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의 차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vs. 상응

이 문서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주요 논서인 세친의 《대승오온론》과 그 주석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마음작용 즉 심소법(心所法)에.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의 유사점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는 공통적으로 33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마음작용, 번뇌, 법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육, 불교 용어 목록/오, 불교 용어 목록/심, 불화합성, 부파불교, 대승불교, 구경각, 자성 (불교), 인연, 의근, 차제, 유가행파, 유위와 무위, 육식, 상응, 수 (불교), 오근과 육근, 현상, 설일체유부, 소의, ..., 심불상응행법, 심의식, 화합성.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 더)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 마음 (불교)와 상응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마음작용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 마음작용와 상응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번뇌 · 번뇌와 상응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법 (불교) · 법 (불교)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불교 용어 목록/ㅎ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ㅈ · 불교 용어 목록/ㅈ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불교 용어 목록/ㅇ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불교 용어 목록/ㅅ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이 · 불교 용어 목록/이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불교 용어 목록/정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육

6계(六界)는 지계(地界, prthivī)수계(水界, ap)화계(火界, tejas)풍계(風界, vāyu)공계(空界, ākāśa)식계(識界, vijñśna)를 말. 6대(六大)와 동의어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육 · 불교 용어 목록/육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오

5견(五見)은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 즉 5가지 염오견(染汚見: 번뇌에 오염된 견해)을 말. 5염오견(五染污見), 5리사(五利使) 또는 5벽견(五僻見)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오 · 불교 용어 목록/오와 상응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심

설명이 없습니다.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불교 용어 목록/심와 상응 · 더보기 »

불화합성

불화합성(不和合性) 또는 불화합(不和合)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불화합성 · 불화합성와 상응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부파불교 · 부파불교와 상응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대승불교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 대승불교와 상응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구경각와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 · 구경각와 상응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자성 (불교) · 상응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인연

인연(因緣, 또는 nidāna)은 원인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인연 · 상응와 인연 · 더보기 »

의근

의근(意根)은 마음이 과거로 낙사(落謝)한 것을 말. 의근(意根)은 18계 중 의계(意界)와 동의어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의근 · 상응와 의근 · 더보기 »

차제

제(次第)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차제 · 상응와 차제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유가행파 · 상응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위와 무위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유위와 무위 · 상응와 유위와 무위 · 더보기 »

육식

6식(六識,,, six consciousnesses)은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을 말. 복수형 접미사 신(身)을 사용하여 6식신(六識身)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육식 · 상응와 육식 · 더보기 »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 · 상응와 상응 · 더보기 »

수 (불교)

수(受, 느낌지각정서영납(領納)감수(感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수 (불교) · 상응와 수 (불교) · 더보기 »

오근과 육근

5근(五根)은 안식(시각)이식(청각)비식(후각)설식(미각)신식(촉각)의 5식(五識)이 각자의 대상으로서의 색경(색깔과 형태)성경(소리)향경(냄새)미경(맛)촉경(감촉)의 5경(五境)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소의(所依)로서의 안근(眼根: 눈)이근(耳根: 귀)비근(鼻根: 고)설근(舌根: 혀)신근(身根: 몸)의 5가지 감각 기관을 말. 전체적으로 말하면, 5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의지처, 도구, 감각 기관)로 하여 5경을 인식.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오근과 육근 · 상응와 오근과 육근 · 더보기 »

현상

현상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현상 · 상응와 현상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설일체유부 · 상응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소의

소의(所依)는 의존처(依存處)의지처(依止處)의지(依止)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 능의(能依: 의지하는 자)의 반대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소의 · 상응와 소의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또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심불상응행법 · 상응와 심불상응행법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심의식 · 상응와 심의식 · 더보기 »

화합성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화합성 · 상응와 화합성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의 비교.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에는 222 개의 관계가 있고 상응에는 7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1.26%입니다 = 33 / (222 + 7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마음작용 (대승오온론·광오온론)와 상응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