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의 차이

고과와 낙과 vs. 삼상 (아뢰야식)

(苦果)와 낙과(樂果), 즉 괴로운 과보와 즐거운 과보는 서로 상대되는 낱말이. 3상(三相)은 아뢰야식의 3종의 상(相)인 자상(自相)과상(果相)인상(因相)을 말. 아뢰야식의 3상(阿賴耶識의 三相)뢰야3상(賴耶三相) 또는 뇌야3상(賴耶三相)이.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의 유사점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는 공통적으로 2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고과와 낙과, 고통 (감정),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의 지옥, 기쁨, 자성 (불교), 이숙 (불교), 인간도, 중생, 천상도, 축생도, 육도 (불교), 윤회, 연기 (불교), , 삼계, 삼성 (불교), 신 (불교).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고과와 낙과와 마음 (불교) · 마음 (불교)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고과와 낙과

(苦果)와 낙과(樂果), 즉 괴로운 과보와 즐거운 과보는 서로 상대되는 낱말이.

고과와 낙과와 고과와 낙과 ·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고통 (감정)

통(苦痛)은 개인의 감정이.

고과와 낙과와 고통 (감정) · 고통 (감정)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고과와 낙과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고과와 낙과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불교 용어 목록/ㅅ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불교의 지옥

불교에서는 지옥(地獄)의 종류로서 팔열팔한지옥(八熱八寒地獄)이 있다고 여. 하지만 팔열팔한 지옥은 최종단계의 지옥이며 심판을 받는 도중에도 각 관문마다 지옥이 구비되어 있.

고과와 낙과와 불교의 지옥 · 불교의 지옥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기쁨

랑스에서의 주말의 기쁨. 기쁨()은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가지는 감정이나 느낌이.

고과와 낙과와 기쁨 · 기쁨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고과와 낙과와 자성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이숙 (불교)

이숙(異熟: 다름게 익음)은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의 불교의 인과사상 또는 교의를 말. 다르게 익는다는 것은 선(善)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낙(樂)으로 성숙(成熟) 또는 변환되고, 불선 즉 악(惡)이 쌓여서 그 결과 무기의 고(苦)로 성숙 또는 변환되는 것을 말. (선이 고가 되고 악이 낙이 된다는 의미는 없다.) 이숙(異熟)이라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과보를 이숙과(異熟果) 또는 이숙생(異熟生)이라고 하는데, 이 두 낱말은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 특히, 이숙과는 전생의 선악업의 총체적인 결과물로서 현생에서 태어날 때 받은 몸과 마음을 가리.

고과와 낙과와 이숙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이숙 (불교) · 더보기 »

인간도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간도(人間道)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하여 다시 태어날 때, 전생에서 지은 선업 또는 악업의 총합에 따라 그 과보로서 현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인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의 6도(六道) 중 하나이.

고과와 낙과와 인간도 · 삼상 (아뢰야식)와 인간도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고과와 낙과와 중생 · 삼상 (아뢰야식)와 중생 · 더보기 »

천상도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천상도(天上道)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하여 다시 태어날 때, 전생에서 지은 선업 또는 악업의 총합에 따라 그 과보로서 현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인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의 6도(六道) 중 하나이.

고과와 낙과와 천상도 · 삼상 (아뢰야식)와 천상도 · 더보기 »

축생도

축생도(畜生道) 또는 축생(畜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고과와 낙과와 축생도 · 삼상 (아뢰야식)와 축생도 · 더보기 »

육도 (불교)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6도(六道)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할 때 자신이 지은 업(業)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6가지로 나눈 것으로,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를 말. '나아가는 세계 또는 장소'라는 뜻의 취(趣)을 써서, 6취(六趣).

고과와 낙과와 육도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육도 (불교) · 더보기 »

윤회

윤회(輪廻) 또는 삼사라()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이.

고과와 낙과와 윤회 · 삼상 (아뢰야식)와 윤회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고과와 낙과와 연기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연기 (불교) · 더보기 »

업(業)은 산스크리트어 낱말 카르마(Karma)의 번역어이.

고과와 낙과와 업 · 삼상 (아뢰야식)와 업 · 더보기 »

삼계

삼계(三界, 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rayo dhātavaḥ,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또는 tisso dhātuyo, William Edward Soothill, Lewis Hodous.,《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p.70. 2011년 2월 23일에 확인.)는 불교 용어로,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고과와 낙과와 삼계 · 삼계와 삼상 (아뢰야식) · 더보기 »

삼성 (불교)

불교에서 3성(三性)은 선(善)과 불선(不善)의 기준에 따라, 즉 도덕적윤리적 성질에 따라 일체법을 분류했을 때의 세 갈래인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를 가리.

고과와 낙과와 삼성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삼성 (불교) · 더보기 »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고과와 낙과와 신 (불교) · 삼상 (아뢰야식)와 신 (불교)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의 비교.

고과와 낙과에는 48 개의 관계가 있고 삼상 (아뢰야식)에는 79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2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5.75%입니다 = 20 / (48 + 79).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고과와 낙과와 삼상 (아뢰야식)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