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헌숙왕후

색인 헌숙왕후

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951년? ~ ?)는 고려 제5대 왕 경종의 제1왕후이.

31 처지: 경주 김씨, 경주 이씨, 경순왕, 경화궁부인, 고려, 고려 경종, 고려 광종, 고려 태조, 고려사, 본관, 불교, 대목왕후, 낙랑공주, 낙랑공주 (고려), 장수 황씨, 죽방부인, 천추태후 (드라마), 태묘, 영릉 (고려 경종), 양은용, 헌의왕후, 삼국유사, 한국방송공사, , 1814년, 925년, 951년, 955년, 975년, 978년, 981년.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주 이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경주 이씨 · 더보기 »

경순왕

경순왕(敬順王. ? ~ 978년)은 신라의 제56대 군주(재위: 927년 ~ 935년)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경순왕 · 더보기 »

경화궁부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 林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혜종의 딸이자 광종의 제2비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경화궁부인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경종

경종(景宗, 955년 11월 9일 (음력 윤 9월 22일) ~ 981년 8월 13일 (음력 7월 11일))은 고려 제5대 국왕(재위: 975년 ~ 981년)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고려 경종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고려사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헌숙왕후와 본관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불교 · 더보기 »

대목왕후

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는 고려의 제4대 왕인 광종의 비(妃)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대목왕후 · 더보기 »

낙랑공주

낙랑공주(樂浪公主, ? ~ 32년)는 낙랑왕 최리(崔理)의 딸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낙랑공주 · 더보기 »

낙랑공주 (고려)

낙랑공주(樂浪公主)는 고려(高麗)의 공주(公主)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낙랑공주 (고려) · 더보기 »

장수 황씨

장수 황씨(長水 黃氏)는 전라북도 장수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장수 황씨 · 더보기 »

죽방부인

죽방부인(竹房夫人. 생몰년 미상)은 신라 제56대 왕 경순왕의 왕후(王后)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죽방부인 · 더보기 »

천추태후 (드라마)

《천추태후》(千秋太后)는 KBS가 2009년 1월 3일부터 2009년 9월 27일까지 방영한 대하드라마이며 집필자 중 한 명인 손영목 작가는 해당 작품에 앞서 2002년 7월 방영될 예정이었던 무협드라마 의 집필자로 낙점됐지만 제작비 문제, 주요 배우 캐스팅 섭외 등으로 편성이 무산.

새로운!!: 헌숙왕후와 천추태후 (드라마) · 더보기 »

태묘

북경 태묘 태묘(太廟)는 명나라와 청나라 때 황제와 황후의 위패를 모신 황실 사당으로 베이징 시 자금성 밖에 있. 조선의 종묘와 같. 자금성의 정전인 태화전(太和殿)과 같이 3단 위에 세워져 있으며 즉위식, 국혼, 황태자 책봉식 등이 끝난 후 황제는 태묘에 가서 조상에게 그 사실을 고하였.

새로운!!: 헌숙왕후와 태묘 · 더보기 »

영릉 (고려 경종)

영릉(榮陵)은 개성특급시 판문군에 위치한 고려 제5대 경종과 경종 제1비 헌숙왕후 김씨의 능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영릉 (고려 경종) · 더보기 »

양은용

양은용(1975년 7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양은용 · 더보기 »

헌의왕후

의왕후 유씨(獻懿王后 劉氏)는 고려(高麗)의 제5대 왕(王) 경종(景宗)의 제2비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헌의왕후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삼국유사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국왕(國王) 또는 왕(王) (영어;king)은 군주 칭호의 일종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왕 · 더보기 »

1814년

181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헌숙왕후와 1814년 · 더보기 »

9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25년 · 더보기 »

9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51년 · 더보기 »

9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55년 · 더보기 »

9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75년 · 더보기 »

9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78년 · 더보기 »

9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숙왕후와 98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헌승황후, 헌숙왕후 김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