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세 다쓰지

색인 후세 다쓰지

후세 다쓰지(1880년 11월 13일 ~ 1953년 9월 13일,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시 출생)는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시 출신의 일본의 인권변호사, 사회운동가이.

71 처지: 독도, 동양척식주식회사, 메이지 대학, 미야기현, 민중, 간토 대지진,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박열, 가네코 후미코, 건국훈장, 법률, 검사, 변호사, 권리, 부라쿠민, 금고 (법률), 김지섭, 대한민국, 나주시, 농민, , 노동자, 우쓰노미야 시, 폭탄, 평등, 이시노마키 시, 인도주의, 일본, 일본공산당, 일본인,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의열단, 정준영, 조선총독부, 징역형, 치안유지법, 타이완, 형평사 운동, 최팔용, 사기 (법률), 사회, 사회주의, 송계백, 야하타 제철소, 한반도, 한국의 독립운동, 한일 병합 조약, 한신 교육투쟁, 식민지, ..., 11월 13일, 1880년, 1902년, 1906년, 1911년, 1918년, 1919년, 1920년대, 1921년, 1926년, 1932년, 1933년, 1939년, 1946년, 1953년, 1999년, 2001년, 2004년, 2·8 독립 선언, 3·15 사건, 9월 13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독도

독도(獨島)는 동해의 남서부, 울릉도와 오키 제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총 91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 독도의 동도는 동경 131도 52분 10.4초, 북위 37도 14분 26.8초에 자리 잡고 있고, 서도는 동경 131도 51분 54.6초, 북위 37도 14분 30.6초에 위치해 있. 일본에서는 다케시마()라는 명칭으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제3국에서는 중립의 입장을 보이는 리앙쿠르 암초() 등으로 불리고 있. 현재 대한민국이 실효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이 섬을 대한민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고 항의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 대한민국에서는 1952년 당시 이승만 전 대통령이 평화선을 선포하여 일본에 대해 강경하게 맞선 경우를 제외하고는 독도 문제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조용한 외교'정책을 취하고 있. 故 최종덕이 1965년 3월부터 최초 거주한 이래, 현재 김성도 부부 및 독도경비대원 35명, 등대 관리원 2명, 울릉군청 독도관리 사무소 직원 2명 등 약 40명이 거주하고 있다(2017년 9월 기준).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독도 · 더보기 »

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동양척식, Oriental Development Company)은 1908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으로, 일본 제국이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세운 국책회사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동양척식주식회사 · 더보기 »

메이지 대학

엠블럼 메이지 대학()은 도쿄도 지요다 구 간다스루가다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일본의 명문 사립 대학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메이지 대학 · 더보기 »

미야기현

미야기현()은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 있는 현이고, 현청 소재지는 센다이 시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미야기현 · 더보기 »

민중

민중(民衆)은 인민대중의 줄임말로, 일본이나 한국에서 국가나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민중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32초(일본 표준시)에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간토 대지진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일본의 자경단이 조선인을 학살하는 사진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關東大地震 朝鮮人 虐殺事件, 간단히 간토 대학살)은 간토 대지진(1923년) 당시 혼란의 와중에서 일본 민간인과 군경에 의하여 무차별적으로 자행된 조선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대대적인 학살 사건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 더보기 »

박열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박열(朴烈, 박렬, 1902년 3월 12일(음력 2월 3일) ~ 1974년 1월 17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박열 · 더보기 »

가네코 후미코

후미코() 혹은 박문자(1903년 1월 25일 ~ 1926년 7월 23일)는 일본의 아나키스트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가네코 후미코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건국훈장 · 더보기 »

법률

폴란드어로 기록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법률. 법률(法律)은 주로 입법부의 심의와 의결을 거치고, 국가 원수가 서명·공포하여 효력이 발생하는 법의 한 형식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법률 · 더보기 »

검사

사(檢事, prosecutor)는 범죄자에 대하여 법원에 기소 및 공소유지를 담당.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검사 · 더보기 »

변호사

변호사(辯護士)는 사전적인 의미로는 법률에 규정된 자격을 가지고 소송 당사자나 관계인의 의뢰 또는 법원의 결정에 따라 피고나 원고를 변론하며 그 밖의 법률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 업무로 살펴보면 당사자의 선임 또는 관청의 지정에 의하여 소송에서 소송행위뿐만이 아니라 기타 일반 법률 사무를 행. 민사소송의 경우에는 사건의뢰자의 소송대리인이 되고, 형사사건에서는 피의자 및 피고인의 변호인이 될 수 있.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변호사 · 더보기 »

권리

리(權利)는 인간과 집단이 국가, 사회, 단체 활동을 함에 있어 정당하게 행사할 수 있는 힘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권리 · 더보기 »

부라쿠민

부라쿠민()이란 전근대 일본의 신분 제도 아래에서 최하층에 위치해 있었던 불가촉천민 및 신분제 철폐 이후의 근현대 일본에서도 여전히 천민 집단의 후예로 차별 대상이 되고 있는 일본 사회의 특정 계층을 가리.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부라쿠민 · 더보기 »

금고 (법률)

형(禁錮刑)은 형벌 중 하나로, 교도소에 수감하는 점에서 징역형과 비슷하나, 징역형이 교도소에 복무하면서 노동하는데 비해 금고형은 노동하지 않는 점이 다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금고 (법률) · 더보기 »

김지섭

섭 김지섭(金祉燮, 1885년 ~ 1928년 2월 2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호는 추강(秋岡)이며, 경상북도 안동(安東) 출생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김지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나주시 · 더보기 »

농민

1909년 방문객에게 열매를 대접하는 러시아의 귀틀집 거주자들(사진 촬영자 세르게이 프로쿠딘고르스키). 농민(農民, 페전트)은 토지에서 소규모 농업노동에 종하사는 자로써, 임노동자가 아닌 사람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농민 · 더보기 »

의 땅을 보여주는 지도. 녹색과 노란색의 음영을 참고할 것. 땅 또는 육지(陸地)은 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이 있는 곳을 제외한 지구의 표면을 말. 땅은 뭍이라고도 하는데, 뭍은 땅 중에서도 섬이 아닌 본토(本土)를 주로 가리.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땅 · 더보기 »

노동자

동자(勞動者) 또는 근로자(勤勞者)는 사용자(使用者)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임금을 지급받는 사람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노동자 · 더보기 »

우쓰노미야 시

우쓰노미야 대로 우쓰노미야 시()는 도치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우쓰노미야 시 · 더보기 »

폭탄

MOAB. 폭탄(爆彈)은 화약 등의 물질이 급속히 폭발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파괴하는 무기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폭탄 · 더보기 »

평등

평등 평등(平等)은 인간의 존엄, 권리, 인격, 가치, 행복의 추구 등에 있어 차별이 없이 같은 상태를 말. 평등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사용하는 사람의 사상과 철학에 따라 중층적 의미를.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평등 · 더보기 »

이시노마키 시

이시노마키 시()는 미야기현 동부 기타카미 강 하구에 있는 시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이시노마키 시 · 더보기 »

인도주의

인도주의(人道主義)는 모든 인간이 평등한 인격과 존엄성을 지닌 동등한 인간이라는 입장에서, 인류에게 있어 바람직한 일(예컨대 행복·평화·우애 등)을 인종·민족·국적·체제·종교 여하를 초월하여 타인에게 실천하는 사고 방식 내지 운동을 말. 차별없는 우애를 실천하는 박애주의, 서로 돕는 운동, 자선운동, 사해동포(四海同胞)주의, 평화주의 등으로 나타나 있.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인도주의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일본 · 더보기 »

일본공산당

일본공산당()은 1922년 7월 15일 창당한 일본의 정당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일본공산당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일본인 · 더보기 »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본 제국의 국기 현대 일본국의 국기 일본의 민족주의()는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 및 전체주의 사상과 현대 일본에서 국수주의적인 민족주의를 모. 여기에 대해, 일본 내에서는 일본의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분리되어야한다고 주장.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일본의 내셔널리즘 · 더보기 »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日本의 歷史敎科書 問題)는 일본과 인접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등) 사이에서 겪고 있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기술을 둘러싼 문제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 더보기 »

의열단

의열단(義烈團)은 약산 김원봉을 단장으로 하는 아나키스트 성격의 무장독립운동단체로 1919년 11월 9일 설립.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의열단 · 더보기 »

정준영

정준영(鄭俊英, 1989년 2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프로게이머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정준영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징역형

징역형(懲役刑, (勞動敎化刑))은 형법에 규정된 형벌의 한 종류로서, 자유형 중 가장 대표적인 형벌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징역형 · 더보기 »

치안유지법

《치안유지법》()은 일본 제국 말기에 천황 통치 체제를 부정하는 운동을 단속하는 법률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치안유지법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타이완 · 더보기 »

형평사 운동

형평사 운동(衡平社運動)이란 1923년부터 일어난 백정들의 신분해방운동을 말. 1923년 4월, 일본에서 전개된 수평운동의 영향을 받아 경상남도 진주에서 이학찬, 장지필 등 백정 출신과 강상호, 신현수, 천석구 등 양반 출신이 합심하여 조직을 결성.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형평사 운동 · 더보기 »

최팔용

용(崔八鎔, 1891년 7월 13일 ~ 1922년 9월 14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최팔용 · 더보기 »

사기 (법률)

사기(詐欺)는 고의로 사실을 속여서 사람을 착오에 빠지게 하는 행위를 말. 즉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란 표의자가 타인의 기망행위로 말미암아 착오에 빠지고 그 결과로서 한 의사표시를 말.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 역시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라는 점에서는 보통의 착오와 다르지 않. 다만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는 타인의 기망행위에 의하여 착오에 빠지고 있으므로 보통의 착오와는 달리 법률행위 내용의 중요한 부분에 착오가 없더라도 취소할 수 있. 사기에 의한 의사표시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이 필요.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사기 (법률)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사회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송계백

송계백(宋繼白, 1896년 ~ 1920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송계백 · 더보기 »

야하타 제철소

히가시다 제1제철로. 야하타 제철소 는 일본의 제철소 중 하나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야하타 제철소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한국의 독립운동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신 교육투쟁

시위대를 진압하는 오사카시경 한신교육투쟁(阪神教育鬪爭)은 재일조선인과 일본 공산당이 1948년 4월 14일부터 같은해 4월 26일까지 오사카부와 효고현에서 벌인 민족교육투쟁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한신 교육투쟁 · 더보기 »

식민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세계 열강의 식민지 1945년 식민지(植民地)는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 혹은 도시의 지배를 받는 영토를 말. 오늘날에는 식민지라는 말 대신 해외 영토나 속령 등의 용어가 대신 사용.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식민지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1월 13일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880년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02년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06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11년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18년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19년 · 더보기 »

1920년대

1920년대는 1920년부터 192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20년대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21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26년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3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33년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39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46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53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1999년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2001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2004년 · 더보기 »

2·8 독립 선언

이광수가 2·8 독립 선언을 낭독한 도쿄 히비야 공원 2·8 독립 선언(二·八獨立宣言)은 1919년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2·8 독립 선언 · 더보기 »

3·15 사건

3·15 사건()은 1928년 3월 15일 일본 정부가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를 탄압한 사건이.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3·15 사건 · 더보기 »

9월 13일

9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6번째(윤년일 경우 25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후세 다쓰지와 9월 13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후세 다츠지, 후세 타츠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