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어 사전

색인 한국어 사전

국어 사전(韓國語辭典) 은 한국어 낱말을 모아 그 뜻, 어원, 품사, 다른 말과의 관계 따위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이.

32 처지: 동아출판, 말뭉치 언어학, 법문사·민중서림, 금성출판사, 김병제, 김두봉, 교학사,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이극로, 이희승, 일본어 사전, 정태진, 조선 광문회, 조선어학회 사건, 주시경, 영어사전, 어원학, 표준국어대사전, 품사, 사전, 한글 학회, 한글학회 큰 사전, 한국수어사전, 한국어, 한국어 기초 사전, 신기철, 신용철, 1925년, 1930년, 2004년, 2019년.

동아출판

동아출판(東亞出版)은 대한민국의 출판사로 참고서 및 교과서 등 교육 관련 서적을 출판하는 기업으로, 두산의 계열사였.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동아출판 · 더보기 »

말뭉치 언어학

말뭉치언어학()은 '실제 언어' 혹은 실제 언어의 샘플을 이용하여 언어를 공부하는 응용언어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말뭉치 언어학 · 더보기 »

법문사·민중서림

법문사와 민중서림(法文社·民衆書林)은 대한민국의 출판사로 자매관계에 있.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법문사·민중서림 · 더보기 »

금성출판사

성출판사(金星出版社)는 1965년에 설립한 출판사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금성출판사 · 더보기 »

김병제

병제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김병제 · 더보기 »

김두봉

봉(金枓奉, 1889년 2월 16일 ~ 1961년?)은 공산주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김두봉 · 더보기 »

교학사

주식회사 교학사(敎學社)는 1951년에 설립한 출판사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교학사 · 더보기 »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國立國語院,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약칭: NIKL)은 국어의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연구활동을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국립국어원 · 더보기 »

우리말샘

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開放型韓國語知識大辭典), 즉 우리말 샘은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추진하는 한국어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우리말샘 · 더보기 »

이극로

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는 전의예안이씨 대종중 전서공파 28대세손 울산 화수회 문중 예조참판 함장파 15대세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호는 "고루"이며,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조선어학회 회장이자 한글학자로, 복역하다 해방과 함께 출소하셨고 당 간사자격으로 백범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으며 전란속에 잔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이극로 · 더보기 »

이희승

이희승(李熙昇, 1896년 6월 9일(음력 4월 29일) ~ 1989년 11월 27일)는 대한민국의 국어학자, 시인, 수필가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이희승 · 더보기 »

일본어 사전

일어사전은 일본어 단어·상용문 등을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일본어 사전 · 더보기 »

정태진

정태진(丁泰鎭, 1903년 7월 25일 - 1952년 11월 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글학자로, 호는 석인(石人), 본관은 나주, 경기도 파주 출신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정태진 · 더보기 »

조선 광문회

조선 광문회(朝鮮光文會)는 1910년에 설치된 한국 고전 연구기관이었.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조선 광문회 · 더보기 »

조선어학회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朝鮮語學會事件)은 일본 제국이 1942년에 한글을 연구하는 학회인 조선어학회의 회원 및 관련인물들을 강제 연행, 재판에 회부한 사건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조선어학회 사건 · 더보기 »

주시경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 1914년 7월 27일)은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주시경 · 더보기 »

영어사전

영어사전(英語辭典)은 영어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영어사전 · 더보기 »

어원학

어 "mother"의 변천에 대한 가설을 나타낸 그림 어원학(語原學)은 단어의 역사, 즉 그 단어가 어디에서부터 왔으며, 단어의 형태와 의미가 시간이 흐르면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어원학 · 더보기 »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標準國語大辭典) 은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등의 어문 규정을 준수하여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하는 한국어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표준국어대사전 · 더보기 »

품사

사(品詞)는 낱말을 문법적인 기능이나 형태, 뜻에 따라 몇 갈래로 나눈 것을 말. 낱말을 몇 가지 품사 그룹으로 묶는 것은 그리스어 문법연구에서 시작되었.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품사 · 더보기 »

사전

학 도서관의 라틴어 사전 PAGENAME 사전(辭典, dictionary)은 낱말의 뜻을 서술하는 것 내지는 도표와 함께 모아 놓은 것, 또는 어떤 낱말과 대응하는 다른 나라말의 낱말을 가나다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사전 · 더보기 »

한글 학회

학회(—學會)는 한글과 한국어의 연구를 위해 이루어진 학술 단체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한글 학회 · 더보기 »

한글학회 큰 사전

학회 큰 사전, 또는 우리말 큰사전은 조선어학회가 1933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한 '조선어사전'을 광복 이후 다듬어 만들기 시작해, 1947년부터 발간되기 시작해 1957년 완간된 최초의 대형 한국어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한글학회 큰 사전 · 더보기 »

한국수어사전

국수어사전은 농인과 청인이 한국 수어 단어에 대한 한국어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기존의 한국 수어 웹사전과 모바일 앱 사전 등을 통합하여 새롭게 정비한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한국수어사전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 기초 사전

국어 기초 사전은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만든 한국어 사전으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한국어 학습용 기초 사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한국어 기초 사전 · 더보기 »

신기철

신기철(申琦澈, 1922년~2003년)은 대한민국의 사전편찬자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신기철 · 더보기 »

신용철

신용철(申容澈, 1964년 5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SBS 아나운서, 대학 교수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신용철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1925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1930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2004년 · 더보기 »

2019년

201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어 사전와 2019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한국어사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