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송시열와 허목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송시열와 허목의 차이

송시열 vs. 허목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송시열와 허목의 유사점

송시열와 허목는 공통적으로 15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명나라, 문묘, 문화방송, 민정중, 민유중, 갑술환국, 강화도, 경기도, 경국대전, 경연, 경신환국, 병자호란, 북벌론, 권대운, 권상하, 권시, 불교, 기로소, 기사환국, 김우명, 김자점, 김장생, 김익훈, 김집 (1574년), 김수흥, 김수항, 김석주, 국사편찬위원회, 남인, 노론, ..., 우의정, 승려, 장렬왕후,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임진왜란, 희빈 장씨, 이이, 이이첨, 이익, 이조, 이언적, 이황, 인조반정, 인선왕후, 음력 3월 12일, 의금부, 의정부, 전라남도, 정릉, 정묘호란, 정태화, 조경, 조광조,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현종, 조선 선조, 조선 세종, 조식 (1501년), 좌의정, 좌참찬, 종묘, 주자, 중국, 참의, 참판, 청나라, 추증, 판서, 유계 집합, 유교, 윤문거, 윤증, 윤휴, 윤선도, 윤선거, 윤원형, 영의정, 호남 지방, 호포, 예조, 예송, 허목, 허적, 사문난적, 사간원, 사헌부, 사사, 삼수, 성리학, 성균관, 성혼, 서인, 송익필, 송준길, 송시열, 소론, 소현세자, 함경남도, 한문, 한성부, 학문, 심지원, 원산시, SBS, 10월, 12월, 1628년, 1636년, 1637년, 1649년, 1650년, 1651년, 1653년, 1655년, 1656년, 1657년, 1658년, 1659년, 1660년, 1661년, 1662년, 1668년, 1671년, 1672년, 1674년, 1675년, 1677년, 1680년, 1688년, 1689년, 1694년, 1697년, 1863년, 1988년, 1995년, 1월, 1월 13일, 3월, 4월, 5월, 6월, 6월 3일,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0 더)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명나라와 송시열 · 명나라와 허목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문묘와 송시열 · 문묘와 허목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문화방송와 송시열 · 문화방송와 허목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민정중와 송시열 · 민정중와 허목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민유중와 송시열 · 민유중와 허목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갑술환국와 송시열 · 갑술환국와 허목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강화도와 송시열 · 강화도와 허목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송시열 · 경기도와 허목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경국대전와 송시열 · 경국대전와 허목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경연와 송시열 · 경연와 허목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경신환국와 송시열 · 경신환국와 허목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병자호란와 송시열 · 병자호란와 허목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북벌론와 송시열 · 북벌론와 허목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권대운와 송시열 · 권대운와 허목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권상하와 송시열 · 권상하와 허목 · 더보기 »

권시

시(權諰, 1604년~1672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유학자이.

권시와 송시열 · 권시와 허목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불교와 송시열 · 불교와 허목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기로소와 송시열 · 기로소와 허목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기사환국와 송시열 · 기사환국와 허목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김우명와 송시열 · 김우명와 허목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김자점와 송시열 · 김자점와 허목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김장생와 송시열 · 김장생와 허목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김익훈와 송시열 · 김익훈와 허목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집 (1574년)와 송시열 · 김집 (1574년)와 허목 · 더보기 »

김수흥

수흥(金壽興, 1626년-16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의정부우의정, 영의정을.

김수흥와 송시열 · 김수흥와 허목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김수항와 송시열 · 김수항와 허목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김석주와 송시열 · 김석주와 허목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국사편찬위원회와 송시열 · 국사편찬위원회와 허목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남인와 송시열 · 남인와 허목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노론와 송시열 · 노론와 허목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송시열와 우의정 · 우의정와 허목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송시열와 승려 · 승려와 허목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송시열와 장렬왕후 · 장렬왕후와 허목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송시열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장희빈 (1995년 드라마)와 허목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송시열와 임진왜란 · 임진왜란와 허목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송시열와 희빈 장씨 · 허목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이이 · 이이와 허목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송시열와 이이첨 · 이이첨와 허목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송시열와 이익 · 이익와 허목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송시열와 이조 · 이조와 허목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송시열와 이언적 · 이언적와 허목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송시열와 이황 · 이황와 허목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송시열와 인조반정 · 인조반정와 허목 · 더보기 »

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

송시열와 인선왕후 · 인선왕후와 허목 · 더보기 »

음력 3월 12일

음력 3월 12일은 음력 3월의 12번째 날이.

송시열와 음력 3월 12일 · 음력 3월 12일와 허목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송시열와 의금부 · 의금부와 허목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송시열와 의정부 · 의정부와 허목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송시열와 전라남도 · 전라남도와 허목 · 더보기 »

정릉

정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송시열와 정릉 · 정릉와 허목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송시열와 정묘호란 · 정묘호란와 허목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송시열와 정태화 · 정태화와 허목 · 더보기 »

조경

Central park, New Yorkhttp://landscape.links.bg/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造景, landscape architecture)은 인간에 의해 환경을 아름답고 가치있게 기획, 설계, 관리, 보존, 재생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

송시열와 조경 · 조경와 허목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송시열와 조광조 · 조광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송시열와 조선 · 조선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광해군 · 조선 광해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효종 · 조선 효종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인조 · 조선 인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송시열와 조선 정조 · 조선 정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송시열와 조선 태조 · 조선 태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태종 · 조선 태종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송시열와 조선 숙종 · 조선 숙종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송시열와 조선 현종 · 조선 현종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송시열와 조선 선조 · 조선 선조와 허목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송시열와 조선 세종 · 조선 세종와 허목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송시열와 조식 (1501년) · 조식 (1501년)와 허목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송시열와 좌의정 · 좌의정와 허목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송시열와 좌참찬 · 좌참찬와 허목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송시열와 종묘 · 종묘와 허목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송시열와 주자 · 주자와 허목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송시열와 중국 · 중국와 허목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송시열와 참의 · 참의와 허목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송시열와 참판 · 참판와 허목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송시열와 청나라 · 청나라와 허목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송시열와 추증 · 추증와 허목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송시열와 판서 · 판서와 허목 · 더보기 »

유계 집합

위의 집합은 유계집합이지만, 아래는 유계가 아닌 집합 수학에서, 유계 집합(有界集合)은 유한한 영역을 가지는 집합이.

송시열와 유계 집합 · 유계 집합와 허목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송시열와 유교 · 유교와 허목 · 더보기 »

윤문거

윤문거(尹文擧, 1606년 ~ 1672년)는 조선의 학자이.

송시열와 윤문거 · 윤문거와 허목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송시열와 윤증 · 윤증와 허목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윤휴 · 윤휴와 허목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송시열와 윤선도 · 윤선도와 허목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송시열와 윤선거 · 윤선거와 허목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송시열와 윤원형 · 윤원형와 허목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송시열와 영의정 · 영의정와 허목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송시열와 호남 지방 · 허목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호포

호포(戶布)는 호(戶)를 단위로 면포(綿布)나 저포(紵布)를 징수하던 세제(稅制)이.

송시열와 호포 · 허목와 호포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송시열와 예조 · 예조와 허목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송시열와 예송 · 예송와 허목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송시열와 허목 · 허목와 허목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송시열와 허적 · 허목와 허적 · 더보기 »

사문난적

사문난적(斯文亂賊)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리학 또는 유교 이념에 반대하는 사람 또는 사상을 비난, 공격하는 용어였.

사문난적와 송시열 · 사문난적와 허목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사간원와 송시열 · 사간원와 허목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사헌부와 송시열 · 사헌부와 허목 · 더보기 »

사사

사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사사와 송시열 · 사사와 허목 · 더보기 »

삼수

삼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삼수와 송시열 · 삼수와 허목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성리학와 송시열 · 성리학와 허목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성균관와 송시열 · 성균관와 허목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성혼와 송시열 · 성혼와 허목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서인와 송시열 · 서인와 허목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송시열와 송익필 · 송익필와 허목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송시열와 송준길 · 송준길와 허목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송시열와 송시열 · 송시열와 허목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소론와 송시열 · 소론와 허목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소현세자와 송시열 · 소현세자와 허목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송시열와 함경남도 · 함경남도와 허목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송시열와 한문 · 한문와 허목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송시열와 한성부 · 한성부와 허목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송시열와 학문 · 학문와 허목 · 더보기 »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송시열와 심지원 · 심지원와 허목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송시열와 원산시 · 원산시와 허목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SBS와 송시열 · SBS와 허목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10월와 송시열 · 10월와 허목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12월와 송시열 · 12월와 허목 · 더보기 »

1628년

162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28년와 송시열 · 1628년와 허목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36년와 송시열 · 1636년와 허목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37년와 송시열 · 1637년와 허목 · 더보기 »

1649년

164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49년와 송시열 · 1649년와 허목 · 더보기 »

1650년

165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0년와 송시열 · 1650년와 허목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1년와 송시열 · 1651년와 허목 · 더보기 »

1653년

165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3년와 송시열 · 1653년와 허목 · 더보기 »

1655년

165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5년와 송시열 · 1655년와 허목 · 더보기 »

1656년

165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56년와 송시열 · 1656년와 허목 · 더보기 »

1657년

165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7년와 송시열 · 1657년와 허목 · 더보기 »

1658년

165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8년와 송시열 · 1658년와 허목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59년와 송시열 · 1659년와 허목 · 더보기 »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60년와 송시열 · 1660년와 허목 · 더보기 »

1661년

166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61년와 송시열 · 1661년와 허목 · 더보기 »

1662년

166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62년와 송시열 · 1662년와 허목 · 더보기 »

1668년

166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68년와 송시열 · 1668년와 허목 · 더보기 »

1671년

167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1년와 송시열 · 1671년와 허목 · 더보기 »

1672년

167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72년와 송시열 · 1672년와 허목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4년와 송시열 · 1674년와 허목 · 더보기 »

1675년

167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5년와 송시열 · 1675년와 허목 · 더보기 »

1677년

167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77년와 송시열 · 1677년와 허목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80년와 송시열 · 1680년와 허목 · 더보기 »

1688년

168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88년와 송시열 · 1688년와 허목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89년와 송시열 · 1689년와 허목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94년와 송시열 · 1694년와 허목 · 더보기 »

1697년

169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97년와 송시열 · 1697년와 허목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63년와 송시열 · 1863년와 허목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8년와 송시열 · 1988년와 허목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5년와 송시열 · 1995년와 허목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1월와 송시열 · 1월와 허목 · 더보기 »

1월 13일

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번째(윤년일 경우도 13번째) 날에 해당.

1월 13일와 송시열 · 1월 13일와 허목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3월와 송시열 · 3월와 허목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4월와 송시열 · 4월와 허목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5월와 송시열 · 5월와 허목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6월와 송시열 · 6월와 허목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6월 3일와 송시열 · 6월 3일와 허목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송시열 · 8월와 허목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송시열와 허목의 비교.

송시열에는 342 개의 관계가 있고 허목에는 415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5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9.82%입니다 = 150 / (342 + 415).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송시열와 허목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