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송시열와 예송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송시열와 예송의 차이

송시열 vs. 예송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송시열와 예송의 유사점

송시열와 예송는 공통적으로 4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민회빈 강씨, 고려, 권시, 김우명, 김자점, 김장생, 김집 (1574년), 김수항, 김석주, 김홍욱, 남인, 장렬왕후, 인선왕후, 정태화, 조경, 조선,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숙종, 조선 현종, 조선 세종, 주자, 유계 집합, 윤휴, 윤선도, 윤선거, 영의정, 허목, 허적, 성리학, ..., 성균관, 서인, 송준길, 송시열, 소현세자, 1659년, 1660년, 1666년, 1674년, 3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민회빈 강씨와 송시열 · 민회빈 강씨와 예송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고려와 송시열 · 고려와 예송 · 더보기 »

권시

시(權諰, 1604년~1672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유학자이.

권시와 송시열 · 권시와 예송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김우명와 송시열 · 김우명와 예송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김자점와 송시열 · 김자점와 예송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김장생와 송시열 · 김장생와 예송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집 (1574년)와 송시열 · 김집 (1574년)와 예송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김수항와 송시열 · 김수항와 예송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김석주와 송시열 · 김석주와 예송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김홍욱와 송시열 · 김홍욱와 예송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남인와 송시열 · 남인와 예송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송시열와 장렬왕후 · 예송와 장렬왕후 · 더보기 »

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

송시열와 인선왕후 · 예송와 인선왕후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송시열와 정태화 · 예송와 정태화 · 더보기 »

조경

Central park, New Yorkhttp://landscape.links.bg/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造景, landscape architecture)은 인간에 의해 환경을 아름답고 가치있게 기획, 설계, 관리, 보존, 재생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

송시열와 조경 · 예송와 조경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송시열와 조선 · 예송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효종 · 예송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인조 · 예송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송시열와 조선 숙종 · 예송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현종 · 예송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송시열와 조선 세종 · 예송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송시열와 주자 · 예송와 주자 · 더보기 »

유계 집합

위의 집합은 유계집합이지만, 아래는 유계가 아닌 집합 수학에서, 유계 집합(有界集合)은 유한한 영역을 가지는 집합이.

송시열와 유계 집합 · 예송와 유계 집합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윤휴 · 예송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송시열와 윤선도 · 예송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송시열와 윤선거 · 예송와 윤선거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송시열와 영의정 · 영의정와 예송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송시열와 허목 · 예송와 허목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송시열와 허적 · 예송와 허적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성리학와 송시열 · 성리학와 예송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성균관와 송시열 · 성균관와 예송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서인와 송시열 · 서인와 예송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송시열와 송준길 · 송준길와 예송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송시열 · 송시열와 예송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소현세자와 송시열 · 소현세자와 예송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9년와 송시열 · 1659년와 예송 · 더보기 »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60년와 송시열 · 1660년와 예송 · 더보기 »

1666년

166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66년와 송시열 · 1666년와 예송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4년와 송시열 · 1674년와 예송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3월와 송시열 · 3월와 예송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송시열와 예송의 비교.

송시열에는 342 개의 관계가 있고 예송에는 57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4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0.03%입니다 = 40 / (342 + 57).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송시열와 예송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