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윤보선와 윤치영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윤보선와 윤치영의 차이

윤보선 vs. 윤치영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윤보선와 윤치영의 유사점

윤보선와 윤치영는 공통적으로 35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쿄, 독립운동, 동아일보, 문화방송, 미국, 민의원,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주의, 민영환, 백관수, 개신교, 박정희, 박정희 정부, 강준만, 박헌영, 박사, 강원도, 강원용, 건국준비위원회, 건국훈장, 베트남, 경기도, 경기도지사, 경교장, 경희대학교, 경찰, 법학, ..., 고려대학교, 곽상훈, 공산당, 공산주의, 부산 정치 파동, 부산광역시, 부통령, 기독교, 김도연 (정치인), 김병로, 김규식, 김구, 김두한, 김종필, 김준연, 김영삼, 김성수, 김성수 (1891년),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대통령,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국민당 (1948년), 대한제국, 국민, 국민대회준비위원회, 국민장, 국가재건최고회의, 군인, 남북협상, 남궁억, 효창공원, 회장, 자유당 (대한민국), 장덕수, 장도영, 장면, 장관, 장제스, 장택상,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임영신, 임시 정부, 이갑성, 이범석 (1900년), 이병도, 이기붕, 이승만, 이인, 이준용 (1870년), 이윤영 (1890년), 이상재, 이화장, 인문 계열, 일본, 일본 제국, 일본군, 일본인,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제 강점기, 의원내각제, 제1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 (드라마), 전두환, 정일형, 조병옥, 조봉암,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선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총독부, 종로구, 주요한, 중국, 중앙고등학교, 중화민국, 참의, 창씨개명, 청와대, 총리, 충청남도, 추증, 친일반민족행위자,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유진오, 유진산, 유억겸, 육군, 윤근수, 윤두수, 윤득실, 윤인구, 윤일선, 윤흔, 윤취동, 윤취지, 윤치창, 윤치오, 윤치호, 윤치소, 윤치왕, 윤영렬, 윤영선 (1896년), 윤세겸, 윤시선, 윤원선, 윤웅렬, 상하이 시, 태평양 전쟁, 태음력, 영어, 오화영, 호헌동지회, 현진건, 최기일, 양력, 여운형, 여수·순천 사건, 역사학, 헌법, 허정, 사회주의, 삼청동, 삼청장, 삼사, 프랑스, 프란체스카 도너, 석사, 서울대학교,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역, 서재필, 손정도, 손원일, 송진우 (1890년), 함경남도, 함태영, 해평 윤씨, 한국, 한국 광복군, 한국 전쟁, 한국민주당, 한국인, 한진창, 한성부판윤, 안국동 윤보선가, 아돌프 히틀러, 아산군, 아산시, 학사, 신민당 (1967년), 신익희, 신성모, 워싱턴 D.C., 후보, 외무부, 10월 12일, 10월 14일, 10월 16일, 10월 17일, 10월 26일, 10월 27일, 10월 29일, 10월 9일, 10월 유신, 11월 24일, 11월 26일, 11월 4일, 12월 17일, 12월 23일, 12월 27일, 12월 30일, 12월 9일, 1851년, 1854년, 1863년, 1864년, 1871년, 1872년, 1880년, 1894년, 1897년, 1898년, 1900년, 1901년, 1909년, 1911년, 1912년, 1913년, 1915년,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1951년, 1952년, 1954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1975년, 1976년,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6년, 1월 17일, 1월 26일, 1월 4일, 2006년, 2·8 독립 선언, 2월 13일, 2월 15일, 2월 18일, 2월 19일, 2월 20일, 2월 4일, 2월 7일, 3월 12일, 3월 30일, 3월 5일, 4.19 혁명, 4월 12일, 4월 15일, 4월 21일, 4월 25일, 4월 5일, 4월 7일, 5·16 군사 정변, 5월 10일, 5월 11일, 5월 16일, 5월 23일, 5월 27일, 5월 30일, 5월 31일, 5월 5일, 5월 7일, 6월 15일, 6월 5일, 7월 18일, 7월 22일, 7월 26일, 7월 4일, 8월, 8월 15일, 8월 21일, 8월 25일, 8월 26일, 8월 9일, 9월 16일, 9월 25일, 9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24 더)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도쿄와 윤보선 · 도쿄와 윤치영 · 더보기 »

독립운동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영역이, 그 지배를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성립하는 것을 의미.

독립운동와 윤보선 · 독립운동와 윤치영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동아일보와 윤보선 · 동아일보와 윤치영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문화방송와 윤보선 · 문화방송와 윤치영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미국와 윤보선 · 미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의원

민의원(民議院)은 대한민국의 제2공화국에서 설치되었던 국회의 하원(下院)으로, 정원은 233명이었.

민의원와 윤보선 · 민의원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주공화당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이라는 당명을 가진 정당들은 다음과 같.

민주공화당와 윤보선 · 민주공화당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권위주의, 협동조합주의 정당으로, 1963년 2월 26일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한 군부 세력이 구 자유당 세력과 대한국민당 세력, 기타 정구영 등 학계와 시민사회단체 일부를 흡수하여 창당하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와 윤보선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Democratic National Party)은 1949년 2월 10일에 조직된 정당이.

민주국민당 (1949년)와 윤보선 · 민주국민당 (194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55년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사건을 계기로, 민주국민당의 보수파와 자유당의 탈당파, 흥사단등의 반이승만 세력이 모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 되었.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와 윤보선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주주의

민주주의(民主主義)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이.

민주주의와 윤보선 · 민주주의와 윤치영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민영환와 윤보선 · 민영환와 윤치영 · 더보기 »

백관수

백관수(白寬洙, 1889년 1월 28일 고창 ~ 1951년 10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

백관수와 윤보선 · 백관수와 윤치영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개신교와 윤보선 · 개신교와 윤치영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박정희와 윤보선 · 박정희와 윤치영 · 더보기 »

박정희 정부

박정희 정부는 1961년 박정희가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후 1979년 10·26 사건으로 사망할 때까지의 정부를 말. 박정희는 1962년 3월 24일부터 1963년 12월 16일까지 윤보선 대통령의 사퇴로 제2공화국의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으며, 제5대 대통령 선거를 통해 1963년 12월 17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

박정희 정부와 윤보선 · 박정희 정부와 윤치영 · 더보기 »

강준만

강준만(康俊晩, 1956년 1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사회과학자·언론인이자 대학교수이.

강준만와 윤보선 · 강준만와 윤치영 · 더보기 »

박헌영

박헌영(朴憲永, 1900년 5월 28일? 충청남도 예산 ~ 1956년 12월 5일?)은 조선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언론인, 노동운동.

박헌영와 윤보선 · 박헌영와 윤치영 · 더보기 »

박사

박사(博士, Doctor)는 대학교나 학술전문연구기관에서 가장 높은 학위를 소지한자 또는 특정 분야(이를테면 철학박사)의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이.

박사와 윤보선 · 박사와 윤치영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강원도와 윤보선 · 강원도와 윤치영 · 더보기 »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강원용와 윤보선 · 강원용와 윤치영 · 더보기 »

건국준비위원회

국준비위원회의 깃발 건국준비위원회(建國準備委員會)는 1945년 8월 15일부터 9월 7일까지 한국의 군정기에 여운형, 안재홍 등을 주축으로 일본으로부터 행정권(총독부에 5개 항을 요구하며, 치안권 요구)을 인수받기 위하여 만든 조직이.

건국준비위원회와 윤보선 · 건국준비위원회와 윤치영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건국훈장와 윤보선 · 건국훈장와 윤치영 · 더보기 »

베트남

당시 베트남 전쟁 이전의 베트남 공산당 마크 베트남 전쟁 전에 베트남 내부의 공산당 마크이다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이.

베트남와 윤보선 · 베트남와 윤치영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윤보선 · 경기도와 윤치영 · 더보기 »

경기도지사

경기도지사(京畿道知事)는 경기도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경기도지사와 윤보선 · 경기도지사와 윤치영 · 더보기 »

경교장

경교장(京橋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평동)에 위치하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일본식 주택이.

경교장와 윤보선 · 경교장와 윤치영 · 더보기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Kyung Hee University)는 1911년에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이.

경희대학교와 윤보선 · 경희대학교와 윤치영 · 더보기 »

경찰

독일 함부르크의 경찰관 일본의 경찰관 경찰(警察)은 사회의 일반적인 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행정 활동, 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국가 기관을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찰은 공무원에 속. 따라서 경찰은 국가 행정기관을 뜻하는 말로도 흔하게 쓰이며, 이를 위한 행정 활동은 공권력이라고 표현.

경찰와 윤보선 · 경찰와 윤치영 · 더보기 »

법학

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법학와 윤보선 · 법학와 윤치영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고려대학교와 윤보선 · 고려대학교와 윤치영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곽상훈와 윤보선 · 곽상훈와 윤치영 · 더보기 »

공산당

공산당()은 공산주의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유럽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하는 정당이.

공산당와 윤보선 · 공산당와 윤치영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공산주의와 윤보선 · 공산주의와 윤치영 · 더보기 »

부산 정치 파동

부산 정치 파동(釜山政治波動,1952년 5월 26일)은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재선을 확실히 하고, 독재정권 기반을 굳히기 위해 한국 전쟁 중에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폭력을 동원하여 강제로 국회의원을 연행하고 구속한, 일련의 정치적 파행이.

부산 정치 파동와 윤보선 · 부산 정치 파동와 윤치영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부산광역시와 윤보선 · 부산광역시와 윤치영 · 더보기 »

부통령

부통령(副統領, (副大統領))은 대통령제를 실시하는 국가 중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는 직위이.

부통령와 윤보선 · 부통령와 윤치영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기독교와 윤보선 · 기독교와 윤치영 · 더보기 »

김도연 (정치인)

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김도연 (정치인)와 윤보선 · 김도연 (정치인)와 윤치영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김병로와 윤보선 · 김병로와 윤치영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김규식와 윤보선 · 김규식와 윤치영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김구와 윤보선 · 김구와 윤치영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김두한와 윤보선 · 김두한와 윤치영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종필와 윤보선 · 김종필와 윤치영 · 더보기 »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김준연와 윤보선 · 김준연와 윤치영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윤보선 · 김영삼와 윤치영 · 더보기 »

김성수

성수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은 다음과 같.

김성수와 윤보선 · 김성수와 윤치영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성수 (1891년)와 윤보선 · 김성수 (189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대구광역시와 윤보선 · 대구광역시와 윤치영 · 더보기 »

대전광역시

전광역시(大田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있는 광역시이.

대전광역시와 윤보선 · 대전광역시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대통령와 윤보선 · 대통령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통령 선거

통령 선거(大統領選擧)는 공식 직함이 대통령인 국가원수를 선출하는 선거이.

대통령 선거와 윤보선 · 대통령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대한민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방부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

국가원로자문회의(國家元老諮問會議) 또는 국정자문회의(國政諮問會議)는 국정의 중요한 사항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대통령의 직속기관으로 설치되는 행정기관이.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가원로자문회의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대한민국 국회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회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내무부

무부(內務部, Ministry of Home Affairs)는 지방 행정·지방 재정·지역 경제·지방세·선거·지방 자치 단체의 감독·민방위·재난 관리 및 소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

대한민국 내무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내무부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민국 임시 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와 윤보선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1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1공화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대한민국 제2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2공화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공화국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의한 군정 아래에서 1962년 12월 17일에 실시된 국민 투표로 공포, 시행된 헌법에 따라 설립한 대한민국의 세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3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3공화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3대 총선(大韓民國第三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3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4년 5월 20일에 치러졌.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공화국

제4공화국(第四共和國)은 1972년 10월 유신으로 수립된 대한민국의 네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4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4공화국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는 1960년 8월 12일에 국회에서 민의원과 참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치러졌.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4대 총선(大韓民國第四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4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58년 5월 2일에 치러졌.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5대 총선(大韓民國第五代總選)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에 따라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이.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6대 총선(大韓民國第六代總選)은 4년 임기의 제6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63년 11월 26일에 치러졌.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

제헌 국회 총선 투표 광경 대한민국의 제1대 국회인 대한민국 제헌 국회(大韓民國 制憲國會)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한 국회를 뜻하며 1948년 5월 31일 구성되고 1950년 5월 30일까지 활동한 국회를 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한 국회이.

대한민국 제헌 국회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헌 국회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1920년 3월1일 미국 워싱턴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구미외교위원회)는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 D.C.에 설치한 미국,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외교행정업무를 주관하는 부서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대한민국의 대통령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대통령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국회의장(國會議長, Speaker of National Assembly)은 대한민국 입법부의 장이.

대한민국의 국회의장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원으로, 국회의 구성원이.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국민당 (1948년)

국민당은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1948년 11월 13일 신익희, 윤치영 등에 의해 친이승만계 정당으로 창당되었.

대한국민당 (1948년)와 윤보선 · 대한국민당 (194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와 윤보선 · 대한제국와 윤치영 · 더보기 »

국민

국민(國民, 네이션), 또는 국민체는 국가의 인적 요소 내지 항구적 소속원으로서 가지는 권력을 위임함으로써 발생하는 국가의 통치권에 복종할 의무를 가진 개개인의 전체집합을 의미.

국민와 윤보선 · 국민와 윤치영 · 더보기 »

국민대회준비위원회

국민대회준비위원회는 1945년 9월 7일, 송진우가 건국준비위원회에 대항하여 '임시정부 봉대'(임정봉대론)를 주장하며 설치한 기관이.

국민대회준비위원회와 윤보선 · 국민대회준비위원회와 윤치영 · 더보기 »

국민장

국민장 중 노무현 대통령 대한문 추도 국민장(國民葬)은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제정 법률 제1884호 1967년 1월 16일)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주관하는 장례 의전 가운데 하나였.

국민장와 윤보선 · 국민장와 윤치영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윤보선 ·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윤치영 · 더보기 »

군인

인(軍人)은 군대의 구성원으로, 전투에 필요한 장비와 기본 기술을 갖추어 전쟁 또는 유사시에 대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전환복무 중인 병을 제외한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및 병을 말.

군인와 윤보선 · 군인와 윤치영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남북협상와 윤보선 · 남북협상와 윤치영 · 더보기 »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남궁억와 윤보선 · 남궁억와 윤치영 · 더보기 »

효창공원

효창 공원(孝昌公園)은 원래 5살 어린 나이에 죽은 정조의 첫째 아들 문효세자와 몇달 후 죽은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의 무덤으로 효창원(孝昌園)이었으나, 두 무덤은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 당하고, 이름도 효창공원이 되었.

윤보선와 효창공원 · 윤치영와 효창공원 · 더보기 »

회장

회장(會長; chairman)은 주식회사 등에서 이사회의 의장이.

윤보선와 회장 · 윤치영와 회장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윤보선와 자유당 (대한민국) · 윤치영와 자유당 (대한민국)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윤보선와 장덕수 · 윤치영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윤보선와 장도영 · 윤치영와 장도영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윤보선와 장면 · 윤치영와 장면 · 더보기 »

장관

각료(閣僚, Minister)란 국가정부 또는 지방정부에서 특별한 공직을 맡음으로써 다른 각료들과 협력하여 정책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자를 말. 각료 사이에도 서열의 우열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대개 정부 내각에 입각.

윤보선와 장관 · 윤치영와 장관 · 더보기 »

장제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국부천대 사태 이후 1950년대 후반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 창카이섹() 또는 장중정(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재임: 1925년 3월 18일 ~ 1975년 4월 5일)이었.

윤보선와 장제스 · 윤치영와 장제스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윤보선와 장택상 · 윤치영와 장택상 · 더보기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은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독립한 한반도 남부를 미군 제24군단이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다스리던 기간이었.

윤보선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윤치영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더보기 »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윤보선와 임영신 · 윤치영와 임영신 · 더보기 »

임시 정부

임시 정부(臨時政府)는 종전의 정부가 무너진 후, 무정부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임시로 구성된 정부를 말. 다른 나라의 침략 등으로 해외에 세워진 망명 정부를 임시 정부라고 칭.

윤보선와 임시 정부 · 윤치영와 임시 정부 · 더보기 »

이갑성

이갑성(李甲成, 일본식 이름: 이와모토 마사이치(岩本正一), 1889년 10월 23일 ~ 1981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 사회운동가이.

윤보선와 이갑성 · 윤치영와 이갑성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윤보선와 이범석 (1900년) · 윤치영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윤보선와 이병도 · 윤치영와 이병도 · 더보기 »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윤보선와 이기붕 · 윤치영와 이기붕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윤보선와 이승만 · 윤치영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윤보선와 이인 · 윤치영와 이인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윤보선와 이준용 (1870년) · 윤치영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윤영 (1890년)

이윤영(李允榮,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고, 대한민국의 목회자, 정치가이.

윤보선와 이윤영 (1890년) · 윤치영와 이윤영 (1890년) · 더보기 »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윤보선와 이상재 · 윤치영와 이상재 · 더보기 »

이화장

이화장(梨花莊)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거주하던 곳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뒤쪽 낙산 기슭에 있. 동쪽으로 창신동, 남쪽으로 충신동, 서쪽으로 연건동, 북쪽으로는 동숭동에 둘러싸인 마름모꼴의 지형을 이룬 언덕진 곳에 위치하고 있. 이 가옥은 본채, 별채인 조각당, 그리고 여러 부속건물들로 구성되어 있. 본채는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내외가 살던 곳이고, 조각당은 1948년 7월 20일 대통령에 당선된 이승만이 이곳에 조각 본부를 두고 초대 내각을 구상한 곳이.

윤보선와 이화장 · 윤치영와 이화장 · 더보기 »

인문 계열

인문 계열은 인문과학, 사회과학을 필두로 하여 인간 사회의 문화와 사회 질서 및 역사와 그 문화에 따른 언어학(영어, 한글)을 탐구 및 연구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윤보선와 인문 계열 · 윤치영와 인문 계열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윤보선와 일본 · 윤치영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윤보선와 일본 제국 · 윤치영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윤보선와 일본군 · 윤치영와 일본군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윤보선와 일본인 · 윤치영와 일본인 · 더보기 »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본 제국의 국기 현대 일본국의 국기 일본의 민족주의()는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 및 전체주의 사상과 현대 일본에서 국수주의적인 민족주의를 모. 여기에 대해, 일본 내에서는 일본의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분리되어야한다고 주장.

윤보선와 일본의 내셔널리즘 · 윤치영와 일본의 내셔널리즘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윤보선와 일제 강점기 · 윤치영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의원내각제

의원내각제(議院內閣制)란 행정부의 성립과 존속이 의회(입법부)의 신임에 근거하는 정부 형태를 말. 원어(Parliamentary system)의 의미 및 의회가 정부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의회정부제(議會政府制)라고 부르기도 하고, 내각(정부)이 국정에 관하여 의회에 책임을 진다는 점(내각불신임권의 존재)에 주목하여 내각책임제 또는 책임정부(responsible government)라고 부르.

윤보선와 의원내각제 · 윤치영와 의원내각제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1공화국 (드라마) · 윤치영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2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은 MBC가 제2공화국을 배경으로 1960년 4·19 혁명에서부터, 1961년 5·16 군사정변, 그리고 군정과 제3공화국의 성립까지를 그린 정치 드라마로 1989년 7월 16일부터 1990년 4월 2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에 방영되었으며, 총 41부작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2공화국 (드라마) · 윤치영와 제2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3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3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박정희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1961년 5·16 군사정변과 군정, 그리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이 선포되는 것까지 다룬 드라마로 매주 일요일에 방영되었으며, 1993년 2월에서부터 8월까지 방영된 총 26부작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3공화국 (드라마) · 윤치영와 제3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윤보선와 전두환 · 윤치영와 전두환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윤보선와 정일형 · 윤치영와 정일형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윤보선와 조병옥 · 윤치영와 조병옥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조봉암 · 윤치영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윤보선와 조선 · 윤치영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윤보선와 조선 광해군 · 윤치영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윤보선와 조선 선조 · 윤치영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윤보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윤치영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윤보선와 조선총독부 · 윤치영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윤보선와 종로구 · 윤치영와 종로구 · 더보기 »

주요한

주요한(朱曜翰, 일본식 이름: 松村紘一(마쓰무라 고이치), 1900년 12월 5일 ~ 1979년 1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회운동가·시인·언론인, 개신교 목사이며 극작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주요한 · 윤치영와 주요한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윤보선와 중국 · 윤치영와 중국 · 더보기 »

중앙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中央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에 있는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

윤보선와 중앙고등학교 · 윤치영와 중앙고등학교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윤보선와 중화민국 · 윤치영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윤보선와 참의 · 윤치영와 참의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윤보선와 창씨개명 · 윤치영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윤보선와 청와대 · 윤치영와 청와대 · 더보기 »

총리

총리(總理)는 한자 문화권에서 '전체를 모두 관리한다'는 의미를.

윤보선와 총리 · 윤치영와 총리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윤보선와 충청남도 · 윤치영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윤보선와 추증 · 윤치영와 추증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윤보선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윤치영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코리아게이트》(Koreagate)는 1995년 10월 21일부터 12월 23일까지 방영된 전 SBS 창사 5주년 기념 특별기획 드라마로 토요일 오후 8시 50분부터 2회 연속 방송.

윤보선와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 윤치영와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 더보기 »

유진오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법학자, 교육자, 정치가이.

유진오와 윤보선 · 유진오와 윤치영 · 더보기 »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유진산와 윤보선 · 유진산와 윤치영 · 더보기 »

유억겸

유억겸 (1947년) 유억겸(兪億兼, 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법조인, 교육인이.

유억겸와 윤보선 · 유억겸와 윤치영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육군와 윤보선 · 육군와 윤치영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윤근수와 윤보선 · 윤근수와 윤치영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윤두수와 윤보선 · 윤두수와 윤치영 · 더보기 »

윤득실

윤득실(尹得實, 1768년 - 1823년 9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였.

윤득실와 윤보선 · 윤득실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인구

윤인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윤보선와 윤인구 · 윤인구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윤보선와 윤일선 · 윤일선와 윤치영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윤보선와 윤흔 · 윤치영와 윤흔 · 더보기 »

윤취동

윤취동(尹取東, 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효자, 문신으로 윤두수의 7대손이며 증조는 돈령부사 윤세겸(尹世謙)이고 조부는 낭청을 지내고 증 호조참의와 증 비서원승에 추증된 윤발(尹潑)이.

윤보선와 윤취동 · 윤취동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윤보선와 윤취지 · 윤취지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윤보선와 윤치창 · 윤치영와 윤치창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보선와 윤치오 · 윤치영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윤보선와 윤치호 · 윤치영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윤보선와 윤치소 · 윤치소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윤보선와 윤치왕 · 윤치영와 윤치왕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윤보선와 윤영렬 · 윤영렬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윤영선 (1896년) · 윤영선 (189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윤보선와 윤세겸 · 윤세겸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시선

윤시선(尹時善, 1898년 5월 30일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

윤보선와 윤시선 · 윤시선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윤보선와 윤원선 · 윤원선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윤보선와 윤웅렬 · 윤웅렬와 윤치영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상하이 시와 윤보선 · 상하이 시와 윤치영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윤보선와 태평양 전쟁 · 윤치영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윤보선와 태음력 · 윤치영와 태음력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영어와 윤보선 · 영어와 윤치영 · 더보기 »

오화영

오화영(吳華英, 1880년 4월 5일 ~ 1960년 9월 2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오화영와 윤보선 · 오화영와 윤치영 · 더보기 »

호헌동지회

호헌동지회(護憲同志會)는 제1공화국 시기 1954년 11월 30일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노리고 위헌적으로 강행한 사사오입 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결집된 범야당 연합을 말. 주로 민국당, 자유당 탈퇴파, 무소속 동지회 등 60명의 정치인들이 결집.

윤보선와 호헌동지회 · 윤치영와 호헌동지회 · 더보기 »

현진건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朝鮮)의 작가, 소설가 겸 언론인, 독립운동가이.

윤보선와 현진건 · 윤치영와 현진건 · 더보기 »

최기일

일(崔基一, 1922년 ~)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인, 언론인이며 미국의 대학교수이.

윤보선와 최기일 · 윤치영와 최기일 · 더보기 »

양력

착륙하는 보잉 747 양력(揚力, lift)은 물체의 주위에 유체가 흐를 때 물체의 표면에서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발행하는 역학적 힘이.

양력와 윤보선 · 양력와 윤치영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여운형와 윤보선 · 여운형와 윤치영 · 더보기 »

여수·순천 사건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또는 여순 사건(麗順事件)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당시 전라남도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의 군인 2,000여 명이 중위 김지회, 상사 지창수 등 남로당 계열 군인을 중심으로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 이 사건으로 반란군에 의해 경찰 74명을 포함해 약 150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했고, 정부측 진압 군경에 의해 2,500여 명의 민간인이 살해당.

여수·순천 사건와 윤보선 · 여수·순천 사건와 윤치영 · 더보기 »

역사학

역사학(歷史學) 또는 사학(史學)은 선사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간 활동에 관한 제반(諸般) 조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과거의 사료를 평가,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역사적 진실 규명을 추구하는 학문이.

역사학와 윤보선 · 역사학와 윤치영 · 더보기 »

헌법

함무라비 법전이 새겨진 돌기둥 헌법(憲法)은 국가의 기본 법칙으로서, 국민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고 국가의 정치 조직 구성과 정치 작용 원칙을 세우며 시민과 국가의 관계를 규정하거나 형성하는 최고의 규범이.

윤보선와 헌법 · 윤치영와 헌법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윤보선와 허정 · 윤치영와 허정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사회주의와 윤보선 · 사회주의와 윤치영 · 더보기 »

삼청동

삼청동(三淸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삼청동와 윤보선 · 삼청동와 윤치영 · 더보기 »

삼청장

삼청장에서 망중한을 보내는 김규식 (1946년) 삼청장(三淸莊)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부주석 김규식의 개인 사저였.

삼청장와 윤보선 · 삼청장와 윤치영 · 더보기 »

삼사

삼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삼사와 윤보선 · 삼사와 윤치영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윤보선와 프랑스 · 윤치영와 프랑스 · 더보기 »

프란체스카 도너

스카 도너(1900년 6월 15일 ~ 1992년 3월 19일)는 대한민국의 제1, 2, 3대 대통령 이승만의 두 번째 아내로, 한번 결혼했으나 이혼했고, 1931년 빈 회의에 참석차 오스트리아를 방문한 이승만과 만났다가 그와 재혼하였.

윤보선와 프란체스카 도너 · 윤치영와 프란체스카 도너 · 더보기 »

석사

석사(碩士)는 대학원에서 학업 및 연구를 어느 정도 성취한 자를 인정하는 하나의 학위이.

석사와 윤보선 · 석사와 윤치영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서울대학교와 윤보선 · 서울대학교와 윤치영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서울특별시와 윤보선 · 서울특별시와 윤치영 · 더보기 »

서울특별시장

서울특별시장(首爾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서울특별시장와 윤보선 · 서울특별시장와 윤치영 · 더보기 »

서울역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있는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철도역이.

서울역와 윤보선 · 서울역와 윤치영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서재필와 윤보선 · 서재필와 윤치영 · 더보기 »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손정도와 윤보선 · 손정도와 윤치영 · 더보기 »

손원일

손원일(孫元一, 1909년 음력 5월 5일 ~ 1980년 2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가, 외교관, 관료이.

손원일와 윤보선 · 손원일와 윤치영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송진우 (1890년)와 윤보선 · 송진우 (189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윤보선와 함경남도 · 윤치영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함태영 · 윤치영와 함태영 · 더보기 »

해평 윤씨

평 윤씨(海平 尹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윤보선와 해평 윤씨 · 윤치영와 해평 윤씨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윤보선와 한국 · 윤치영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광복군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

윤보선와 한국 광복군 · 윤치영와 한국 광복군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윤보선와 한국 전쟁 · 윤치영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윤보선와 한국민주당 · 윤치영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윤보선와 한국인 · 윤치영와 한국인 · 더보기 »

한진창

창(韓鎭昌, 1858년 1월 26일 ~ 1935년 2월 2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가회동이.

윤보선와 한진창 · 윤치영와 한진창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윤보선와 한성부판윤 · 윤치영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

안국동 윤보선가와 윤보선 · 안국동 윤보선가와 윤치영 · 더보기 »

아돌프 히틀러

아돌프 히틀러(1889년 4월 20일 ~ 1945년 4월 30일)는 독일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지도자이자 정치인이.

아돌프 히틀러와 윤보선 · 아돌프 히틀러와 윤치영 · 더보기 »

아산군

아산군(牙山郡)은 원래 아산시 북부의 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

아산군와 윤보선 · 아산군와 윤치영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아산시와 윤보선 · 아산시와 윤치영 · 더보기 »

학사

학사(學士, Bachelor's degree)는 대학 졸업자에게 주는 학위이.

윤보선와 학사 · 윤치영와 학사 · 더보기 »

신민당 (1967년)

신민당(新民黨)은 1967년 창당, 1980년 헌법 9호 부칙에 의해 해산되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신민당 (1967년)와 윤보선 · 신민당 (196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신익희와 윤보선 · 신익희와 윤치영 · 더보기 »

신성모

신성모(申性模, 1891년 10월 20일 ~ 1960년 5월 2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신성모와 윤보선 · 신성모와 윤치영 · 더보기 »

워싱턴 D.C.

워싱턴 D.C.((District of Columbia))는 미국의 수도이.

워싱턴 D.C.와 윤보선 · 워싱턴 D.C.와 윤치영 · 더보기 »

후보

후보(候補)는 선거에서 직위나 신분을 얻으려고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나서거나 또 그런 사람을 의미.

윤보선와 후보 · 윤치영와 후보 · 더보기 »

외무부

외무부(外務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또는 외교부(外交部)는 외교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외무부와 윤보선 · 외무부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10월 12일와 윤보선 · 10월 12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14일

10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7번째(윤년일 경우 288번째) 날에 해당.

10월 14일와 윤보선 · 10월 1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16일

10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9번째(윤년일 경우 290번째) 날에 해당.

10월 16일와 윤보선 · 10월 1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17일

10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0번째(윤년일 경우 291번째) 날에 해당.

10월 17일와 윤보선 · 10월 1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26일

10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9번(윤년일 경우 300번째) 날에 해당.

10월 26일와 윤보선 · 10월 2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10월 27일와 윤보선 · 10월 2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29일

10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2번째(윤년일 경우 303번째) 날에 해당.

10월 29일와 윤보선 · 10월 29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9일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에 해당.

10월 9일와 윤보선 · 10월 9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0월 유신

10월 유신(十月維新)은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大統領特別宣言)을 발표한 것을 말. 박정희는 이 선언에서 4가지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이러한 비상조치 아래 위헌적 절차에 의한 국민투표로 1972년 12월 27일에 제3공화국 헌법을 파괴했는데, 이때의 헌법을 유신 헌법(維新憲法)이라 하며, 유신 헌법이 발효된 기간을 유신 체제(維新體制), 유신 독재(維新獨裁)라고 부른.

10월 유신와 윤보선 · 10월 유신와 윤치영 · 더보기 »

11월 24일

11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8번째(윤년일 경우 329번째) 날에 해당.

11월 24일와 윤보선 · 11월 2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1월 26일

1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0번째(윤년일 경우 331번째) 날에 해당.

11월 26일와 윤보선 · 11월 2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11월 4일와 윤보선 · 11월 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12월 17일와 윤보선 · 12월 1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2월 23일

12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7번째(윤년일 경우 358번째) 날에 해당.

12월 23일와 윤보선 · 12월 23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12월 27일와 윤보선 · 12월 2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2월 30일

12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4번째(윤년일 경우 365번째) 날에 해당.

12월 30일와 윤보선 · 12월 3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2월 9일

12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3번째(윤년일 경우 344번째) 날에 해당.

12월 9일와 윤보선 · 12월 9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851년

185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51년와 윤보선 · 185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54년

185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54년와 윤보선 · 185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63년와 윤보선 · 186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64년와 윤보선 · 186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71년

187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71년와 윤보선 · 187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72년

187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72년와 윤보선 · 187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80년

188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80년와 윤보선 · 188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4년와 윤보선 · 189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7년와 윤보선 · 189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8년와 윤보선 · 189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0년와 윤보선 · 190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1년와 윤보선 · 190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9년와 윤보선 · 190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1년와 윤보선 · 191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2년와 윤보선 · 191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3년와 윤보선 · 191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5년와 윤보선 · 191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6년와 윤보선 · 191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7년와 윤보선 · 191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8년와 윤보선 · 191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9년와 윤보선 · 191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20년와 윤보선 · 192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1년와 윤보선 · 192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2년와 윤보선 · 192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0년와 윤보선 · 193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1년와 윤보선 · 193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2년와 윤보선 · 193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6년와 윤보선 · 193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7년와 윤보선 · 193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8년와 윤보선 · 193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9년와 윤보선 · 193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0년와 윤보선 · 194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1년와 윤보선 · 194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2년와 윤보선 · 194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3년

194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3년와 윤보선 · 194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4년와 윤보선 · 194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5년와 윤보선 · 194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6년와 윤보선 · 194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7년와 윤보선 · 194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8년와 윤보선 · 194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9년와 윤보선 · 194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0년와 윤보선 · 195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1년와 윤보선 · 195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52년와 윤보선 · 195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4년와 윤보선 · 195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8년와 윤보선 · 195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9년와 윤보선 · 195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60년와 윤보선 · 196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1년와 윤보선 · 196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2년와 윤보선 · 196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3년와 윤보선 · 196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4년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64년와 윤보선 · 196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5년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5년와 윤보선 · 196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6년와 윤보선 · 196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7년와 윤보선 · 196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69년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9년와 윤보선 · 196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0년와 윤보선 · 197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1년와 윤보선 · 197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2년와 윤보선 · 197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3년와 윤보선 · 197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5년와 윤보선 · 197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6년와 윤보선 · 197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8년와 윤보선 · 197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9년와 윤보선 · 197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0년와 윤보선 · 198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1년와 윤보선 · 198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2년와 윤보선 · 1982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4년와 윤보선 · 1984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5년

198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5년와 윤보선 · 198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6년와 윤보선 · 198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7년와 윤보선 · 1987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8년와 윤보선 · 1988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9년와 윤보선 · 1989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0년와 윤보선 · 1990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1년와 윤보선 · 1991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3년와 윤보선 · 1993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5년와 윤보선 · 1995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96년와 윤보선 · 199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1월 17일

1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번째(윤년일 경우도 17번째) 날에 해당.

1월 17일와 윤보선 · 1월 1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월 26일

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

1월 26일와 윤보선 · 1월 2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1월 4일와 윤보선 · 1월 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6년와 윤보선 · 2006년와 윤치영 · 더보기 »

2·8 독립 선언

이광수가 2·8 독립 선언을 낭독한 도쿄 히비야 공원 2·8 독립 선언(二·八獨立宣言)은 1919년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

2·8 독립 선언와 윤보선 · 2·8 독립 선언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13일

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4번째(윤년일 경우도 44번째) 날에 해당.

2월 13일와 윤보선 · 2월 13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2월 15일와 윤보선 · 2월 1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2월 18일와 윤보선 · 2월 18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2월 19일와 윤보선 · 2월 19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20일

2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1번째(윤년일 경우도 51번째) 날에 해당.

2월 20일와 윤보선 · 2월 2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4일

2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번째(윤년일 경우도 35번째) 날에 해당.

2월 4일와 윤보선 · 2월 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2월 7일

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8번째(윤년일 경우도 38번째) 날에 해당.

2월 7일와 윤보선 · 2월 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3월 12일

3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1번째(윤년일 경우 72번째) 날에 해당.

3월 12일와 윤보선 · 3월 12일와 윤치영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3월 30일와 윤보선 · 3월 3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3월 5일

3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4번째(윤년일 경우 65번째) 날에 해당.

3월 5일와 윤보선 · 3월 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4.19 혁명와 윤보선 · 4.19 혁명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12일

4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2번째(윤년일 경우 103번째) 날에 해당.

4월 12일와 윤보선 · 4월 12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15일

4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5번째(윤년일 경우 106번째) 날에 해당.

4월 15일와 윤보선 · 4월 1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4월 21일와 윤보선 · 4월 21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4월 25일와 윤보선 · 4월 2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5일

4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5번째(윤년일 경우 96번째) 날에 해당.

4월 5일와 윤보선 · 4월 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4월 7일와 윤보선 · 4월 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5·16 군사 정변와 윤보선 · 5·16 군사 정변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5월 10일와 윤보선 · 5월 1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5월 11일와 윤보선 · 5월 11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16일

5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6번째(윤년일 경우 137번째) 날에 해당.

5월 16일와 윤보선 · 5월 1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23일

5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3번째(윤년일 경우 144번째) 날에 해당.

5월 23일와 윤보선 · 5월 23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27일

5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7번째(윤년일 경우 148번째) 날에 해당.

5월 27일와 윤보선 · 5월 2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30일

5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0번째(윤년일 경우 151번째) 날에 해당.

5월 30일와 윤보선 · 5월 3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31일

5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1번째(윤년일 경우 152번째) 날에 해당.

5월 31일와 윤보선 · 5월 31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5일

5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5번째(윤년일 경우 126번째), 뒤에서부터는 241번째 날에 해당.

5월 5일와 윤보선 · 5월 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5월 7일와 윤보선 · 5월 7일와 윤치영 · 더보기 »

6월 15일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

6월 15일와 윤보선 · 6월 1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6월 5일

6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6번째(윤년일 경우 157번째) 날에 해당.

6월 5일와 윤보선 · 6월 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7월 18일와 윤보선 · 7월 18일와 윤치영 · 더보기 »

7월 22일

7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3번째(윤년일 경우 204번째) 날에 해당.

7월 22일와 윤보선 · 7월 22일와 윤치영 · 더보기 »

7월 26일

7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7번째(윤년일 경우 208번째) 날에 해당.

7월 26일와 윤보선 · 7월 2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7월 4일와 윤보선 · 7월 4일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윤보선 · 8월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8월 15일와 윤보선 · 8월 1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21일

8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3번째(윤년일 경우 234번째) 날에 해당.

8월 21일와 윤보선 · 8월 21일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25일

8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7번째(윤년일 경우 238번째) 날에 해당.

8월 25일와 윤보선 · 8월 2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8월 26일와 윤보선 · 8월 2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8월 9일

8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1번째(윤년일 경우 222번째) 날에 해당.

8월 9일와 윤보선 · 8월 9일와 윤치영 · 더보기 »

9월 16일

9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9번째(윤년일 경우 260번째) 날에 해당.

9월 16일와 윤보선 · 9월 16일와 윤치영 · 더보기 »

9월 25일

9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8번째(윤년일 경우 269번째) 날에 해당.

9월 25일와 윤보선 · 9월 25일와 윤치영 · 더보기 »

9월 30일

9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3번째(윤년일 경우 274번째) 날에 해당.

9월 30일와 윤보선 · 9월 30일와 윤치영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윤보선와 윤치영의 비교.

윤보선에는 800 개의 관계가 있고 윤치영에는 840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5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21.59%입니다 = 354 / (800 + 840).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윤보선와 윤치영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