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공한증

색인 공한증

공한증(恐韓症)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잘 이기지 못하는 현상, 또는 언론에서 그러한 까닭을 설명할 때 쓰는 말이.

130 처지: 덩줘샹, 도쿄, 도쿄도, 도하, 동아시아, 마닐라,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방콕, 바둑, 가오린, 가오훙보, 베이루트, 베이징 시, 광저우 시,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A매치, 네루컵, 우한 시, 트리폴리 (레바논), 요코하마 시, 인천광역시, 을용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차범근, 창사 시, 충칭 시, 콜카타, 쿠알라룸푸르, 위하이, 상하이 시, 호찌민 시, 허정무, 사이타마 시, 서울특별시, 싱가포르, 홍콩, 화성시, 10월 13일, 10월 20일, 10월 29일, 10월 3일, 11월 15일, 11월 22일, 11월 26일, 11월 3일, 11월 8일, 12월 14일, 12월 17일, ..., 12월 29일, 12월 7일, 12월 9일, 1978년, 1978년 아시안 게임,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82년, 1983년, 1984년 하계 올림픽, 1986년,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8년, 1988년 AFC 아시안컵, 1989년, 1990년,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FIFA 월드컵,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90년 아시안 게임, 1992년,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하계 올림픽, 1995년, 1995년 다이너스티컵, 1996년, 1996년 하계 올림픽, 1997년, 1998년, 1998년 다이너스티컵, 1999년, 1월 30일, 2000년, 2000년 AFC 아시안컵, 2000년 하계 올림픽, 2002년, 2003년,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2004년 하계 올림픽, 2005년,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아시안 게임, 2012년, 2013년,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2015년,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2016년, 2017년,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2018년 FIFA 월드컵,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월 10일, 2월 17일, 2월 19일, 2월 7일, 3월 1일, 3월 23일, 3월 31일, 3월 3일, 3월 4일, 4월 23일, 4월 27일, 5월 1일, 6월 4일, 7월 24일, 7월 28일, 7월 31일, 8월 26일, 8월 2일, 8월 30일, 8월 3일, 9월 1일, 9월 25일, 9월 27일, 9월 2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0 더) »

덩줘샹

덩줘샹(1988년 10월 24일 ~)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중국 슈퍼리그의 상하이 그린랜드 선화에서 뛰고 있. 그는 2010년 동아시아컵에서 대한민국을 3-0으로 격파하여 중국이 대한민국을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두는 데에 큰 공을 세웠으며 특히 대한민국 수비진을 단독 드리블로 유린하고 득점으로 연결시.

새로운!!: 공한증와 덩줘샹 · 더보기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도쿄 · 더보기 »

도쿄도

()는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중 하나로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

새로운!!: 공한증와 도쿄도 · 더보기 »

도하

()는 카타르의 수도로 페르시아 만과 접한 지방 자치체이.

새로운!!: 공한증와 도하 · 더보기 »

동아시아

동아시아(東아시아) 또는 동북아시아(東北아시아, Northeast Asia) 아시아의 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문화적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evolves when Japan, Korea, and what is today Vietnam all share adapted elements of Chinese civilization of this period (that of the Tang dynasty), in particular Buddhism, Confucian social and political values, and literary Chinese and its writing system." 명칭이.

새로운!!: 공한증와 동아시아 · 더보기 »

마닐라

마닐라 특별시()는 루손 섬 남서부에 있는 필리핀의 수도로 면적은 약 38km2, 인구는 약 165만 명(2010)이.

새로운!!: 공한증와 마닐라 · 더보기 »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는 말레이시아의 독립을 기리기 위해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 더보기 »

방콕

방콕(프랑스어/영어: Bangkok) 정식 명칭 끄룽텝 마하나콘(로마자: Krung Thep Maha Nakorn), 말하기 끄룽텝()은 태국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방콕 · 더보기 »

바둑

바둑(圍棋)은 두 사람이 흑과 백의 돌을 사각의 판 위에 번갈아 놓으며 집을 차지하는 것을 겨루는 놀이.

새로운!!: 공한증와 바둑 · 더보기 »

가오린

오린 (1986년 2월 14일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스트라이.

새로운!!: 공한증와 가오린 · 더보기 »

가오훙보

오훙보(1966년 1월 25일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지도자이며, 후이족 출신이.

새로운!!: 공한증와 가오훙보 · 더보기 »

베이루트

베이루트()는 레바논의 수도이며, 베이루트 주의 중심지이자 레바논 최대의 도시.

새로운!!: 공한증와 베이루트 · 더보기 »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새로운!!: 공한증와 베이징 시 · 더보기 »

광저우 시

광저우(광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남부 광동성의 성도이자, 화남 전체의 행정 중심지이.

새로운!!: 공한증와 광저우 시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대전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

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진으로,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구성.

새로운!!: 공한증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B팀 · 더보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민국 축구 국가대표팀(大韓民國 蹴球 國家代表-)은 대한민국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구성.

새로운!!: 공한증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국제 A매치

국제 A매치(International A Match)는 일반적으로 정식 축구 국가대표팀간의 경기를 말. 한 나라에 반드시 하나의 축구협회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정확하게는 각 축구협회의 대표팀을 말. 약칭하여 A매치로 많이 불린.

새로운!!: 공한증와 국제 A매치 · 더보기 »

네루컵

컵(Nehru Cup)은 인도에서 열리는 국제축구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네루컵 · 더보기 »

우한 시

우한(무한)은 후베이 성의 성도이며, 중국 중부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우한 시 · 더보기 »

트리폴리 (레바논)

리폴리()는 지중해 동부 연안에 위치한 레바논의 도시로, 북부 주의 주도이며 베이루트(레바논의 수도)에서 북쪽으로 85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 인구는 약 500,000명이며 레바논에서 베이루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항구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트리폴리 (레바논) · 더보기 »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시()는 일본 가나가와현 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공한증와 요코하마 시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을용타

2003년 일본 사이타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국의 동아시안컵 대회 경기. 중국의 리이(11번) 선수가 대한민국의 이을용(13번) 선수를 건들다가 이을용에게 뒤통수를 맞고 쓰러져 있다. 을용타(乙容打)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 도중 대한민국의 이을용이 중국의 리이를 가격하여 퇴장당한 사건, 혹은 그 당시 사진을 패러디한 그림이.

새로운!!: 공한증와 을용타 · 더보기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

새로운!!: 공한증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차범근

범근(車範根, 1953년 5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재 축구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1980년대에 한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푸스발-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였고, 다름슈타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레버쿠젠 소속으로 뛰었.

새로운!!: 공한증와 차범근 · 더보기 »

창사 시

창사(장사)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성의 성도이.

새로운!!: 공한증와 창사 시 · 더보기 »

충칭 시

충칭(중경)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의 직할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충칭 시 · 더보기 »

콜카타

의 위치 콜카타(네팔어: कोलकाता)는 인도의 서벵골 주의 주도로, 한때 영국령 인도의 수도였.

새로운!!: 공한증와 콜카타 · 더보기 »

쿠알라룸푸르

알라룸푸르(줄여서: KL, 자위 문자: كوالا لمڤور)는 말레이시아 연방의 최대 도시이자 수도이.

새로운!!: 공한증와 쿠알라룸푸르 · 더보기 »

위하이

위하이(1987년 6월 4일 ~)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왼쪽 윙어이.

새로운!!: 공한증와 위하이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호찌민 시

호찌민 시(胡志明市, 호지명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사이공 강과 동나이 강 하류에 자리잡고 있.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 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

새로운!!: 공한증와 호찌민 시 · 더보기 »

허정무

정무(許丁茂, 1955년 1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이.

새로운!!: 공한증와 허정무 · 더보기 »

사이타마 시

사이타마 시()는 사이타마현 남동부에 있는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공한증와 사이타마 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화국(줄여서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의 끝에 위치한 섬나라이자 항구 도시로 이루어진 도시 국가이다. 북쪽의 조호르 해협과 남쪽의 싱가포르 해협을 두고 각각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약간 분리되어 있다. 1819년 영국의 동인도 회사가 현 싱가포르 남부에 개발한 항구가 시초이다. 1963년에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1965년에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와의 다툼 끝에 결국 연방을 탈퇴하여 독립 국가가 되었다. 독립 당시 인구는 160만명이었으나, 꾸준히 늘어 2010년에는 520만명에 이르렀다. 20세기 후반에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 중 하나로, 싱가포르 항구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며, 정유시설과 금융산업은 세계에서 각각 3, 4번째로 크다. 2010년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률은 15%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다. 같은 해, 싱가포르 넓이의 500배에 달하는 옛 종주국인 말레이시아를 총 경제 규모로도 추월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1인당 명목 국민소득은 5만달러, PPP 환산 국민소득은 6만달러에 달하며, 1인당 외환보유고는 세계 최정상권이다. 싱가포르의 면적은 692.7km2로 한국의 서울보다 조금 더 넓고, 인구는 서울의 절반 정도인 567만명(2015년 말 기준)이다. 인간개발지수는 전 세계에서 11위,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새로운!!: 공한증와 싱가포르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새로운!!: 공한증와 홍콩 · 더보기 »

화성시

화성시(華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화성시 · 더보기 »

10월 13일

10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6번째(윤년일 경우 2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0월 13일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0월 20일 · 더보기 »

10월 29일

10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2번째(윤년일 경우 30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0월 29일 · 더보기 »

10월 3일

10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6번째(윤년일 경우 2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0월 3일 · 더보기 »

11월 15일

11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9번째(윤년일 경우 3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1월 15일 · 더보기 »

11월 22일

11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6번째(윤년일 경우 32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1월 22일 · 더보기 »

11월 26일

1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0번째(윤년일 경우 3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1월 26일 · 더보기 »

11월 3일

1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7번째(윤년일 경우 3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1월 3일 · 더보기 »

11월 8일

1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2번째(윤년일 경우 3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1월 8일 · 더보기 »

12월 14일

1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2월 14일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2월 17일 · 더보기 »

12월 29일

12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3번째(윤년일 경우 3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2월 29일 · 더보기 »

12월 7일

1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1번째(윤년일 경우 3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2월 7일 · 더보기 »

12월 9일

1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3번째(윤년일 경우 3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2월 9일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78년 · 더보기 »

1978년 아시안 게임

제8회 아시안 게임은 1978년 12월 9일에서 12월 20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 25개국 3,842명의 임원 및 선수가 참가하였.

새로운!!: 공한증와 1978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8년 12월부터 1979년 5월까지 개최국 쿠웨이트와 전 대회 우승국인 이란을 제외한 AFC에 속한 18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 참가하였.

새로운!!: 공한증와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2년 · 더보기 »

1983년

198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3년 · 더보기 »

1984년 하계 올림픽

1984년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III Olympiad)은 1984년 7월 28일부터 8월 12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제23회 하계 올림픽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4년 하계 올림픽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6년 · 더보기 »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1986년 아시안 게임의 경기 종목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6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8년 · 더보기 »

1988년 AFC 아시안컵

1988년 AFC 아시안컵은 1988년 12월 2일에서 12월 18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9번째 AFC 아시안컵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8년 AFC 아시안컵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89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0년 · 더보기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축구협회, 일본 축구 협회, 중국 축구 협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의 남자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다이너스티컵의 초대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0년 다이너스티컵 · 더보기 »

1990년 FIFA 월드컵

1990년 FIFA 월드컵()은 제 2회 대회였던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이후에 56년 만에 다시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제14회 FIFA 월드컵 대회이며, 1990년 6월 8일부터 7월 8일까지 열렸으며, 밀라노 등 12개 도시에서 개최되었.

새로운!!: 공한증와 1990년 FIFA 월드컵 · 더보기 »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는 26개국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더보기 »

1990년 아시안 게임

제11회 아시안 게임은 1990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베이징에서 열. 대회는 1993년에 있을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최 신청을 한 중국의 예비 무대 성격을.

새로운!!: 공한증와 1990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2년 · 더보기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축구협회, 일본 축구 협회, 중국 축구 협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의 남자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다이너스티컵의 제2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2년 다이너스티컵 · 더보기 »

1992년 하계 올림픽

1992년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V Olympiad)은 1992년 7월 25일부터 8월 9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제25회 하계 올림픽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2년 하계 올림픽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5년 · 더보기 »

1995년 다이너스티컵

1995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축구협회, 일본 축구 협회, 중국 축구 협회, 홍콩 축구 협회의 남자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다이너스티컵의 제3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5년 다이너스티컵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6년 · 더보기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VI Olympiad)은 1996년 7월 19일부터 8월 4일까지 미국 조지아 주의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하계 올림픽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6년 하계 올림픽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8년 · 더보기 »

1998년 다이너스티컵

1998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축구협회, 일본 축구 협회, 중국 축구 협회, 홍콩 축구 협회의 남자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다이너스티컵의 마지막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8년 다이너스티컵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1999년 · 더보기 »

1월 30일

1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번째(윤년일 경우도 3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1월 30일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0년 · 더보기 »

2000년 AFC 아시안컵

2000년 AFC 아시안컵은 200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9일까지 레바논에서 개최된 12번째 AFC 아시안컵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0년 AFC 아시안컵 · 더보기 »

2000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VII Olympiad)은 2000년 9월 15일부터 10월 1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 시드니에서 개최된 하계 올림픽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0년 하계 올림픽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2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3년 · 더보기 »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초대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4년 · 더보기 »

2004년 하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Games of the XXVIII Olympiad)은 2004년 8월 13일부터 8월 29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하계 올림픽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4년 하계 올림픽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5년 · 더보기 »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2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8년 · 더보기 »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3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0년 · 더보기 »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4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더보기 »

2010년 아시안 게임

제16회 아시안 게임은 2010년 11월 12일에서 11월 27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광저우에서 열. 광저우는 1990년 베이징에 이어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 두 번째로 아시안 게임을 치른 도시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0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3년 · 더보기 »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5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5년 · 더보기 »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2015년 EAFF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6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6년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7년 · 더보기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동아시안컵의 제7회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남자부) · 더보기 »

2018년 FIFA 월드컵

2018년 FIFA 월드컵()은 FIFA 주관으로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FIFA 월드컵의 21번째 대회이.

새로운!!: 공한증와 2018년 FIFA 월드컵 · 더보기 »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16년 9월 1일부터 2017년 9월 5일까지 약 1년 동안 진행되었.

새로운!!: 공한증와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더보기 »

2월 10일

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1번째(윤년일 경우도 41번째)ㅡㅡㅡ3ㄷ3.

새로운!!: 공한증와 2월 10일 · 더보기 »

2월 17일

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8번째(윤년일 경우도 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2월 17일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2월 19일 · 더보기 »

2월 7일

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8번째(윤년일 경우도 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2월 7일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3월 1일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3월 23일 · 더보기 »

3월 31일

3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0번째(윤년일 경우 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3월 31일 · 더보기 »

3월 3일

3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2번째(윤년일 경우 6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3월 3일 · 더보기 »

3월 4일

3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3번째(윤년일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3월 4일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4월 23일 · 더보기 »

4월 27일

4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7번째(윤년일 경우 1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4월 27일 · 더보기 »

5월 1일

5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1번째(윤년일 경우 122번째), 뒤에서부터는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5월 1일 · 더보기 »

6월 4일

6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5번째(윤년일 경우 1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6월 4일 · 더보기 »

7월 24일

7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5번째(윤년일 경우 2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7월 24일 · 더보기 »

7월 28일

7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9번째(윤년일 경우 2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7월 28일 · 더보기 »

7월 31일

7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2번째(윤년일 경우 2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7월 31일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8월 26일 · 더보기 »

8월 2일

8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4번째(윤년일 경우 2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8월 2일 · 더보기 »

8월 30일

8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2번째(윤년일 경우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8월 30일 · 더보기 »

8월 3일

8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5번째(윤년일 경우 2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8월 3일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5일

9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8번째(윤년일 경우 2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9월 25일 · 더보기 »

9월 27일

9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0번째(윤년일 경우 2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9월 27일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공한증와 9월 2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한중 정기전, 한중정기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