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의 유사점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는 공통적으로 1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말나식, 마음 (불교), 무아, 법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ㅈ, 이십살가야견, 집착, 유식설, 색 (불교), 사번뇌.
말나식
말나식(末那識, 의 意, manas-vijñāna 의식 意識)은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대승불교에서 마음을 이루고 있다고 보는 8식(八識: 8가지의 식) 가운데 하나로 제7식(第七識), 제7말나식(第七末那識) 또는 말나(末那).
말나식와 아뢰야식 · 말나식와 이십살가야견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아뢰야식 · 마음 (불교)와 이십살가야견 ·
무아
무아(無我)는 산스크리트어 아나트만(anātman, anatman) 혹은 니르아트만(nir-ātman)의 번역어로 비아(非我).
무아와 아뢰야식 · 무아와 이십살가야견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법 (불교)와 아뢰야식 · 법 (불교)와 이십살가야견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불교 용어 목록/ㅈ와 아뢰야식 · 불교 용어 목록/ㅈ와 이십살가야견 ·
이십살가야견
20살가야견(二十薩迦耶見) 또는 20종살가야견(二十種薩迦耶見)은 살가야견 즉 유신견(有身見)을 5온 또는 5취온에 근거하여 세분하였을 때의 5가지 아견(我見)과 15가지 아소견(我所見)을 통칭하는 낱말이.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 · 이십살가야견와 이십살가야견 ·
집착
집착(執着)은 어떤 것에 대해 계속해서 얽매여, 계속해서 마음이 쓰이는 것을 말. 분류:번뇌.
아뢰야식와 집착 · 이십살가야견와 집착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아뢰야식와 유식설 · 유식설와 이십살가야견 ·
색 (불교)
색(色)은 산스크리트어 루파(रुपा, Rūpa)의 역어이.
색 (불교)와 아뢰야식 · 색 (불교)와 이십살가야견 ·
사번뇌
4번뇌(四煩惱) 또는 네 가지 번뇌는 대승불교의 유식학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염오식(染汚識)으로서의 제7말나식(第七末那識), 즉 아직 전의(轉依)을 이루지 못한 상태 즉 아직 정화(淨化)되지 못한 상태의 제7말나식이 항상 상응하는 아치(我癡)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4가지 근본번뇌를 말. 4근본번뇌(四根本煩惱)4종번뇌(四種煩惱) 또는 4혹(四惑)이.
사번뇌와 아뢰야식 · 사번뇌와 이십살가야견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의 유사점은 무엇입니까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의 비교.
아뢰야식에는 168 개의 관계가 있고 이십살가야견에는 20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5.32%입니다 = 10 / (168 + 20).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아뢰야식와 이십살가야견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