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제국 건국사

색인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160 처지: CS 가스, 랜돌프 처칠 경, 도쿠가와 요시노부, 동도서기, 로버트 리, 로버트 슈펠트,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매슈 페리,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막시밀리아노 1세, 명성황후, 민규호, 민승호, 민치록, 민치구, 각궁, 백린, 개틀링 건, 박격포, 박규수, 박지원 (1737년), 강위, 박영교, 박연 (1595년), 강선, 강화 삼랑성, 거북선, 벤저민 디즈레일리, 병인박해, 괘씸한 서양 되놈, 불랑기포, 귀인 이씨 (영보당), 기정진, 빌헬름 1세, 비상, 빅토리아 (영국), 김병덕, 김병기 (1818년), 김병국 (1825년), 김병학 (1821년), 김포시, 김흥근, 김정희, 김좌근, 김윤식, 김옥균, 김홍집, 대체 역사, 대한제국 고종, 두정갑, ..., 나폴레옹 3세, 나합 양씨,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효정왕후, 슬루프, 펠릭스클레르 리델, 장 앙리 쥐베르, 장갑함, 편전,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페드루 2세 (브라질),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임칙서, 임상준, 흥선대원군, 이동인, 이경재, 이경하 (조선), 이용희 (1811년), 이승준, 이인기, 이제마, 이유원, 이항로, 이시원, 이홍장, 이와쿠라 도모미, 일본도, 제2대 첼름스퍼드 남작 프레드릭 테시어,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제물포, 제임스 롱스트리트, 정기원, 조지 클레이턴 포크, 조영하, 조선, 조성하, 존 로저스 (1812년), 존 카슨 페비거, 증국번, 진채선, 찰스 윌리엄 엘리엇, 찰스 섬너, 철갑탄, 천보총, 총검, 캐러네이드, 판처파우스트 3, 판옥선, 유길준, 유엔 평화유지군, 유후조, 유홍기, 윤웅렬, 율리시스 S. 그랜트,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조지 애스턴, 윌리엄 테쿰세 셔먼,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윈필드 스콧 핸콕, 순양함, 수발총, 혁흔, 오경석, 오쿠보 도시미치, 오토 폰 비스마르크, 최익현, 어재연, 양헌수, 에른스트 오페르트, 에드워드 캔비, 헨리 켈렛,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 백작, 여흥부대부인, 엘리 파커, 사이고 다카모리, 사이고 주도, 쓰보이 고조, 피에르귀스타브 로즈, 프레스턴 브룩스, 프리깃, 서태후,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소이탄, 소총, 앤드루 존슨,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 야마가타 아리토모, 알브레히트 폰 론 백작, 한국군,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암스트롱포, 필립 셰리든, 아즈마칸, 아서 맥아더, 신기전, 신재효, 신정왕후 (조선), 신헌, 시리아,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간 여행, 후장총포, 홍이포, 홍순목, 활대기뢰, K2 소총, K3 기관총, M18A1 클레이모어.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0 더) »

CS 가스

CS 가스(CS Gas) 또는 2-클로로벤즈알말로노나이트릴(C10H5ClN2) 혹은 최루가스로 불리며, 살상력은 가지고 있지 않. CS 가스는 Ben Corson과 Roger Stoughton 두 미국인이 1928년 미들버리 칼리지에서 개발하였으며, 이 화합물의 이름은 두 명의 발견자의 성에서 따온 것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CS 가스 · 더보기 »

랜돌프 처칠 경

250px 랜돌프 헨리 스펜서처칠 경 PC (Lord Randolph Henry Spencer-Churchill, 1849년 2월 13일 ~ 1895년 1월 24일)은 영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랜돌프 처칠 경 · 더보기 »

도쿠가와 요시노부

와 요시노부(1837년 10월 28일 - 1913년 11월 22일)는 도쿠가와 막부의 마지막 쇼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도쿠가와 요시노부 · 더보기 »

동도서기

동도서기(東道西器)는 동양의 도덕, 윤리, 지배질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서양의 발달한 기술, 기계를 받아들여 부국강병을 이룩한다는 사상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동도서기 · 더보기 »

로버트 리

버트 리(Robert Lee)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이 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로버트 리 · 더보기 »

로버트 슈펠트

버트 윌슨 슈펠트(Robert Wilson Shufeldt, 1822년 2월 21일 ~ 1895년 11월 7일)은 미국의 해군 제독·외교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로버트 슈펠트 · 더보기 »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버트 저메인 토머스(Robert Jermain Thomas, 1840년 ~ 1866년)는 웨일스의 개신교 선교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 더보기 »

매슈 페리

매슈 페리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매슈 페리 · 더보기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1818년 3월 16일 프랑스 아미앵 ~ 1866년 3월 30일(음력 2월 14일), 충청남도 보령)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 더보기 »

막시밀리아노 1세

막시밀리아노 1세(Maximiliano I, 1832년 7월 6일 오스트리아 빈 ~ 1867년 6월 19일 멕시코 케레타로 근처) 는 오스트리아의 대공이자 멕시코 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막시밀리아노 1세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민규호

민규호(閔奎鎬, 1836년 8월 20일 ~ 1878년 10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 민진원의 5대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민규호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치록

민치록(閔致祿, 1799년 ~ 1858년)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자는 원덕, 호는 서하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민치록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민치구 · 더보기 »

각궁

각궁(角弓)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합성궁으로,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 소힘줄, 대나무를 민어부레풀로 접합하여 만들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각궁 · 더보기 »

백린

암흑 속에서 스스로 불타오르는 백린. 백린(白燐), 또는 황린(黃燐, yellow phosphorus), 사인(四燐, Tetraphosphorus, P4), 흰인은 인의 동소체로 연막, 예광탄, 조명탄, 특히 소이탄의 원료로 쓰인.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백린 · 더보기 »

개틀링 건

왕립 야포 전시관에 전시된 영국의 1865년제 개틀링 총 개틀링 포(Gatling gun)는 세계 최초의 기관총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개틀링 건 · 더보기 »

박격포

2004년 이라크 전쟁에서 120 mm M120 박격포를 발사중인 미군 박격포(迫擊砲)는 보병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곡사화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박격포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강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박영교 · 더보기 »

박연 (1595년)

알크마르의 마을인 더레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박연 기념 동상 박연(朴淵, 朴燕, 朴延, 1595년 ~ ?) 또는 얀 얀스 벨테브레()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박연 (1595년) · 더보기 »

강선

우선(right hand twist) 강선을 가지고 있는 35 구경 레밍턴 소총의 총열 M855 탄도 강선(腔線, Rifling)이란 총열 안쪽(총강)의 나선형 홈을 말. 탄환은 나선형 홈을 따라 회전하여 회전 관성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정된 탄도를.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강선 · 더보기 »

강화 삼랑성

강화 삼랑성(江華 三郞城)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정족산에 위치하고 있는 성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강화 삼랑성 · 더보기 »

거북선

서울특별시의 전쟁기념관에 있는 거북선 모형 대한민국의 5원 주화 거북선 또는 귀선(龜船)은 조선 시대의 군함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거북선 · 더보기 »

벤저민 디즈레일리

제1대 비컨즈필드 백작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 1st Earl of Beaconsfield, 1804년 12월 21일 ~ 1881년 4월 19일)은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벤저민 디즈레일리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병인박해 · 더보기 »

괘씸한 서양 되놈

〈괘씸한 서양 되놈〉(○심한 西洋 되놈)은 병인양요 이후에 신재효가 지은 가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괘씸한 서양 되놈 · 더보기 »

불랑기포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불랑기포 불랑기포(佛郞機砲)는 중국 명나라 시대에 도입한 서양식 후장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불랑기포 · 더보기 »

귀인 이씨 (영보당)

영보당 귀인 이씨(永保堂 貴人 李氏, 1843년 ~ 1928년 12월 17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의 후궁으로, 고종의 서장남이었던 완친왕의 생모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귀인 이씨 (영보당) · 더보기 »

기정진

정진(奇正鎭, 1798년~1879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기정진 · 더보기 »

빌헬름 1세

빌헬름 1세(Wilhelm I. 1797년 3월 22일 ~ 1888년 3월 9일)는 프로이센의 국왕(임기: 1861년 ~ 1888년)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빌헬름 1세 · 더보기 »

비상

비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비상 · 더보기 »

빅토리아 (영국)

빅토리아(Victoria, 1819년 5월 24일 – 1901년 1월 22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재위:1837년 6월 20일 - 1901년 1월 22일)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빅토리아 (영국) · 더보기 »

김병덕

병덕(金炳德, 1825년-18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조판서를 3회 역임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병덕 · 더보기 »

김병기 (1818년)

병기(金炳冀, 1818년~1875년)는 조선 후기의 외척이자 권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병기 (1818년) · 더보기 »

김병국 (1825년)

병국(金炳國, 1825년~19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경용(景用), 호는 영어(穎漁).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병국 (1825년) · 더보기 »

김병학 (1821년)

병학(金炳學, 1821년~187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조판서, 의정부좌의정 등을 지냈고 불우한 처지의 왕족 흥선군을 각별히 대우한 일로 흥선대원군과 교분이 두터웠.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병학 (1821년) · 더보기 »

김포시

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 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포시 · 더보기 »

김흥근

흥근(金興根, 1796년 ~ 187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흥근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윤식

윤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윤식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홍집

홍집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김홍집 · 더보기 »

대체 역사

역사(代替歷史)는, 하나 또는 여러 역사적 사건들이 다르게 전개되는 이야기를 담은 문학 장르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대체 역사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두정갑

정갑을 착용한 윤관 영정. 두정갑(頭釘甲)은 중세의 갑옷의 일종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두정갑 · 더보기 »

나폴레옹 3세

옹 3세 또는 샤를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808년 4월 20일 ~ 1873년 1월 9일)는 최초의 프랑스 대통령이자 두 번째 프랑스 황제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나폴레옹 3세 · 더보기 »

나합 양씨

합 양씨(羅閤 梁氏, ? ~ ?)는 조선 후기의 기생 출신 여성이자, 조선 후기의 권력자였.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나합 양씨 · 더보기 »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이 프르제발스키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프르제발스키(1839년 4월 12일 ~ 1888년 11월 1일)은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Encyclopaedia Britannica 중앙아시아·동아시아 탐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니콜라이 프르제발스키 · 더보기 »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효정왕후 · 더보기 »

슬루프

400px 슬루프 (혹은 슬룹. 네덜란드어: sloep)는 범선의 일종으로, 한 개의 마스트로 세로돛(배의 중심선에 따를 방향의 돛)을 가지는 소형의 배를 가리.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슬루프 · 더보기 »

펠릭스클레르 리델

릭스클레르 리델(Félix-Clair Ridel, 1830년 7월 7일 ~ 1884년)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선교사이자 천주교 조선교구의 6대교구장 (피리포포스인 아라비아의 명의주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펠릭스클레르 리델 · 더보기 »

장 앙리 쥐베르

250px 장 앙리 쥐베르(Jean Henri Zuber, 1844년 6월 24일 오랭 주 ~ 1909년 4월 7일 파리)는 알자스 출신의 풍경화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장 앙리 쥐베르 · 더보기 »

장갑함

USS 카이로 (1861), '시티'급 장갑함 장갑함 대 장갑함: CSS '버지니아' (왼쪽) 대 USS '모니터', 1862년. 장갑함(裝甲艦, 아이언클래드)은 19세기 후반 영국이나 미국에서 발달한 함선의 한 형태로, 증기기관으로 추진되고, 철이나 강철로 된 장갑으로 보호되며, 대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주요 특징으.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장갑함 · 더보기 »

편전

전(片箭) 또는 애기살은 조선의 주요 무기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편전 · 더보기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르디난트 아돌프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폰 체펠린 백작(1838년 7월 8일~1917년 3월 8일)은 독일의 발명가, 공학자이자, 군인, 외교관으로, 남북전쟁과 보불전쟁에 참가했으며, 체펠린 비행선의 개발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 더보기 »

페드루 2세 (브라질)

2세(1825년 12월 2일 ~ 1891년 12월 5일)는 브라질 제국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페드루 2세 (브라질) · 더보기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작센코부르크고타 대공 앨버트(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1819년 8월 26일 - 1861년 12월 14일)는 영국의 빅토리아의 남편이자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아버.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 더보기 »

임칙서

임칙서(1785년 8월 30일 ~ 1850년 11월 22일)는 중국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임칙서 · 더보기 »

임상준

임상준(任商準, 1818년 ~ ?)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임상준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동인 · 더보기 »

이경재

이경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경재 · 더보기 »

이경하 (조선)

이경하(李景夏, 1811년 - 1891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경하 (조선) · 더보기 »

이용희 (1811년)

이용희(1811년~?)는 조선 말의 무신으로 1866년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훈련도감 중군을 이끌고 맞서 항전하다 성이 함락되자 정병을 거느리고 계속 수비를 하여 프랑스군을 물. 분류:조선의 무신.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용희 (1811년) · 더보기 »

이승준

이승준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승준 · 더보기 »

이인기

이인기(李仁基, 1953년 2월 26일 칠곡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인기 · 더보기 »

이제마

이제마(李濟馬, 1837년 4월 23일 ~ 1900년 11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한의학자(漢醫學者), 문관(文官), 무관(武官), 시인(詩人)이며, 조선 왕족의 방계 혈족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제마 · 더보기 »

이유원

이유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유원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항로 · 더보기 »

이시원

이시원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다음이 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시원 · 더보기 »

이홍장

이홍장의 초상 이홍장(1823년 2월 15일 ~ 1901년 11월 7일)은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이며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사람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홍장 · 더보기 »

이와쿠라 도모미

이와쿠라 도모미(분세이 8년 음력 9월 15일 (1825년 10월 26일) ~ 메이지 16년 (1883년) 7월 20일) 는 일본의 구게, 정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이와쿠라 도모미 · 더보기 »

일본도

16세기 혹은 17세기의 가타나. 칼집과 함께 있다. 일본도(카타나)는 10세기 이후, 일본에서 만들어진 일본 고유의 외날 곡도이.일본도(日本刀)의 기원(起源)과 원형(原形)은 당태도(唐太刀)에서 왔다는 것이 정설(定說)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일본도 · 더보기 »

제2대 첼름스퍼드 남작 프레드릭 테시어

제2대 첼름스퍼드 남작 프레드릭 아우구스투스 테시어(Frederic Augustus Thesiger, 2nd Baron Chelmsford, GCB, GCVO, 1827년 5월 31일~1905년 4월 9일)는 영국의 군인으로, 줄루 전쟁을 지휘한 것으로 유명.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제2대 첼름스퍼드 남작 프레드릭 테시어 · 더보기 »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헨리 존 템플(1855년)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Henry John Temple, 3rd Viscount Palmerston, KG, GCB, 1784년 10월 20일~1865년 10월 18일)은 영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제3대 파머스턴 자작 헨리 존 템플 · 더보기 »

제물포

제물포(濟物浦)는 구한말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던 인천의 별칭(別稱)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제물포 · 더보기 »

제임스 롱스트리트

제임스 롱스트리트(James Longstreet, 1821년 1월 8일~1904년 1월 2일)는 미합중국 남북전쟁에서 남군의 걸출한 장군 중 한 명이며, 로버트 리의 오른팔이자 북버지니아군의 핵심 지휘관으로 참전한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제임스 롱스트리트 · 더보기 »

정기원

정기원(鄭基元, 1899년 3월 16일 ~ 1986년 6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정기원 · 더보기 »

조지 클레이턴 포크

조지 클레이턴 포크(George Clayton Foulk, 1856년 10월 30일 ~ 1893년)는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관의 무관으로, 대리공사를 역임.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조지 클레이턴 포크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조영하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조선 · 더보기 »

조성하

조성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조성하 · 더보기 »

존 로저스 (1812년)

존 로저스(1812년 8월 8일 ~ 1882년 5월 5일)는 남북 전쟁 당시 북군 해군으로 활약한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존 로저스 (1812년) · 더보기 »

존 카슨 페비거

존 카슨 페비거(John Carson Febiger, 1821년 2월 14일 ~ 1898년 10월 9일)는 미국 해군 소장으로, 남북 전쟁 당시 북군에서 복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존 카슨 페비거 · 더보기 »

증국번

증국번 증국번(1811년 11월 26일 ~ 1872년 3월 12일)은 중국 청대 말기의 정치가·학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증국번 · 더보기 »

진채선

선 진채선(陳彩仙, 1842년 ~ ?)은 근세 조선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진채선 · 더보기 »

찰스 윌리엄 엘리엇

스 윌리엄 엘리엇 찰스 엘리엇(Charles William Eliot, 1834년 3월 20일 - 1926년 8월 22일)은 하버드 대학 총장을 역임한 미국의 학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찰스 윌리엄 엘리엇 · 더보기 »

찰스 섬너

스 섬너(Charles Sumner, 1811년 1월 6일 ~ 1874년 3월 11일)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매사추세츠 주 상원의원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찰스 섬너 · 더보기 »

철갑탄

Armor piercing shell of the APBC1. 경량 탄두2. 강철합금 관통탄3. 작약(TNT, 트리니트로 페놀, RDX 등 둔감화약)4. 신관(지연신관 장착)5. 부를 레(앞쪽)와 동력전달밴드(뒤쪽) 철갑탄(徹甲彈, Armor Piercing Shell 또는 AP) 또는 파갑탄(破甲彈)은 전차, 군함, 콘크리트 벙커를 관통시킬 용도로 만들어진 특수목적의 탄(환)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철갑탄 · 더보기 »

천보총

보총(千步銃)은 조선 숙종때 군기시 소속의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일본의 조총보다 뛰어났던 화승총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천보총 · 더보기 »

총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총검술 훈련 모습, 미국 텍사스 주 1983년 대한민국 해병대 총검술 훈련 총검(銃劍) 또는 총칼은 총 등 화기의 총구에 부착하는 짧고 예리하며 끝이 뾰족한 무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총검 · 더보기 »

캐러네이드

이드()는 주철로 만든 단포신 활강식 캐넌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캐러네이드 · 더보기 »

판처파우스트 3

우스트 3(PzF 3)는 2차 세계대전 때 사용되던 판처파우스트의 최신 버전으로,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중에 있. PzF3은 독일의 다이너마이트 노벨사(Dynamit Nobel Defence GmbH)에서 개발하였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육군 제식 대전차 무기로 사용하고 있으며, 보병 소대에 배치하고 있. PzF 3은 다른 대전차 병기에 비해 반동이 적으며, 병사 한명이서 들고 쏠수 있으며, 또한 PzF 3의 탄두는 탄두 앞을 조절하여 경차량 이나 혹은 지면 목표, 그리고 강화 콘크리트등의 발사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동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판처파우스트 3 · 더보기 »

판옥선

조선 주력선 판옥선 판옥선(板屋船)은 조선 후기 수군의 대표적인 주력함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판옥선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엔 평화유지군

유엔 평화유지군(UN -) 또는 국제 연합 평화유지군 (國際聯合平和維持軍, United Nations Peacekeeping Force) 은 유엔의 유사 상태시 평화와 회복을 유지하기 위해 각국의 정부가 자발적으로 파병한 병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유엔 평화유지군 · 더보기 »

유후조

후조(1799년 ~ 1876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류성룡의 8대손으로 류심춘의 아들이며 본관은 풍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유후조 · 더보기 »

유홍기

유홍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유홍기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윤웅렬 · 더보기 »

율리시스 S. 그랜트

율리시스 심프슨 그랜트(Ulysses S. Grant, 1822년 4월 27일 ~ 1885년 7월 23일)는 미국의 18번째(1869년-1877년) 대통령이자 장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율리시스 S. 그랜트 · 더보기 »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H. 수어드 윌리엄 헨리 수어드(William Henry Seward, 1801년 5월 16일 ~ 1872년 10월 10일)는 에이브러햄 링컨과 앤드루 존슨 밑에서 미국 상원 의원이자 미국 국무장관을 역임한 12번 째 뉴욕 주지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윌리엄 H. 수어드 · 더보기 »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09년 12월 29일 ~ 1898년 5월 19일)은 영국의 전 총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 더보기 »

윌리엄 조지 애스턴

윌리엄 애스턴, 1911년. 윌리엄 조지 애스턴(William George Aston, 1841년 4월 9일 ~ 1911년 11월 22일)은 영국의 외교관, 작가이자 일본과 한국의 언어와 역사를 연구한 학자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윌리엄 조지 애스턴 · 더보기 »

윌리엄 테쿰세 셔먼

윌리엄 테쿰세 셔먼(William Tecumseh Sherman, 1820년 2월 8일 ~ 1891년 2월 14일)은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윌리엄 테쿰세 셔먼 · 더보기 »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1848년 ~ 1901년) 혹은 한국이름 목인덕(穆麟德)은 독일 출신의 외교관 겸 언어학자로 조선에서 외교 고문으로 활동한 전력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 더보기 »

윈필드 스콧 핸콕

윈필드 스콧 핸콕(Winfield Scott Hancock, 1824년 2월 14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몽고메리~1886년 2월 9일 미국 뉴욕 주 가버너스아일랜드)은 미국 남북 전쟁 때 북군의 장군으로 1880년 대통령 후보로도 지명되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윈필드 스콧 핸콕 · 더보기 »

순양함

미국 해군의 '타이콘데로가'급 미사일순양함 러시아 해군의 '키로프'급 전투순양함 순양함(巡洋艦)은 시대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다르지만 기원은 단독으로 전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군함에서 시작되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순양함 · 더보기 »

수발총

245px 수발총(燧發銃)은 또는 수석총(燧石銃)은 화승총()과 치륜총() 다음에 만들어진 부싯돌로 격발되는 총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수발총 · 더보기 »

혁흔

공충친왕(恭忠親王, 1833년 1월 11일 ~ 1898년 5월 29일)은 청 제국의 황족 종실 및 군인 겸 정치가(동치제의 섭정)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혁흔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쿠보 도시미치

오쿠보 도시미치(1830년 9월 26일 ~ 1878년 5월 14일)은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에 활약했던 사쓰마 출신의 정치가였.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오쿠보 도시미치 · 더보기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에두아르트 레오폴트 폰 비스마르크쇤하우젠 후작(1815년 4월 1일 ~ 1898년 7월 30일)는 독일을 통일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한 프로이센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오토 폰 비스마르크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최익현 · 더보기 »

어재연

신미양요에서 전사한 어재연 장군의 장군기가 미해군 콜로라도함에 실려있다. 어재연 장군기는 136년이 지난 2007년에 대한민국에 임대되는 형식으로 돌아왔다. 어재연(魚在淵, 1823년 ~ 1871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어재연 · 더보기 »

양헌수

양헌수(梁憲洙, 1816년 ~ 1888년)는 조선 말의 무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양헌수 · 더보기 »

에른스트 오페르트

에른스트 야코프 오페르트(1832년 12월 5일 ~ 1903년 9월 19일)는 북독일 연방과 독일 제국의 상인이자 항해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에른스트 오페르트 · 더보기 »

에드워드 캔비

에드워드 리처드 스프리그 캔비(Edward Richard Sprigg Canby, 1817년 11월 9일 ~ 1873년 4월 11일)는 미국 육군 장교로, 미국 남북전쟁 때 북군 장군으로 복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에드워드 캔비 · 더보기 »

헨리 켈렛

헨리 켈렛 경(Sir Henry Kellett, KCB, 1806년 11월 2일~1875년 3월 1일)은 영국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헨리 켈렛 · 더보기 »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 백작

헬무트 폰 몰트케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 백작(Helmuth Karl Bernhard Graf von Moltke, 1800년 10월 26일 ~ 1891년 4월 24일) 또는 대(大)몰트케(Moltke der Ältere)는 프로이센 및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근대적 참모제도의 창시자, 프로이센 참모본부의 참모총장으로서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함께 1871년의 독일 통일과 독일 제국 수립에 공헌한 독일의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헬무트 카를 베른하르트 폰 몰트케 백작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엘리 파커

엘리 파커(Ely Samuel Parker, 1828년 ~ 1895년 8월 31일)는 세네카족 출신의 이로쿼이 인디언이자 미국의 군인으로, 남북 전쟁에서 북군으로 참전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는 2년간 인디언국(Bureau of Indian Affairs)의 국장으로 있으면서 인디언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엘리 파커 · 더보기 »

사이고 다카모리

사이고 다카모리(1828년 1월 23일 ~ 1877년 9월 24일)는 에도 시대와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정치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사이고 다카모리 · 더보기 »

사이고 주도

옛 사이고 주도 저택 (일본 중요문화재, 도쿄도 메구로 구에 있던 것을 하쿠부쓰칸 메이지 촌으로 옮김.) 사이고 주도/쓰구미치(1843년 6월 1일 ~ 1902년 7월 18일은 일본의 무사·사쓰마 번사, 육군 군인, 해군 군인, 정치가이다. 원수·해군 대장, 정1위, 대훈위, 공2급, 후작 등의 작위를 받았다. 사이고 다카모리의 동생이다.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사이고 주도 · 더보기 »

쓰보이 고조

쓰보이 고조(1843년 4월 6일 - 1898년 2월 1일)는 일본의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의 조슈번 의사, 해군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쓰보이 고조 · 더보기 »

피에르귀스타브 로즈

에르 구스타브 로즈 피에르 구스타브 로즈(Pierre-Gustave Roze, 1812년 11월 28일 ~ 1882년)는 프랑스의 해군 제독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피에르귀스타브 로즈 · 더보기 »

프레스턴 브룩스

스턴 브룩스(Preston Smith Brooks, 1819년 8월 5일 – 1857년 1월 27일)는 미합중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선출된 민주당 하원의원으로 1853년부터 그가 사망한 1857년까지 4년간 의원직을 역임.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프레스턴 브룩스 · 더보기 »

프리깃

항해 중인 프리깃함 USS 에식스 (1799년) 노르웨이 해군의 프리깃함인 프리드쇼프 난센함 (2006년) 프리깃(Frigate)은 한국에서는 호위함이라고 부르며, 미해군에서는 FF라는 번호를 붙인.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프리깃 · 더보기 »

서태후

서태후(1835년 11월 29일 ~ 1908년 11월 15일)는 청나라 말기의 독재 권력자이자 함풍제의 세 번째 황후이며 섭정 황태비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서태후 · 더보기 »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머스 프랜시스 웨이드의 초상화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경(Sir Thomas Francis Wade, GCMG, KCB, 1818년 8월 25일 ~ 1895년 7월 31일)은 영국의 외교관이자 중국학자로, 웨이드식 표기법이라고 불리는 만다린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고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토머스 프랜시스 웨이드 · 더보기 »

소이탄

2차대전때 쓰인 독일제 소이탄. 소이탄이란 폭탄·총포탄·로켓탄·수류탄 등의 탄환류 속에 소이제(燒夷劑)를 넣은 것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소이탄 · 더보기 »

소총

소총(小銃, 라이플)은 이란 어깨에 견착해서 사용하는, 총열 내부에 나선형의 강선(라이플링)이 파여 있는 화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소총 · 더보기 »

앤드루 존슨

앤드루 존슨(Andrew Johnson, 1808년 12월 29일 - 1875년 7월 31일)은 미국의 제17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앤드루 존슨 · 더보기 »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Alfred Thayer Mahan, 1840년 9월 27일 ~ 1914년 12월 1일)은 미국 해군 해군 제독 전략지정학자이자 전쟁사학자로, “19세기 미군의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꼽힌.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 · 더보기 »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1838년 6월 14일 ~ 1922년 2월 1일)는 일본 제국 육군 원수이자 내각총리대신을 두 번 지낸 인물이며, 일본 의회제도 체제 아래 최초의 총리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야마가타 아리토모 · 더보기 »

알브레히트 폰 론 백작

알브레히트 테오도어 에밀 폰 론 백작(1803년 4월 30일 ~ 1879년 2월 23일)은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알브레히트 폰 론 백작 · 더보기 »

한국군

현재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어 있. 한국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한국군 · 더보기 »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알프레트 페터 프리드리히 폰 티르피츠 대제독(1849년 3월 19일 ~ 1930년 3월 6일)은 독일의 제독으로, 1897년부터 1916년까지 독일 제국해군을 담당한 강력한 행정부서 독일 제국해군청의 대신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 더보기 »

암스트롱포

암스트롱 포(Armstrong Gun)는 영국의 윌리엄 조지 암스트롱이 1855년에 개발한 대포의 한 종류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암스트롱포 · 더보기 »

필립 셰리든

립 헨리 셰리든(Philip Henry Sheridan, 1831년 3월 6일 ~ 1888년 8월 5일)은 미국 육군 장교로, 미국 남북전쟁 당시 북군측 장군이었.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필립 셰리든 · 더보기 »

아즈마칸

아즈마칸(동함)은 남북전쟁 중에 남부맹방이 구입하여 CSS 스톤월(CSS Stonewall)이라고 명명했다가 종전 이후 일본에 넘겨져 일본 해군 최초의 철갑함으로 취역한 군함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아즈마칸 · 더보기 »

아서 맥아더

아서 맥아더 아서 맥아더 주니어(Arthur MacArthur,Jr. 1845~1912)는 미국의 군인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아서 맥아더 · 더보기 »

신기전

신기전과 신기전기(화차) 신기전(神機箭)은 1448년(세종 30년) 만들어진 조선시대의 로켓추진 화살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신기전 · 더보기 »

신재효

신재효(申在孝, 1812년 ~ 1884년)는 조선 말의 판소리 연구가인 동시에 판소리 작가이자 문신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신재효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헌

신헌(申櫶, 1810년 ~ 1884년)은 조선 말의 무신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신헌 · 더보기 »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약칭 시리아()는 중동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시리아 · 더보기 »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1814년 5월 14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더보기 »

시간 여행

시간 여행(時間旅行)은 일반적으로 시간을 넘나드는 것을 뜻.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관계가 있. 다시 말해서, 시간여행도 상대적인 면이 매우.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시간 여행 · 더보기 »

후장총포

시아 M1910 곡사포의 약실. 후장총포(後裝銃砲, breech-loader)는 탄환 또는 포탄이 총포신의 뒤쪽 부분을 통해 장전 내지 삽입되는 화기로, 그 장전 방식을 후장식(後裝式, breech-loading)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후장총포 · 더보기 »

홍이포

남양주 실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홍이포 복원품. 실제 발사가 가능한 물건이다. 홍이포(紅夷砲)는 네덜란드에서 중국 청나라를 거쳐 유. 그 당시 네덜란드를 홍이(紅夷)라고 불렀기 때문에 홍이포라고 이름이 지어졌.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홍이포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홍순목 · 더보기 »

활대기뢰

350px 활대기뢰(spar torpedo)는 보트에 붙은 길다란 활대에 부착된 폭탄으로 이루어진 무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활대기뢰 · 더보기 »

K2 소총

K2 소총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제식소총으로, 5.56 × 45 mm NATO 탄을 사용하는 돌격소총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K2 소총 · 더보기 »

K3 기관총

K3 기관총은 5.56 × 45 mm NATO 탄을 사용하는 경기관총이자 분대지원화기이.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K3 기관총 · 더보기 »

M18A1 클레이모어

M18A1 클레이모어(M18 Claymore mine)는 지향성 지뢰의 일종으로 인간을 목표로 하는 대인지뢰이며, 명칭은 스코틀랜드의 중세시대 검인 클레이모어를 차용.

새로운!!: 한제국 건국사와 M18A1 클레이모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한제국건국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