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함흥철

색인 함흥철

흥철(咸興哲, 1930년 11월 17일 ~ 2000년 9월 11일)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활동했던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였.

43 처지: AFC 아시안컵, 문정식, 민병대 (축구인), 박병석 (축구인), 박성화, 강원도, 고양 자이크로 FC, 김정남 (축구인),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장경환, 인제군, 일제 강점기, 제주 유나이티드 FC, 축구, 최정민 (1930년), 최영근 (축구인), 설악산, 아시안 게임 축구, K리그, K리그 1983, K리그 감독상, 11월 17일, 12월 20일, 1930년, 1954년 아시안 게임,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56년 AFC 아시안컵, 1958년 아시안 게임, 1958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60년 AFC 아시안컵, 1962년 아시안 게임,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1972년, 1974년, 1976년, 1978년, 1979년, 2000년, 3월 28일, 3월 2일, 5월 13일, 6월 16일, 9월 11일.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AFC Asian Cup)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국가 대항 축구 대회이다. 이 대회 우승자는 아시아 대표 자격으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진출한다. 원래 아시안컵은 1956년부터 2004년까지 4년마다 열렸다. 그러나 아시안컵보다 인지도와 인기가 더 높은 하계 올림픽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가 같은 해에 열리고 있기 때문에 AFC는 개최 주기를 변경하였다. 그 첫 대회가 2007년이다. 이후 이전처럼 4년간 열리게 되어 2011년, 2015년과 같은 식으로 열린다. 근래에는 전 대회 1~3위 팀과 다음 대회 개최국 및 2개의 AFC 챌린지컵 우승 팀 등 총 6팀이 다음 대회의 자동 본선 진출권을 갖는다. 나머지 AFC 가맹국들은 별도의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권을 얻으며, 자동 본선 진출국까지 합하면 아시안컵 본선에는 총 16개 국가가 진출할 수 있다. 그러나 2019년 대회부터 본선 참가국이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늘어나면서 진출권 배정 방식이 대폭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개최국만 자동 본선 진출권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한 12개국이 AFC 아시안컵 예선을 치르지 않고 본선 진출권을 가지게 된다. 만약 개최국이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하면 12개국만 예선 없이 본선 진출권을 가지게 되고 그러하지 아니할 경우 13개국이 예선 없이 본선 진출권을 가지게 된다. AFC 아시안컵 예선은 개최국과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참가팀을 제외한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탈락국들이 참가한다. 플레이오프를 거쳐 24개국을 선별한 뒤 6개조에 4개국씩 나뉘어 예선을 치러 각조 1위와 2위팀이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을 가지게 된다. 우승팀 등에 대한 상금은 주어지지 않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AFC는 2015년 대회부터 상금 1000만 달러를 내거는 것을 추진하였지만 최종적으로는 무산되었다.

새로운!!: 함흥철와 AFC 아시안컵 · 더보기 »

문정식

문정식(文正植,하은이꼬 1994년 9월 18일 ~ 현재)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였으며 울산 현대 축구단의 초대 감독이었.

새로운!!: 함흥철와 문정식 · 더보기 »

민병대 (축구인)

민병대(閔丙大, 1918년 2월 20일 ~ 1983년 1월 4일)는 대한민국의 축구인이.

새로운!!: 함흥철와 민병대 (축구인) · 더보기 »

박병석 (축구인)

박병석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감독이.

새로운!!: 함흥철와 박병석 (축구인) · 더보기 »

박성화

박성화(朴成華, 1955년 5월 7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선수 및 현 지도자이.

새로운!!: 함흥철와 박성화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함흥철와 강원도 · 더보기 »

고양 자이크로 FC

양 자이크로 FC(Goyang Zaicro Football Club)는 경기도 고양시를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

새로운!!: 함흥철와 고양 자이크로 FC · 더보기 »

김정남 (축구인)

정남(金正男, 1943년 1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이.

새로운!!: 함흥철와 김정남 (축구인) · 더보기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민국 축구 국가대표팀(大韓民國 蹴球 國家代表-)은 대한민국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구성.

새로운!!: 함흥철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더보기 »

장경환

장경환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감독이.

새로운!!: 함흥철와 장경환 · 더보기 »

인제군

인제군(麟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북부에 있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영서북부지역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함흥철와 인제군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함흥철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제주 유나이티드 FC

제주 유나이티드 FC(Jeju United Football Club, 제주 유나이티드 축구단)는 K리그1에 소속된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제주특별자치도를 연고지로 두고 있.

새로운!!: 함흥철와 제주 유나이티드 FC · 더보기 »

축구

축구 경기장 모형 축구(蹴球)는 손과 팔을 제외한 신체를 사용해 공을 다루는 구기 경기 종목이.

새로운!!: 함흥철와 축구 · 더보기 »

최정민 (1930년)

정민(崔貞敏, 1930년 8월 30일 ~ 1983년 12월 8일)은 1950년대에 활동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출신의 축구 선수이.

새로운!!: 함흥철와 최정민 (1930년) · 더보기 »

최영근 (축구인)

영근(崔榮根, 1923년 2월 8일 ~ 1994년 7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함흥철와 최영근 (축구인) · 더보기 »

설악산

설악산(雪嶽山)은 강원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고성군에 걸쳐 있는 해발고도 1,708미터의 산이.

새로운!!: 함흥철와 설악산 · 더보기 »

아시안 게임 축구

각 국가의 아시안 게임에서의 남자 축구 최고성적 (금메달-금색, 은메달-갈색, 동메달-회색, 기타-연보라) 아시안 게임의 운동 종목으로서의 남자 축구는 1951년 아시안 게임으로 거슬러 올. 여자 축구 대회는 1990년 아시안 게임 때부터 시작되었.

새로운!!: 함흥철와 아시안 게임 축구 · 더보기 »

K리그

K리그(K League)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Korea Professional Football League)로서, 대한민국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에 위치한 프로 리그인 K리그1과 K리그2를 통칭하는 이름이.

새로운!!: 함흥철와 K리그 · 더보기 »

K리그 1983

1983년 대한민국 프로축구(1983 K-League)는 蹴球수퍼리그战(축구수퍼리그전) 라는 이름으로 1983년 4월 12일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써 출범하였.

새로운!!: 함흥철와 K리그 1983 · 더보기 »

K리그 감독상

K리그 감독상은 역대 K리그에서 올해의 감독상을 받은 프로축구단 감독들의 명단이.

새로운!!: 함흥철와 K리그 감독상 · 더보기 »

11월 17일

1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1번째(윤년일 경우 32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11월 17일 · 더보기 »

12월 20일

1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4번째(윤년일 경우 3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12월 20일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30년 · 더보기 »

1954년 아시안 게임

제2회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경기 연맹 주관 아래 1954년 5월 1일부터 5월 9일까지 9일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 19개국에서 총 970명의 선수가 참가해 여덟 종목에 결처 기량을 겨루었.

새로운!!: 함흥철와 1954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제2회 아시안 게임 축구경기는 1954년 5월 1일부터 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 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축구 분류:필리핀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

새로운!!: 함흥철와 1954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더보기 »

1956년 AFC 아시안컵

1956년 AFC 아시안컵()은 1956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홍콩에서 개최된 1번째 AFC 아시안컵이.

새로운!!: 함흥철와 1956년 AFC 아시안컵 · 더보기 »

1958년 아시안 게임

제3회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경기 연맹(AFG) 주관으로 1958년 5월 24일부터 6월 1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 아시아 20개국이 참가하였으며 참가 선수의 수는 1820명이.

새로운!!: 함흥철와 1958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195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제3회 아시안 게임 축구경기는 1958년 5월 24일부터 6월 1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

새로운!!: 함흥철와 1958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더보기 »

1960년 AFC 아시안컵

1960년 AFC 아시안컵은 1960년 10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2번째 AFC 아시안컵이.

새로운!!: 함흥철와 1960년 AFC 아시안컵 · 더보기 »

1962년 아시안 게임

제4회 아시안 게임은 아시아 경기 연맹 주관으로 1962년 8월 24일부터 9월 4일까지 16일 동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 17개국이 참가하였으며, 참가 선수는 1,460명이.

새로운!!: 함흥철와 1962년 아시안 게임 · 더보기 »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제4회 아시안 게임 축구경기는 1962년 8월 25일 - 9월 4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 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축구 분류: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

새로운!!: 함흥철와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72년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74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76년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78년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흥철와 1979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함흥철와 2000년 · 더보기 »

3월 28일

3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7번째(윤년일 경우 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3월 28일 · 더보기 »

3월 2일

3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1번째(윤년일 경우 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3월 2일 · 더보기 »

5월 13일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5월 13일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6월 16일 · 더보기 »

9월 11일

9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4번째(윤년일 경우 2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함흥철와 9월 11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