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 한자음

색인 한국 한자음

국 한자음(韓國漢字音)은 한국어에서의 한자 소리를 이른.

49 처지: , , , , , , , , , , , , , , , , , , , , , , 동국정운, 고대 한국어, 근대 한국어, 대한민국, 구개음화, 구결, 두음 법칙, 당나라, 장애음, 장안, 입성, 이두, 일본, 일본 한자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어, 중세 한국어, 최세진 (조선), 향찰, 성조, 송나라, 한국어, 한국어의 한자, 한자, 한자 문화권, 악센트, 훈민정음.

ㄴ(니은)은 한글의 닿소리 중 둘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ㄴ · 더보기 »

ㄹ(리을)은 한글의 닿소리 중 넷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ㄹ · 더보기 »

ㆎ(아래애)는 한글 낱자의 ㆍ와 ㅣ가 합쳐진 것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ㆎ · 더보기 »

ㆍ(아래아)는 훈민정음 문자의 홀소리 중 하나로, 현대 한국 표준어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다만 제주어에서 음가를 표시하기 위하여 쓰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ㆍ · 더보기 »

(치읓)은 한글 닿소리 중 열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ㅊ · 더보기 »

ㅁ(미음)은 한글 닿소리 중 다섯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ㅁ · 더보기 »

(피읖)은 한글 낱자의 열셋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ㅍ · 더보기 »

(아)는 한글 낱자 중 열다섯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ㅏ · 더보기 »

(애)는 ㅏ와 ㅣ가 합쳐진 것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ㅐ · 더보기 »

(유)는 한글 낱자 중 스물두 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ㅠ · 더보기 »

(으)는 한글 낱자의 23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ㅡ · 더보기 »

(우)는 한글 낱자 중 21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ㅜ · 더보기 »

(지읒)은 한글 닿소리 중 아홉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ㅈ · 더보기 »

와 ㅣ가 합쳐진 것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ㅖ · 더보기 »

(오)는 한글 낱자 중 열여덟째 글자.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ㅗ · 더보기 »

(야)는, 한글 낱자 중 16번째 글자이자 모음으로는 2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ㅑ · 더보기 »

ㅂ(비읍)은 한글 닿소리 중 여섯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ㅂ · 더보기 »

(어)는 한글 낱자 중 열일곱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ㅓ · 더보기 »

와 ㅣ가 합쳐진 것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ㅔ · 더보기 »

(여)는, 한글 낱자 중 18번째 글자이자 모음으로는 4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ㅕ · 더보기 »

()은 한글 닿소리 중 일곱 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ㅅ · 더보기 »

(요)는 한글 낱자 중 스무 번째 글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ㅛ · 더보기 »

동국정운

《동국정운》(東國正韻)은 1448년(세종 30년)에 반포된 한국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 운서(韻書)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동국정운 · 더보기 »

고대 한국어

국어(古代韓國語)는 중세 한국어(10세기 초엽 - 16세기 말) 이전의 한국어(韓國語)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고대 한국어 · 더보기 »

근대 한국어

국어(近代韓國語)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한국어를 이르며 구체적으로는 임진왜란(1592년)부터 개화기(19세기 말)까지의 한국어를 가리.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근대 한국어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구개음화

음화(口蓋音化)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경구개음으로 변하는 현상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구개음화 · 더보기 »

구결

(口訣)은 한문의 단어나 구절 사이에 붙이는 한국어 토씨를 표시할 때 사용되었던 문자로, 중국어 어순의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해서 또는 올바른 해석을 위해 문법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구절마다 한국어 토를 다는데, 그것을 기록하는 데 한자나 한자의 약자체를 빌려서 사용하였고, 향찰과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함께 발달하였으며, 이두의 발달 과정에서 다시 한문의 원전을 읽을 때 문장의 뜻을 돕기 위하여 한자의 이두식 용법으로 발달한 것으로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한 고려시대에 일찍이 한학자들에 의해 창안, 이용되었으리라 추측.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구결 · 더보기 »

두음 법칙

음 법칙(頭音法則)은 특정한 음운 또는 음운군이 단어의 음절 초(특히 첫 음절의 초)에 오는 것을 기피하거나 그 위치에서 특정한 조건하에 변형, 제한되거나 음가를 잃고 실현되는 음운 현상을 말. 대표적인 예로 알타이어족의 많은 언어들에서 어두에 음이 오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 현대 한국어에서 남한의 표준어는 몇 가지 조건들을 제외하고는 두음 법칙을 인정하는 반면, 북한의 문화어에서는 일부 사항을 제외하고는 두음 법칙은 기본적으로 인정하지 않.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두음 법칙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당나라 · 더보기 »

장애음

조음 방법에서, 장애음 (Obstruent)이라 함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등과 같이 장애를 조음의 특징적 요소로 하는 음소를 뜻.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장애음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장안 · 더보기 »

입성

입성(入聲)은 고대 중국어의 사성(四聲)의 하나로 짧고 빨리 닫는 소리.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입성 · 더보기 »

이두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이두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한자음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소리를 뜻. 대부분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의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중국어의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하나의 한자가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여러 음을 가질 수 있. 예를 들면, 밝을 명(明)이라는 글자는 한국에서는 '명'이라고만 읽지만, 일본에서는 ミヤウ, メイ, ミン이라는 세 가지 소리가 날 수 있. 이와 같이 한자를 읽을 때 그 글자의 뜻에 해당하는 훈독과 음으로 읽는 음독이 있.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일본 한자음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중국어 · 더보기 »

중세 한국어

중세 한국어(中世韓國語, Middle Korean)는 고대 한국어 이후 중앙어가 경주말에서 개성말로 옮겨간 10세기에서 16세기 사이 한반도에서 쓰였던 한국어를 말.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중세 한국어 · 더보기 »

최세진 (조선)

세진(崔世珍, 1468년 - 1542년)은 조선시대의 학자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최세진 (조선) · 더보기 »

향찰

향찰(鄕札)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향찰 · 더보기 »

성조

성조(聲調)는 말소리의 높이가 어휘 의미의 변별 기능을 수행하며, 음운론의 층위에서 낱말의 각 음절에 자질로서 부과되는 것을 말. 운율을 이루는 하나의 개념으로 보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성조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송나라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의 한자

국어의 한자(韓國語 漢字)는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漢字)를 지칭하는 것으로, 중화권에서는 조선한자(朝鮮漢字)라고 부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한국어의 한자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한자 · 더보기 »

한자 문화권

자문화권 지도 한자 문화권의 주요 언어로 "한자 문화권" 표기.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이란 표의문자중 하나인 한자와 그것으로 쓰인 한문을 받아들여 자국어에 관련된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한 동아시아 지역을 가리.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한자 문화권 · 더보기 »

악센트

악센트(accent)는 단어 중에서 특히 도드라지게 들리는 부분이며, 언어의 운율적인 요소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악센트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한국 한자음와 훈민정음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한국어 한자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