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갑득

색인 한갑득

갑득(韓甲得, 1919년 ~ 1987년)은 거문고 산조의 명인이.

16 처지: 백낙준 (국악인), 박석기, 거문고, 광주광역시,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국립국악원, 음반, 전라남도, 조선창극단, 판소리, 한승호, 1919년, 1940년, 1969년, 1978년, 1987년.

백낙준 (국악인)

백낙준(白樂俊, 1884년 ~ 1936년)은 근세 대한제국 조선 황조 시대와 일제 강점기 시대 거문고 산조 명인이.

새로운!!: 한갑득와 백낙준 (국악인) · 더보기 »

박석기

박석기(朴錫驥, 1900년 ~ 1953년)는 거문고 산조의 대가이.

새로운!!: 한갑득와 박석기 · 더보기 »

거문고

문고는 낮고 중후한 소리부터 높은 소리까지 넓은 옥타브의 소리를 내는 한국의 전통 현악기이.

새로운!!: 한갑득와 거문고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갑득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어 있는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國家無形文化財)는 보존 가치가 크다고 인정되는 문화적 소산 가운데 국가에서 문화재로서 지정한 것을 말.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은 전통적 공연·예술,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구전 전통 및 표현,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분야로 나뉘어 있.

새로운!!: 한갑득와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 더보기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National Gugak Center)은 대한민국의 민족음악을 보존·전승하고, 그 보급 및 발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한갑득와 국립국악원 · 더보기 »

음반

의 음반 레코드 음반(音盤)은 음을 기록한 원반 형태의 매체이.

새로운!!: 한갑득와 음반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갑득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조선창극단

조선창극단(朝鮮唱劇團)은 대한민국의 창극 극단이.

새로운!!: 한갑득와 조선창극단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한갑득와 판소리 · 더보기 »

한승호

승호(韓承鎬, 1924년 3월 10일~2010년 1월 28일).

새로운!!: 한갑득와 한승호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갑득와 1919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갑득와 1940년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갑득와 1969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갑득와 1978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갑득와 198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