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어의 방언

색인 한국어의 방언

방언별로 나타낸 ‘잠자리’를 뜻하는 낱말. 한국어의 방언에서는 한국어에 있는 방언을.

53 처지: 량강도, 랑림군, 랑림산맥, 동북 방언, 동남 방언, 방언, 강원도, 강원도 (북), 경기 방언, 경기도, 고려말, 고려인,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김형직군,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회령시, 자강도, 재일 한국인, 재일 한국어, 평양직할시, 평안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이극로, 이숭녕, 인천광역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족, 중부 방언, 중국조선말, 충청 방언, 충청도, 유네스코, 영동 방언, 오구라 신페이, 사리원시, 서북 방언, 서남 방언, 서울특별시, 함경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한국어,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한국어족, 황해 방언, ..., 황해도, 황해북도, 화평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 더) »

량강도

량강도(兩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의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량강도 · 더보기 »

랑림군

랑림군(狼林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랑림군 · 더보기 »

랑림산맥

랑림산맥(狼林山脈,; 높이: 1,470m, 최고봉: 와갈봉(2,260m))은 자강도 중강군 중지봉에서 평안남도 대흥군의 소마대령까지 태백산맥과 함께 한반도의 등줄기 산맥을 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랑림산맥 · 더보기 »

동북 방언

동북 방언(東北方言)은 한국어의 대방언권 중 하나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동북 방언 · 더보기 »

동남 방언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동남 방언 · 더보기 »

방언

방언(方言)은 특정 집단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방언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강원도 · 더보기 »

강원도 (북)

강원도(江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강원도 (북) · 더보기 »

경기 방언

경기 방언(京畿方言)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과 강원도의 영서 지방(영월·정선·평창은 제외),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서 주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사투리)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경기 방언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경기도 · 더보기 »

고려말

말()은 구소련 국가에 사는 고려인이 사용하는 한국어 방언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고려말 · 더보기 »

고려인

인(高麗人) 또는 고려 사람() 은 옛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의 독립 국가 연합 전체에 거주하는 한민족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고려인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김형직군

형직군(金亨稷郡)은 량강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김형직군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울산광역시 · 더보기 »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회령시 · 더보기 »

자강도

자강도(慈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북부 압록강 중류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자강도 · 더보기 »

재일 한국인

재일 한국인의 수 변화 그래프 재일 한국인(在日韓國人) 또는 재일 조선인(在日朝鮮人)은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재일 한국인 · 더보기 »

재일 한국어

재일 한국어(在日韓國語) 혹은 재일조선어()는 일본의 재일 한국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재일 한국어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평안도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극로

이극로(李克魯, 문화어: 리극로, 1893년 8월 28일 ~ 1978년)는 전의예안이씨 대종중 전서공파 28대세손 울산 화수회 문중 예조참판 함장파 15대세 후손으로 경상남도 의령(宜寧) 출생, 호는 "고루"이며,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조선어학회 회장이자 한글학자로, 복역하다 해방과 함께 출소하셨고 당 간사자격으로 백범 김구 선생을 대동한 바 있으며 전란속에 잔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이극로 · 더보기 »

이숭녕

이숭녕(李崇寧, 1908년 7월 5일 ~ 1994년 2월 2일)은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이숭녕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족

조선족(朝鮮族)은 주로 1945년 이전 만주의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거주해온 한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이름으로 한민족(韓民族)이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 ‘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조선족 · 더보기 »

중부 방언

중부 방언은 경기 방언, 충청도 방언, 황해도 방언, 영서 방언의 총칭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중부 방언 · 더보기 »

중국조선말

중국 조선어(中國朝鮮語) 또는 재중 한국어(在中韓國語)는 중화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한민족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를 가리.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중국조선말 · 더보기 »

충청 방언

충청도 사투리 또는 호서 사투리 호서 방언또는 충청 방언(忠淸方言)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평택시 등 호서 지방(湖西地方)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충청 방언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충청도 · 더보기 »

유네스코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는 유네스코(UNESCO)로도 더 널리 알려져 있는 1945년 창설된 유엔의 전문 기구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유네스코 · 더보기 »

영동 방언

영동 방언(嶺東方言)은 강원도 영동 지방(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태백시, 고성군, 양양군, 통천군)과 영서 지방 일부(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경상북도 울진군, 함경남도의 금야군 이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사투리)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영동 방언 · 더보기 »

오구라 신페이

오구라 신페이(1882년 6월 4일 ~ 1944년 2월 8일)는 일본의 언어학자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오구라 신페이 · 더보기 »

사리원시

사리원시(沙里院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서부에 있는 시이자, 도 소재지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사리원시 · 더보기 »

서북 방언

서북 방언(西北方言) 또는 평안도 사투리는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및 자강도에서 쓰는 방언으로, 관서 지방에서 쓰인다고 하여 관서 방언(關西方言)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서북 방언 · 더보기 »

서남 방언

서남 방언(西南方言) 또는 호남 방언(湖南方言), 전라도 방언(全羅道方言), 전라도 사투리(全羅道사투리)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서남 방언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함경도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더보기 »

한국어족

국어족(韓國語族)은 한국어와 그 인접 언어의 계통을 설정하기 위해 제안된 어족의 하나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한국어족 · 더보기 »

황해 방언

황해도 방언(黃海道方言)은 구 황해도 지방인 황해남도, 황해북도 및 백령도·연평도 등 서해 5도에서 주로 사용하는 사투리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황해 방언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해북도

황해북도(黃海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중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황해북도 · 더보기 »

화평군

화평군(和坪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의 북동부에 위치하는 군이.

새로운!!: 한국어의 방언와 화평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선어의 방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