초적인 근거가 되는 명제(命題)이.
귀류법
법(歸謬法)은 어떤 주장에 대해 그 함의하는 내용을 따라가다보면 이치에 닿지 않는 내용 또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보여서 그 주장이 잘못된 것임을 보이는 것이.
대우 (논리학)
리학에서 대우(對偶)는 제시된 명제의 부정과 반대를 모. 예컨대 "A이면 B이다"라는 명제가 있다면 명제의 역은 "B이면 A이다"이고, 이는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고 할 때, 대우는 "B가 아니면 A가 아니다"이.
논리학
리학(論理學,, logic)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하여 그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는 학문이.
전건 긍정의 형식
전건 긍정의 형식(前件肯定形式) 또는 전건긍정식은 고전논리학의 단순하고 유효한 논증식 중 하나이.
진리
리(眞理)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참된 도리'이며, 사실이 분명하게 맞아 떨어지는 명제, 또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불변적인 사실 혹은 참된 이치나 법칙을 뜻. 참, 진실 등으로 불리.
술어
술어(述語) 혹은 명제(predicate)는 다음을 가리.
양상 논리
리학에서, 양상 논리(樣相論理)는 명제의 필연성·가능성·불가능성을 서술할 수 있는 논리 체계이.
역설
역설(逆說)은 언뜻 보면 일리가 있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분명하게 모순되어 있거나 잘못된 결론을 이끌거나 하는 논증이나 사고 실험 등을 일컫.
삼단논법
삼단논법(三段論法)은 미리 알려진 두 판단에서 그것들과는 다른 하나의 새로운 판단으로 이끄는 추리 방법이.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또한 피치의 역설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