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하현

색인 하현

현(下弦)은 망이 지난 뒤 지구와 태양, 지구와 달을 잇는 직선이 직각이 되어 달의 동쪽 절반을 볼 수 있게 되는 시기 혹은 그 현상을 가리.

13 처지: 보름달, 공전, , 달의 위상, 장축단, 이심률, 조차, 조석, 지구, 상현, 태양, 타원, 원 (기하학).

보름달

abbr.

새로운!!: 하현와 보름달 · 더보기 »

공전

공전(公轉)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 주위를 원이나 타원 궤도를 따라 도는 것을 말. 천문학에서 일컫는 공전은 은하 내의 항성들이 은하 중심에 대하여 도는 것도 공전이라고 부른.

새로운!!: 하현와 공전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하현와 달 · 더보기 »

달의 위상

의 위상 또는 월상(月相)은 달이 신월, 초승달, 상현, 보름달, 하현, 그믐으로 변화하는 위상을 말.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원리는 달이 스스로는 빛을 내지 않는 천체이기 때문에 태양에 비친 반구는 밝지만 반대쪽 반구는 암흑 상태가 되며, 그와 같은 달을 태양과 같은 쪽에서 바라보면 만월(滿月), 반대쪽에서 보면 신월(新月)이 되기 때문이.

새로운!!: 하현와 달의 위상 · 더보기 »

장축단

점 케플러 궤도 요소: ''F''점은 근점이다. ''H''점은 원점이다. 빨간 선은 장축단의 선이다. 천문학에서 장축단(長軸端, apsis)은 타원 궤도에서 초점에서의 거리가 가장 먼 원점(遠點, apoapsis)과 가장 가까운 근점(近點, periapsis)을 함께 부르는 말이.

새로운!!: 하현와 장축단 · 더보기 »

이심률

이심률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늘어놓은 원뿔 곡선. 이심률이 늘어나면 곡률은 줄어든다는 점과 겹치는 곡선이 없다는 점을 주목하라. 기하학에서 이심률(離心率)은 원뿔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하현와 이심률 · 더보기 »

조차

조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하현와 조차 · 더보기 »

조석

조석(潮汐)은 지구의 바다가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현상을 말. 조석 현상에 의해 바다의 깊이가 바뀌며, 조류라 불리는 바닷물의 흐름을 만들어.

새로운!!: 하현와 조석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하현와 지구 · 더보기 »

상현

상현(한자:上弦)은 삭이 지난 뒤 지구와 태양, 지구와 달을 잇는 직선이 직각이 되어 달의 서쪽 절반을 볼 수 있게 되는 시기 혹은 그 현상을 가리.

새로운!!: 하현와 상현 · 더보기 »

태양

1992년에 촬영한 태양 모습. 태양 표면에 있는 흑점이 보인다. 태양(太陽)은 태양계 중심에 있으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또는 별)이.

새로운!!: 하현와 태양 · 더보기 »

타원

점 F1과 F2를 초점으로 갖는 타원. 원뿔을 평면으로 잘라 얻은 타원. 타원(楕圓)은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으로 만들어지는 곡선이.

새로운!!: 하현와 타원 · 더보기 »

원 (기하학)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원(圓) 또는 동그라미는 한 점에 이르는 거리가 일정한 평면 위의 점의 집합으로 정의되는 평면도형이.

새로운!!: 하현와 원 (기하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하현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