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 근대의 교육

색인 한국 근대의 교육

국의 근대 교육은 조선 말기의 1883년 원산학사에서 부터 출발하여 1910년 국권 강탈까지의 교육일반을.

47 처지: 동래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의숙,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명신여학교, 미국, 민영익, 배재학당, 배화여자고등학교, 갑오개혁, 박영효, 경기고등학교, 경신학교, 법관양성소, 고려대학교의 역사, 공주영명고등학교, 계성고등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광성고등학교 (서울), 기호학교, 김옥균, 대성학교, 대한제국 고종, 농상공학교, 스크랜턴, 흥화학교, 이화학당, 일제 강점기의 교육, 제중원, 전주신흥고등학교, 정진학교, 정신여학교,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중동학교, 창신고등학교, 유길준, 윤치호, 숭덕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 숭실대학교, 오산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언더우드, 양정의숙, 한국 근대의 교육사상, 신명고등학교, 홍범 14조, 1882년.

동래여자고등학교

동래여자고등학교(東萊女子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에 있는 사립 일반계 고등학.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동래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동덕여자의숙

동덕여자의숙(同德女子義塾)은 융희 2년(1908) 3월 조동식(趙東植)이 창립한 학교로, 현 동덕여자고등학교의 모체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동덕여자의숙 · 더보기 »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木浦貞明女子高等學校)는 전라남도 목포시 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명신여학교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는 1906년(광무 10년) 5월 이정숙(李貞淑)에 의하여 창립된 여자 사립 학교로, 1909년 명신고등여학교, 1910년 숙명고등여학교로 개칭되었고, 다시 1911년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명하였.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명신여학교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미국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민영익 · 더보기 »

배재학당

배재학당의 모습 배재학당(培材學堂)은 1885년 8월 3일,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이며,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배재학당 · 더보기 »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培花女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배화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갑오개혁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박영효 · 더보기 »

경기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京畿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경기고등학교 · 더보기 »

경신학교

경신학교(儆新學校)는 근대적인 중등교육기관으로, 고종 23년(1886) 미국 북장로회파(北長老會波)의 초대 선교사인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가 선교 및 청년교육을 위해 정동(貞洞)에다 숙식(宿食)을 같이하는 고아원의 성격을 띤 학교를 세웠.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경신학교 · 더보기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는 조선 말기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했던 법률 교육 기관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법관양성소 · 더보기 »

고려대학교의 역사

본관 대한제국 광무 9년인 1905년에 이용익 등에 의해 한국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으로 개교한 보성전문학교는 1946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어 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로 개칭되었.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고려대학교의 역사 · 더보기 »

공주영명고등학교

공주영명고등학교(公州永明高等學校)는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공주영명고등학교 · 더보기 »

계성고등학교

성고등학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계성고등학교 · 더보기 »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光州須皮亞女子高等學校)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광성고등학교 (서울)

광성고등학교(光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광성고등학교 (서울) · 더보기 »

기호학교

호학교(畿湖學校)는 1908년 기호학회(畿湖學會)에 의하여 창립된 사립학교로, 중앙고등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기호학교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김옥균 · 더보기 »

대성학교

성학교(大成學校)는 1907년 9월부터 1912년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강제 폐교될 때까지 존재한 교육기관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대성학교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농상공학교

농상공학교(農商工學校)는 1904년 상공학교에 농과를 설치하여 새로 설립된 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농상공학교 · 더보기 »

스크랜턴

스크랜턴(Scranton); 지명.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스크랜턴 · 더보기 »

흥화학교

흥화학교(興化學校)는 민영환(閔泳煥)에 의해 설립된 근대사립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흥화학교 · 더보기 »

이화학당

쓰개치마를 쓰고 등교중인 1900년대의 이화학당 여학생 이화학당(梨花學堂, 리화학당)은 1886년에 조선 한성부에 설립된 근대 교육기관으로 한국 초기의 여성교육 기관의.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이화학당 · 더보기 »

일제 강점기의 교육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교육은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조약부터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독립 사이에 있었던 교육현상과 교육기관의 양상을 의미.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일제 강점기의 교육 · 더보기 »

제중원

제중원(濟衆院)은 조선정부가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제중원 · 더보기 »

전주신흥고등학교

전주신흥고등학교(全州新興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1가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전주신흥고등학교 · 더보기 »

정진학교

정진학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정진학교 · 더보기 »

정신여학교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는 1887년 미국 북장로회 선교인 엘러스(Miss, Annie Ellers)가 서울 정동(貞洞)에 창립한 여성교육단체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정신여학교 · 더보기 »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창기 한국교회의 신학교육은 1890년대 각 지역에 흩어져 있던 선교사들의 주도로 '신학반'(神學班)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으나 단기 과정에 불과하여 체계적인 한국인 목회자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 더보기 »

중동학교

중동학교(中東學校)는 1907년 최규동(崔奎東)이 창설한 학교로 현 중동고등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중동학교 · 더보기 »

창신고등학교

창신고등학교(昌信高等學校)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창신고등학교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유길준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윤치호 · 더보기 »

숭덕학교

숭덕학교는 충청북도 충주시 봉방동에 위치한 지체장애,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발달지체 학생들을 위한 사립 특수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숭덕학교 · 더보기 »

숭의여자고등학교

숭의여자고등학교(崇義女子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숭의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崇實大學校, Soongsil University)는 1897년에 설립된 개신교 미션스쿨로서 사립대학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숭실대학교 · 더보기 »

오산학교

오산학교(五山學校)는 1907년 12월 남강(南崗) 이승훈(李昇薰)이 민족운동의 인재와 국민교육의 사표(師表)를 양성할 목적으로 정주에 세운 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오산학교 · 더보기 »

호수돈여자고등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好壽敦女子高等學校)는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호수돈여자고등학교 · 더보기 »

언더우드

언더우드(Underwood).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언더우드 · 더보기 »

양정의숙

양정의숙(養正義塾)은 1905년 2월 엄주익(嚴柱益)이 창설한 근대식 사립학교로 현 양정고등학교와 양정중학교의 전신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양정의숙 · 더보기 »

한국 근대의 교육사상

본 문서는 한국 근대의 교육사상에 관한 것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한국 근대의 교육사상 · 더보기 »

신명고등학교

신명고등학교(信明高等學校)는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신명고등학교 · 더보기 »

홍범 14조

홍범 십사 조(洪範十四條)는 1894년 음력 12월 12일(1895년 1월 7일) 제정·선포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홍범 14조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 근대의 교육와 1882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