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이정희 (1903년)

색인 이정희 (1903년)

이정희 (1952년) 이정희(李正熙, 1903년 12월 9일~1981년 9월)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자, 정치인이.

120 처지: 마산시, 문경시,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주당, 감천, 박용만 (1924년), 경북대학교, 경주시, 경상북도, 경상북도영주교육지원청, 경향신문, 봉화군, 부산광역시, 빨치산, 김규식, 김정식 (1915년), 대구광역시,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제3대 국회, 대한민국 제4대 국회,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의 교육감, 교사, 국방대학교, 국회의원, 군수, 우계 이씨, 자유당 (대한민국), 장면, 장택상, 평은면, 이승만, 이수형, 이산면, 인천광역시, 일제 강점기, 진주, 창씨개명, 청주시, 초등학교, 충청북도, 윤제술, 영주경찰서, 영주시, 영주시의 국회의원, 영풍군 (경상북도), 현석호, 성리학, ..., 소백산, 소학교, 한국 전쟁, 안동시, 11월, 11월 10일, 11월 21일, 12월, 12월 13일, 12월 27일, 12월 9일, 1901년, 1903년, 1922년, 1928년, 1929년, 1931년, 1934년, 1938년, 1939년, 1940년, 1941년, 1945년, 1949년, 1950년, 1952년, 1954년, 1955년, 1956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3년, 1981년, 1월, 1월 23일, 2월 10일, 2월 19일, 2월 1일, 2월 23일, 2월 9일, 3월 16일, 3월 4일, 4월, 4월 1일, 4월 21일, 4월 24일, 4월 27일, 5·16 군사 정변, 5월, 5월 10일, 5월 11일, 5월 13일, 5월 21일, 6월, 6월 12일, 6월 3일, 6월 7일, 7월, 7월 15일, 7월 22일, 7월 29일, 7월 3일, 8월 10일, 8월 8일, 9월, 9월 1일, 9월 23일, 9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0 더)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마산시 · 더보기 »

문경시

문경시(聞慶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문경시 · 더보기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권위주의, 협동조합주의 정당으로, 1963년 2월 26일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한 군부 세력이 구 자유당 세력과 대한국민당 세력, 기타 정구영 등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일부를 흡수하여 창당하였.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 더보기 »

민주당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정당 이름으로 많이 쓰이는 이름으로, 다음을 가리.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민주당 · 더보기 »

감천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감천 · 더보기 »

박용만 (1924년)

박용만(朴容萬, 1924년 ~ 1996년)은 9·10·12·13대 4선 국회의원과 대통령 이승만 비서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 보수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박용만 (1924년) · 더보기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는 1946년 5월 28일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으로 개교한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이며, 대구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국립 대학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경북대학교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경주시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북도영주교육지원청

경상북도영주교육지원청(慶尙北道榮州敎育支援廳, Yeongju Office of Education)은 경상북도 영주시를 관할하는 경상북도교육청 산하 교육지원청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경상북도영주교육지원청 · 더보기 »

경향신문

1982년의 경향신문사 건물.당시 문화방송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경향신문》(京鄕新聞)은 대한민국에서 발매하는 일간 조간 신문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경향신문 · 더보기 »

봉화군

봉화군(奉化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봉화군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빨치산

빨치산(문화어: 빨찌산)은 파르티잔에서 온 말로,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빨치산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김규식 · 더보기 »

김정식 (1915년)

부고 기사(경향신문, 1989) 김정식(金正植, 1915년 ~ 1989년 11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김정식 (1915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

민국 제3대 국회는 1954년 5월 2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3대 총선을 통해 구성된 국회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대 국회

4년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대한민국헌법)에 의해 임기 종료일이 이 헌법시행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민의원의원총선거를 실시하는 전일까지로 지정되었.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제4대 국회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5대 총선(大韓民國第五代總選)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에 따라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6대 총선(大韓民國第六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6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3년 11월 26일에 치러졌.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교육감

민국의 교육감(敎育監)은 각 광역자치단체(총 17개)의 교육에 관한 사무를 총괄 처리 하는 직위를 말. 대한민국의 모든 광역자치단체에 설립되는 지방교육청의 수장으로 차관급 지방정무직으로 보하며 구청장이나 군수 등의 기초자치단체의 장과 권한을 나눠 갖는 시도지사와는 달리 교육감의 권한은 분산되지 않. 한편, 교육감을 보좌하기 위해 부교육감을 두며 해당 시·도 교육감이 추천한 자를 교육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대한민국의 교육감 · 더보기 »

교사

유치원생들을 수업 중인 교사 교사(敎師)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 좁게는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된 자 또는 교사자격증(교원자격증2급)을 소지한 자, 국공립학교의 교원과 사립학교의 교원을 부르며 넓게는 이들을 비롯하여 대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대학교원의 교수(敎授) 등을.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교사 · 더보기 »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國防大學校,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약칭: KNDU)는 1955년에 설립된 국방부 산하의 국립대학교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국방대학교 · 더보기 »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 MP)은 유권자를 대표해 의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국회의원 · 더보기 »

군수

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군수 · 더보기 »

우계 이씨

우계 이씨(羽溪 李氏)는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우계 이씨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장면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장택상 · 더보기 »

평은면

평은면(平恩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의 면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평은면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수형

이수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이수형 · 더보기 »

이산면

이산면(伊山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의 면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이산면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진주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청주시

청주시(淸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충청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청주시 · 더보기 »

초등학교

등학교(初等學校, (小學校))는 초등교육기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초등학교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윤제술

윤제술 (尹濟述, 1904년 1월 29일 ~ 1986년 7월 24일)은 전북 김제 출신 대한민국 교사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윤제술 · 더보기 »

영주경찰서

영주경찰서(榮州警察署, Yeongju Police station)는 경상북도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영주경찰서 · 더보기 »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영주시 · 더보기 »

영주시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영주시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영풍군 (경상북도)

영풍군(榮豊郡)은 경상북도 영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영풍군 (경상북도) · 더보기 »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현석호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성리학 · 더보기 »

소백산

소백산(小白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도 영주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일찍부터 태백산과 함께 신령시 되온 산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소백산 · 더보기 »

소학교

소학교(小學校)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등에서 초등학교를 뜻하는 말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소학교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안동시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1월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21일

1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5번째(윤년일 경우 3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1월 21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2월 · 더보기 »

12월 13일

1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7번째(윤년일 경우 3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2월 13일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2월 27일 · 더보기 »

12월 9일

1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3번째(윤년일 경우 34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2월 9일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01년 · 더보기 »

1903년

190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03년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22년 · 더보기 »

1928년

192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28년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29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31년 · 더보기 »

1934년

193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34년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38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39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40년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41년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45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49년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0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2년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4년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5년 · 더보기 »

1956년

195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6년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8년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59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60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61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63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981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월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1월 23일 · 더보기 »

2월 10일

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1번째(윤년일 경우도 41번째)ㅡㅡㅡ3ㄷ3.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2월 10일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2월 19일 · 더보기 »

2월 1일

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번째(윤년일 경우도 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2월 1일 · 더보기 »

2월 23일

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4번째(윤년일 경우도 5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2월 23일 · 더보기 »

2월 9일

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0번째(윤년일 경우도 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2월 9일 · 더보기 »

3월 16일

3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5번째(윤년일 경우 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3월 16일 · 더보기 »

3월 4일

3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3번째(윤년일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3월 4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4월 · 더보기 »

4월 1일

4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1번째(윤년일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4월 1일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4월 21일 · 더보기 »

4월 24일

4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4번째(윤년일 경우 1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4월 24일 · 더보기 »

4월 27일

4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7번째(윤년일 경우 1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4월 27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월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월 10일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월 11일 · 더보기 »

5월 13일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월 13일 · 더보기 »

5월 21일

5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1번째(윤년일 경우 14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5월 21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6월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6월 12일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6월 3일 · 더보기 »

6월 7일

6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8번째(윤년일 경우 15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6월 7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7월 · 더보기 »

7월 15일

7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6번째(윤년일 경우 1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7월 15일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7월 22일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7월 29일 · 더보기 »

7월 3일

7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4번째(윤년일 경우 18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7월 3일 · 더보기 »

8월 10일

8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2번째(윤년일 경우 22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8월 10일 · 더보기 »

8월 8일

8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0번째(윤년일 경우 2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8월 8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9월 · 더보기 »

9월 1일

9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4번째(윤년일 경우 2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9월 1일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9월 23일 · 더보기 »

9월 8일

9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1번째(윤년일 경우 2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이정희 (1903년)와 9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맹실, 맹실 이정희, 효산 이정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