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화

색인 한국화

신윤복의 그림 한국화(韓國畵)는 근대 이후에 한국의 전통적인 기법과 양식으로 그려진 그림을 서양화와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용어이.

20 처지: 동기창, 동양 철학, , 명주, 문인화, 민화, 벼루, , 김홍도, 대한민국, 정선 (화가),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이, 사대부, 선 (불교), 선지 (종이), 서양화, 아교, 신윤복.

동기창

'''동기창''' 동기창(董其昌, 1555년 ~ 1636년)은 중국 명나라 때의 문인, 화가,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화와 동기창 · 더보기 »

동양 철학

동양 철학(東洋哲學)은 인도, 이슬람,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의 철학이.

새로운!!: 한국화와 동양 철학 · 더보기 »

꽃과 잎의 모습을 지닌 중국의 먹 먹(墨)은 서예와 그림 그리기에 쓰이는 검은 물감의 일종으로, 전통적으로 여러 동아시아 문화에 쓰인.

새로운!!: 한국화와 먹 · 더보기 »

명주

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명주(明紬) 또는 주(紬)는 누에의 고치로부터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인 견사(絹絲, 곧 명주실) 및 명주실로 짠 천(견(絹))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한국화와 명주 · 더보기 »

문인화

문인화 (文人畵)는 동양화의 일종으로 전문 화원들이 아닌 양반 사대부 계급에서 발전한 화풍을 일컫.

새로운!!: 한국화와 문인화 · 더보기 »

민화

민화(民畵)는 과거에 실용(생활공간의 장식이나 민속적인 관습에 따름)을 목적으로 무명인에 의하여 그려졌던 대중적인 실용화를 말. 참고 민화장이란 용어는 민화를 잘 그리는 사람을 말.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1889년∼1961년)로, 그는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

새로운!!: 한국화와 민화 · 더보기 »

벼루

벼루 벼루는 먹을 가는 데 쓰는, 돌로 만든 문방구를 가리.

새로운!!: 한국화와 벼루 · 더보기 »

서울의 붓가게 붓(筆)은 짐승의 털을 추려 모아 원추형으로 만들어 죽관(竹管) 또는 목축(木軸)에 고정시킨 것으로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인 서화용구(書畵用具)이.

새로운!!: 한국화와 붓 · 더보기 »

김홍도

홍도(金弘道, 1745년 ~ 1806년)는 조선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한국화와 김홍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국화와 대한민국 · 더보기 »

정선 (화가)

정선(鄭歚, 1676년 ~ 1759년)은 조선의 화가, 문신이.

새로운!!: 한국화와 정선 (화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국화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한국화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종이

장의 종이 종이()는 식물의 섬유질을 물에 불려 평평하게 엉기게 하여 잘 말린 물질이.

새로운!!: 한국화와 종이 · 더보기 »

사대부

명나라의 사대부 한국의 사대부 사대부(士大夫)는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사회지도층이.

새로운!!: 한국화와 사대부 · 더보기 »

선 (불교)

선정(禪定)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선(禪)이란, 중국 대륙에서 5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한 대승불교의 한 조류이.

새로운!!: 한국화와 선 (불교) · 더보기 »

선지 (종이)

선지(宣紙)는 고대 중국이 기원인 종이의 일종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쓰인.

새로운!!: 한국화와 선지 (종이) · 더보기 »

서양화

accessdate.

새로운!!: 한국화와 서양화 · 더보기 »

아교

250px 아교()는 두가지가 있는데, 동물의 가죽이나 뼈를 원료로 하여 짐승에서 얻은 것을 동물아교, 어류에서 얻은 것을 부레풀이.

새로운!!: 한국화와 아교 · 더보기 »

신윤복

신윤복(申潤福, 1758년 ~ 1814년경)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를 잘. 또한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새로운!!: 한국화와 신윤복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양화가, 조선화, 한국화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