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석경당

색인 석경당

후진 고조 석경당(後晉高祖 石敬瑭, 892년 3월 30일 ~ 942년 7월 28일)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진의 초대 황제이.

34 처지: 뤄양 시, 거란, 구오대사, 요 태종, 자치통감, 이극용, 이종가, 이종후, 이사원, 중국, 진회, 유지원 (후한), 태원, 타이위안 시, 오대 십국 시대, 연운십육주, 허베이성, 업 (지명), 사타, 석중귀, 아들, 후당, 후진 (오대), 후한 (오대), 황제, 왕조, 11월 28일, 3월 30일, 7월 23일, 7월 28일, 892년, 926년, 936년, 942년.

뤄양 시

양(낙양)은 허난 성의 도시로, 동주와 후한 그리고 육조 시대의 옛 수도이.

새로운!!: 석경당와 뤄양 시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석경당와 거란 · 더보기 »

구오대사

《구오대사》(舊五代史)는 중국 북송 시대에 설거정 등이 태종의 명에 의해 편찬한 역사서로, 중국 정사 이십사사 중 하나이.

새로운!!: 석경당와 구오대사 · 더보기 »

요 태종

요 태종 야율덕광(遼 太宗 耶律德光, 902년 ~ 947년)은 거란의 칸이자, 요나라의 제 2대 황제(재위: 926년 ~ 947년)이.

새로운!!: 석경당와 요 태종 · 더보기 »

자치통감

《자치통감》(資治通鑑) 《자치통감》(資治通鑑)은 북송의 사마광이 지은 중국의 역사책이.

새로운!!: 석경당와 자치통감 · 더보기 »

이극용

이극용(李克用, 856년~908년)은 설연타 지도자 이국창 (李國昌)의 아들로서 중국 당나라말기 돌궐계 사타족(沙陀族) 출신의 최대 군벌이자 군사지도자이.

새로운!!: 석경당와 이극용 · 더보기 »

이종가

후당 말제 이종가(後唐末帝 李從珂, 885년 2월 11일 ~ 937년 1월 11일)는 오대 십국 시대 후당의 마지막 황제이.

새로운!!: 석경당와 이종가 · 더보기 »

이종후

후당 민제 이종후(後唐閔帝 李從厚, 914년 ~ 934년)는 중국 오대 십국 시대의 후당의 제3대 황제였.

새로운!!: 석경당와 이종후 · 더보기 »

이사원

이사원(李嗣源, 867년 ~ 933년)은 오대십국 시대의 후당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석경당와 이사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석경당와 중국 · 더보기 »

진회

회는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석경당와 진회 · 더보기 »

유지원 (후한)

후한 고조 유지원(後漢高祖 劉知遠, 895년 3월 4일 ~ 948년 3월 10일)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석경당와 유지원 (후한) · 더보기 »

태원

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석경당와 태원 · 더보기 »

타이위안 시

이위안(태원)은 중국 산시 성(山西省)의 성도이며 옛날에는 진양(晉陽)이라 불렀던 도시이.

새로운!!: 석경당와 타이위안 시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석경당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연운십육주

연운십육주의 위치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를 연운16주.

새로운!!: 석경당와 연운십육주 · 더보기 »

허베이성

베이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북부의 성이.

새로운!!: 석경당와 허베이성 · 더보기 »

업 (지명)

양 업(鄴)은 중국의 옛 도시로, 후조·염위·전연·동위·북제의 도읍지였.

새로운!!: 석경당와 업 (지명) · 더보기 »

사타

사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석경당와 사타 · 더보기 »

석중귀

석중귀(石重貴, 914년 ~ 974년)는 오대십국시대 후진(後晉)의 제2대 황제(재위: 942년 ~ 946년)이.

새로운!!: 석경당와 석중귀 · 더보기 »

아들

자의 아들 자 아들은 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

새로운!!: 석경당와 아들 · 더보기 »

후당

후당(後唐, 923년~936년)은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五代)의 두 번째 왕조로 이국창(李國昌)의 손자이며, 진왕(晉王) 이극용의 아들 이존욱이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석경당와 후당 · 더보기 »

후진 (오대)

후진(後晉, 936년~946년)은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의 3번째 왕조로써 후당의 실력자였던 석경당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석경당와 후진 (오대) · 더보기 »

후한 (오대)

후한(後漢, 947년~951년)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네 번째 왕조로서, 건국자인 유지원(劉知遠)은 돌궐 사타족 출신인 후진(後晉)황제 석경당의 부장이었.

새로운!!: 석경당와 후한 (오대)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석경당와 황제 · 더보기 »

왕조

왕조(王朝)는 같은 왕가에 속하는 군주의 가족 또는 그 계열이 지배하는 시대를 말. 일반적으로 상속은 세습에 의해 행해지지만, 맘루크 왕조처럼 실력자가 뒤를 잇는 체제의 경우도 있었.

새로운!!: 석경당와 왕조 · 더보기 »

11월 28일

1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2번째(윤년일 경우 3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석경당와 11월 28일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석경당와 3월 30일 · 더보기 »

7월 23일

7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4번째(윤년일 경우 2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석경당와 7월 23일 · 더보기 »

7월 28일

7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9번째(윤년일 경우 2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석경당와 7월 28일 · 더보기 »

8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경당와 892년 · 더보기 »

9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경당와 926년 · 더보기 »

9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경당와 936년 · 더보기 »

9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석경당와 94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후진 고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