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훈련도감

색인 훈련도감

훈련도감(訓鍊都監)은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임금의 수도 환궁 직후 명나라 전략가 척계광의 저서인 기효신서를 참고로 창설된 수도방위군이.

45 처지: 도성삼군문분계지도, 류성룡, 무위영, 강홍립, 병자호란, 별기군, 북벌론, 균역법, 기효신서, 금위영, 김류, 대한민국 육군, 남인, 남창 (조선 군사), 임경업, 임진왜란, 임오군란, 흥선대원군, 이괄, 정묘호란, 정유재란, 조총,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조선 선조, 진관 체제, 징병제, 청나라, 천보총, 척계광, 수도방위사령부, 수어청, 오군영, 오위, 호패, 어영청, 허목, 삼수미, 속대전, 속오군, 후금, 1593년, 1625년, 1746년, 1881년.

도성삼군문분계지도

성삼군문분계지도 〈도성삼군문분계지도〉(都城三軍門分界地圖)는 조선 영조(英祖) 27년(1751년) 제작된 수도 한성의 지도로서 영조가 도성의 수비에 관해 내린 윤음(綸音: 임금의 말씀)과 절목(節目: 법률 및 규정) 등을 기록한 책인 어제수성윤음(御製守城綸音) 가운데 수록되어 있. 책자에 인쇄된 최초의 서울 지도이며 가로는 42.8 cm, 세로는 29.2cm으로 목판본 지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도성삼군문분계지도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류성룡 · 더보기 »

무위영

무위영(武衛營)은 1881년 성립된 조선의 군영으로, 장어영과 함께 2영을 이루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무위영 · 더보기 »

강홍립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 9월 6일(음력 7월 27일))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강홍립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별기군

별기군(別技軍)은 1881년 (고종 18년) 일본을 롤모델로 삼아서 5월 옛 오군영(五軍營)으로부터 몸이 튼튼한 80명의 지원자를 뽑아 무위영에 소속시켜 창설한 신식군대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별기군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북벌론 · 더보기 »

균역법

역법 (均役法) 은 조선 후기 군역을 대신하는 군포를 2필에서 1필로 줄인 군역세법 개혁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균역법 · 더보기 »

기효신서

효신서에 설명된 맨손무예. 《기효신서》(紀效新書)는, 중국 명(明)의 무장 척계광(戚継光)이 저술한 병서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기효신서 · 더보기 »

금위영

위영은 5군영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숙종 때 설치되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금위영 · 더보기 »

김류

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훈련도감와 김류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훈련도감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훈련도감와 남인 · 더보기 »

남창 (조선 군사)

창(南倉)은 조선 시대 관공서이기도 한 훈련도감, 금위영, 수어청, 어영청, 균역청, 선혜청, 총융청, 장어영, 무위영, 별기군대, 안흥창 등의 예하 미곡 창고였던 조선 관군 군사 군량미 비축 부속 시설이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남창 (조선 군사)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임경업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이괄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유재란

정유재란(丁酉再亂)은 1597년 8월 도요토미 정권 일본군이 임진왜란의 정전회담이 결렬됨에 따라 재차 조선을 침공하여 이듬해인 1598년 12월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정유재란 · 더보기 »

조총

조총(鳥銃)은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아쿼버스급 화승총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조총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진관 체제

제(鎭管體制)는 15세기 세조 이후 실시되었던, 지역 단위의 방위 체제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진관 체제 · 더보기 »

징병제

없음 국가별 상비군 병력 군대가 없는 나라, 보라색 표시 징병제(徵兵制)는, 국가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를 방위할 병역 의무를 강제로 부여하는 제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징병제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훈련도감와 청나라 · 더보기 »

천보총

보총(千步銃)은 조선 숙종때 군기시 소속의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일본의 조총보다 뛰어났던 화승총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천보총 · 더보기 »

척계광

척계광 척계광(1528년 11월 12일 - 1588년 1월 5일)은 중국 명나라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척계광 · 더보기 »

수도방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의 헌병 수도방위사령부 "방패"(首都防衛司令部, Capital Defense Command)는 서울특별시를 방위하는 임무를 가진 대한민국 육군본부 직할의 사령부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수도방위사령부 · 더보기 »

수어청

수어청(守御廳)은 조선시대 오군영 중 하나로 1626년(인조 4년) 설치됐으며 도성 남부와 남한산성을 수비하는 업무를 맡았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수어청 · 더보기 »

오군영

오군영(五軍營)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설치된 조선의 수도와 그 일대를 방어하기 위해 조직된 훈련도감(訓鍊都監), 어영청(御營廳), 금위영(禁衛營), 총융청(摠戎廳), 수어청(守禦廳)의 5개 군영(軍營)을 말. 1881년(고종 18년) 신식 군대로 개편되면서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으로 합쳐졌.

새로운!!: 훈련도감와 오군영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훈련도감와 오위 · 더보기 »

호패

조선시대 호패, 윤선응(尹善應). 호패(戶牌, 號牌)는 전통 봉건시대에 신분증 구실을 하는 작은 패(牌)로 16세 이상의 남자.

새로운!!: 훈련도감와 호패 · 더보기 »

어영청

어영청(御營廳)은 1623년(인조 1년) 설치된 5군영 중 3군문(三軍門)의 하나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어영청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허목 · 더보기 »

삼수미

삼수미(三手米)는 임진왜란 때 훈련도감의 경비를 위해 신설된 특별 지세(地稅)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삼수미 · 더보기 »

속대전

속대전(續大典)은 조선후기의 법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속대전 · 더보기 »

속오군

속오군(束伍軍)은 조선시대의 군대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속오군 · 더보기 »

후금

후금(後金)은 아이신기오로 누르가치가 여진 여러 부족을 복속하여 1616년에, 여진국()의 여러 나라를 이롭게 하는 맑은 한() 된 뒤 1618년에 개국한 나라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후금 · 더보기 »

1593년

15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1593년 · 더보기 »

1625년

162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1625년 · 더보기 »

1746년

174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1746년 · 더보기 »

1881년

188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훈련도감와 188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삼수병, 훈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