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보선와 장면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윤보선와 장면의 차이

윤보선 vs. 장면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윤보선와 장면의 유사점

윤보선와 장면는 공통적으로 31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시락, 동아일보, 로마 가톨릭교회, 마산시, 명동성당, 무풍지대, 문화방송, 미국, 민의원,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당,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민주주의, 백낙준, 개신교, 박정희, 강준만, 박순천, 박사, 강원도, 강원용, 가톨릭, 건국훈장, 경기도, 경희대학교, 법학, 고려대학교, 곽상훈, ..., 공무원, 공산주의, 부산 정치 파동, 부산광역시, 부통령, 기독교, 김도연, 김도연 (정치인), 김병로, 김규식, 김대중, 김구, 김두한, 김종필, 김준연, 김창숙, 김수환, 김영삼, 김성수, 김성수 (1891년), 김활란, 대구광역시, 대통령,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회,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적십자사, 대한제국, 국무회의, 국민보도연맹, 국민장, 국가재건최고회의, 군부 독재, 남조선로동당, 담배, 당뇨병, 용산구,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주의, 장덕수, 장도영, 장기영, 장준하, 장택상, 임영신, 이범석, 이범석 (1900년), 이기붕, 이승만, 이인, 이철승, 이윤영, 이윤영 (1890년), 이한림, 이시영 (1868년), 인천항, 일본, 일본인, 일제 강점기, 의원내각제, 제1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 (드라마), 전북대학교, 전두환, 정대철, 정일형, 조병옥, 조봉암,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조선총독부, 존 F. 케네디, 종로구, 주교, 주요한, 주한 미군, 참의원 (대한민국), 창씨개명, 청와대, 총리, 추기경, 친일반민족행위자, 유진산, 유원식 (군인), 육군, 윤치창, 윤치영, 윤치호, 윤치왕, 태음력, 영국, 영어,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호헌동지회, 현석호, 여운형, 허정, 엄항섭, 사회주의, 삼김시대 (드라마), 프랑스, 석사, 선우종원,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서울대학교, 서울특별시, 서울역, 서재필, 서중석, 송요찬, 송진우 (1890년), 함태영, 함석헌, 한근조, 한글, 한국, 한국 전쟁, 한국민주당, 한국방송공사, 한국인, 한국의 군정기, 한일 병합 조약, 신익희, 외무부, 10월 10일, 10월 12일, 10월 15일, 10월 17일, 10월 8일, 10월 9일, 11월 20일, 11월 27일, 11월 2일, 12월 12일, 12월 14일, 12월 17일, 12월 1일, 12월 27일, 12월 7일, 12월 8일, 1901년, 1910년, 1912년, 1913년, 1914년, 1916년, 1917년, 1918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30년, 1931년, 1932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1년, 1942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1951년, 1952년, 1954년,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1960년대,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81년, 1982년, 1987년, 1989년, 1990년, 1998년, 1월 12일, 1월 1일, 1월 23일, 1월 2일, 1월 4일, 2000년, 2001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9년, 2011년, 2월 11일, 2월 15일, 2월 18일, 2월 19일, 2월 25일, 2월 27일, 2월 28일, 2월 4일, 3·1 운동, 3월 16일, 3월 18일, 3월 1일, 3월 23일, 3월 30일, 3월 5일, 4.19 혁명, 4월 12일, 4월 19일, 4월 23일, 4월 25일, 4월 28일, 4월 6일, 4월 7일, 5·16 군사 정변, 5월 10일, 5월 11일, 5월 14일, 5월 16일, 5월 17일, 5월 19일, 5월 20일, 5월 26일, 5월 30일, 5월 31일, 5월 3일, 5월 9일, 6월 15일, 6월 1일, 6월 6일, 7월 12일, 7월 20일, 7월 29일, 7월 4일, 8월, 8월 15일, 8월 16일, 8월 17일, 8월 19일, 8월 21일, 8월 26일, 8월 27일, 8월 29일, 9월 12일, 9월 23일, 9월 28일, 9월 29일, 9월 3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80 더) »

도시락

시락 도시락()은 간편하게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을 말. 그릇(용기)의 경우 도시락 상자를 참조.

도시락와 윤보선 · 도시락와 장면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동아일보와 윤보선 · 동아일보와 장면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로마 가톨릭교회와 윤보선 · 로마 가톨릭교회와 장면 · 더보기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마산시와 윤보선 · 마산시와 장면 · 더보기 »

명동성당

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 통칭 명동성당(明洞聖堂)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대성당이.

명동성당와 윤보선 · 명동성당와 장면 · 더보기 »

무풍지대

《무풍지대》(無風地帶)는 1989년 6월 28일부터 1989년 9월 7일까지 매주 수요일, 목요일 밤 9시 50분에 KBS 2TV에서 방송되었던 미니 시리즈로, 유지광의 참회록 자서전적 소설인 "대명"을 토대로 만든 드라마이.

무풍지대와 윤보선 · 무풍지대와 장면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문화방송와 윤보선 · 문화방송와 장면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미국와 윤보선 · 미국와 장면 · 더보기 »

민의원

민의원(民議院)은 대한민국의 제2공화국에서 설치되었던 국회의 하원(下院)으로, 정원은 233명이었.

민의원와 윤보선 · 민의원와 장면 · 더보기 »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민주국민당와 윤보선 · 민주국민당와 장면 · 더보기 »

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국민당(民主國民黨, Democratic National Party)은 1949년 2월 10일에 조직된 정당이.

민주국민당 (1949년)와 윤보선 · 민주국민당 (1949년)와 장면 · 더보기 »

민주당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정당 이름으로 많이 쓰이는 이름으로, 다음을 가리.

민주당와 윤보선 · 민주당와 장면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55년 자유당의 사사오입개헌 사건을 계기로, 민주국민당의 보수파와 자유당의 탈당파, 흥사단등의 반이승만 세력이 모여, 1955년 9월 18일에 창당 되었.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와 윤보선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와 장면 · 더보기 »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1963년에 창당.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와 윤보선 · 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와 장면 · 더보기 »

민주주의

민주주의(民主主義)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이.

민주주의와 윤보선 · 민주주의와 장면 · 더보기 »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백낙준와 윤보선 · 백낙준와 장면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개신교와 윤보선 · 개신교와 장면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박정희와 윤보선 · 박정희와 장면 · 더보기 »

강준만

강준만(康俊晩, 1956년 1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사회과학자·언론인이자 대학교수이.

강준만와 윤보선 · 강준만와 장면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박순천와 윤보선 · 박순천와 장면 · 더보기 »

박사

박사(博士, Doctor)는 대학교나 학술전문연구기관에서 가장 높은 학위를 소지한자 또는 특정 분야(이를테면 철학박사)의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이.

박사와 윤보선 · 박사와 장면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강원도와 윤보선 · 강원도와 장면 · 더보기 »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강원용와 윤보선 · 강원용와 장면 · 더보기 »

가톨릭

릭(Catholic)은 공통적, 보편적, 보편된, 공번적, 일반적, 널리 알려진 등의 뜻을 가진 단어로 코이네 그리스어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ός)에서 유래했으며 기독교에서 '교회'와 함께 주로 사용되어 왔. 영어로는 라틴어 어원에서 온 동일한 의미 단어인 'universal'로 번역.

가톨릭와 윤보선 · 가톨릭와 장면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건국훈장와 윤보선 · 건국훈장와 장면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윤보선 · 경기도와 장면 · 더보기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 Kyung Hee University)는 1911년에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이.

경희대학교와 윤보선 · 경희대학교와 장면 · 더보기 »

법학

학자들은 "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법학(法學)은 법률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

법학와 윤보선 · 법학와 장면 · 더보기 »

고려대학교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이.

고려대학교와 윤보선 · 고려대학교와 장면 · 더보기 »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곽상훈와 윤보선 · 곽상훈와 장면 · 더보기 »

공무원

공무원(公務員)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공공 단체의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을 이른.

공무원와 윤보선 · 공무원와 장면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공산주의와 윤보선 · 공산주의와 장면 · 더보기 »

부산 정치 파동

부산 정치 파동(釜山政治波動,1952년 5월 26일)은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재선을 확실히 하고, 독재정권 기반을 굳히기 위해 한국 전쟁 중에 임시 수도인 부산에서 폭력을 동원하여 강제로 국회의원을 연행하고 구속한, 일련의 정치적 파행이.

부산 정치 파동와 윤보선 · 부산 정치 파동와 장면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부산광역시와 윤보선 · 부산광역시와 장면 · 더보기 »

부통령

부통령(副統領, (副大統領))은 대통령제를 실시하는 국가 중 일부에서 채용하고 있는 직위이.

부통령와 윤보선 · 부통령와 장면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기독교와 윤보선 · 기독교와 장면 · 더보기 »

김도연

연은 다음 사람을 가리.

김도연와 윤보선 · 김도연와 장면 · 더보기 »

김도연 (정치인)

연(金度演, 1894년 6월 16일 ~ 1967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

김도연 (정치인)와 윤보선 · 김도연 (정치인)와 장면 · 더보기 »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김병로와 윤보선 · 김병로와 장면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김규식와 윤보선 · 김규식와 장면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김대중와 윤보선 · 김대중와 장면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김구와 윤보선 · 김구와 장면 · 더보기 »

김두한

(金斗漢, 1918년 5월 15일 ~ 1972년 11월 21일)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건달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상사이.

김두한와 윤보선 · 김두한와 장면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종필와 윤보선 · 김종필와 장면 · 더보기 »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김준연와 윤보선 · 김준연와 장면 · 더보기 »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김창숙와 윤보선 · 김창숙와 장면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김수환와 윤보선 · 김수환와 장면 · 더보기 »

김영삼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윤보선 · 김영삼와 장면 · 더보기 »

김성수

성수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은 다음과 같.

김성수와 윤보선 · 김성수와 장면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성수 (1891년)와 윤보선 · 김성수 (1891년)와 장면 · 더보기 »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김활란와 윤보선 · 김활란와 장면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대구광역시와 윤보선 · 대구광역시와 장면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대통령와 윤보선 · 대통령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대한민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

통령비서실(大統領秘書室, Office of President)은 대통령의 직무를 보좌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와 윤보선 ·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방부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회

민국 국회(大韓民國 國會)는 대한민국의 의회이며 대한민국 입법부의 주축이.

대한민국 국회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회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

1961년 2월 27일 중앙청에서 개최한 국토건설단 제1기생 수료식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國土建設本部, National Construction Center of Korea) 또는 국토건설단(國土建設團)은 대한민국 국무총리 장면이 미취업 대학생과 인력을 구제할 목적으로 1960년 11월 28일 설치하였.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국토건설본부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제1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1공화국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2공화국을 이끌었던 장면 총리 제2공화국(第二共和國)은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이.

대한민국 제2공화국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2공화국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5대 총선(大韓民國第五代總選)은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大韓民國第二共和國)에 따라 1960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이.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

제헌 국회 총선 투표 광경 대한민국의 제1대 국회인 대한민국 제헌 국회(大韓民國 制憲國會)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한 국회를 뜻하며 1948년 5월 31일 구성되고 1950년 5월 30일까지 활동한 국회를 말.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한 국회이.

대한민국 제헌 국회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헌 국회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남한 총선거의 벽보용 선거 홍보물. 낱장 칼라본. 전면에 태극기를 가로질러 건 독립문과 당시 군정청 건물로 선거하러 가는 인물들이 그려지고, 상단에 총선거 일시(5월 10일)가 표시됨. 중앙에 ‘총선거로 독립문이 열린다’, ‘중앙정부수립’, 좌우로 ‘기권은 국민의 수치’, ‘투표는 애국민의 의무’라는 표어가 인쇄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또는 9.99 총선거는 1999년 9월 9일에 제헌 국회를 구성할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와 윤보선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1920년 3월1일 미국 워싱턴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구미외교위원회)는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 D.C.에 설치한 미국,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외교행정업무를 주관하는 부서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와 윤보선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대한민국 정당사에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자유보수주의, 민주주의, 운동권 세력 등이 서로 이합집산하면서 수차례 정계개편을 통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정당 계통이.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대한민국의 대통령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대통령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국회의장(國會議長, Speaker of National Assembly)은 대한민국 입법부의 장이.

대한민국의 국회의장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와 장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원으로, 국회의 구성원이.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와 윤보선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와 장면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대한적십자사와 윤보선 · 대한적십자사와 장면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와 윤보선 · 대한제국와 장면 · 더보기 »

국무회의

국무회의(國務會議)는 대한민국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정책을 심의하는 최고정책심의기관이.

국무회의와 윤보선 · 국무회의와 장면 · 더보기 »

국민보도연맹

국민보도연맹(國民保導聯盟)은 1948년 12월 시행된 국가보안법에 따라 ‘좌익사상에 물든 사람들을 사상전향시켜 이들을 보호하고 인도한다’는 취지와 국민의 사상을 국가가 나서서 통제하려는 이승만 정권이 대국민 사상통제를 목적으로 1949년 6월 5일에 조직했던 대한민국 반공 단체로, 흔히 보도연맹이라고 부른.

국민보도연맹와 윤보선 · 국민보도연맹와 장면 · 더보기 »

국민장

국민장 중 노무현 대통령 대한문 추도 국민장(國民葬)은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제정 법률 제1884호 1967년 1월 16일)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주관하는 장례 의전 가운데 하나였.

국민장와 윤보선 · 국민장와 장면 · 더보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5월 20일, 중앙청 광장에서 포고하는 장도영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國家再建最高會議)는 대한민국에서 5·16 군사 정변 이후 정변 주도세력이 5월 18일에 '군사혁명위원회'에서 이름을 바꾸어 발족시킨 입법·행정·사법의 3권을 행사했던 통치기구이.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윤보선 · 국가재건최고회의와 장면 · 더보기 »

군부 독재

부 독재(軍部獨裁)는 한 나라나 지방의 군사력을 통솔하는 군부 출신 지도자 또는 군부 출신 인사가 주도권을 쥐고 있는 독재 정치를 시행하는 형태의 정권이.

군부 독재와 윤보선 · 군부 독재와 장면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남조선로동당와 윤보선 · 남조선로동당와 장면 · 더보기 »

담배

배잎. 담배()는 담뱃잎을 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흡연 제품이.

담배와 윤보선 · 담배와 장면 · 더보기 »

당뇨병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은 높은 혈당 수치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대사 질환군을 말. 혈당이 높을 때의 증상으로는 소변이 잦아지고, 갈증과 배고픔이 심.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 급성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케톤산증, 고혈당성 고삼투성 비케톤성 혼수 등이 포함된다 심각한 장기간 합병증으로는 심혈관질환, 뇌졸중, 만성신부전, 당뇨병성 궤양, 당뇨망막병 등이.

당뇨병와 윤보선 · 당뇨병와 장면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용산구와 윤보선 · 용산구와 장면 · 더보기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自由黨)은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에서 창당된 보수정당이며 대통령 이승만을 당수로 하였으며, 장택상 · 이범석 · 장면 · 배은희 · 이기붕 · 함태영, 이갑성, 백성욱이 주요 간부였.

윤보선와 자유당 (대한민국) · 자유당 (대한민국)와 장면 · 더보기 »

자유주의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는 자유 사상을 최상의 정치·사회적 가치로 삼는 역사적 전통이며, 사회철학적 관점이자 이데올로기이.

윤보선와 자유주의 · 자유주의와 장면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윤보선와 장덕수 · 장덕수와 장면 · 더보기 »

장도영

장도영(張都暎, 1923년 1월 23일 ~ 2012년 8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윤보선와 장도영 · 장도영와 장면 · 더보기 »

장기영

장기영에는 에는 다음의 동명이인이 있.

윤보선와 장기영 · 장기영와 장면 · 더보기 »

장준하

장준하(張俊河, 1918년 8월 27일 ~ 1975년 8월 17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이.

윤보선와 장준하 · 장면와 장준하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윤보선와 장택상 · 장면와 장택상 · 더보기 »

임영신

임영신(任永信, 1899년 11월 20일 ~ 1977년 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및 정치인이.

윤보선와 임영신 · 임영신와 장면 · 더보기 »

이범석

이범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윤보선와 이범석 · 이범석와 장면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윤보선와 이범석 (1900년) · 이범석 (1900년)와 장면 · 더보기 »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윤보선와 이기붕 · 이기붕와 장면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윤보선와 이승만 · 이승만와 장면 · 더보기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

윤보선와 이인 · 이인와 장면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윤보선와 이철승 · 이철승와 장면 · 더보기 »

이윤영

이윤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윤보선와 이윤영 · 이윤영와 장면 · 더보기 »

이윤영 (1890년)

이윤영(李允榮,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고, 대한민국의 목회자, 정치가이.

윤보선와 이윤영 (1890년) · 이윤영 (1890년)와 장면 · 더보기 »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윤보선와 이한림 · 이한림와 장면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윤보선와 이시영 (1868년) · 이시영 (1868년)와 장면 · 더보기 »

인천항

인천항(仁川港)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서해안 제1의 무역항구로 수도권 지방의 해상 관문이.

윤보선와 인천항 · 인천항와 장면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윤보선와 일본 · 일본와 장면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윤보선와 일본인 · 일본인와 장면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윤보선와 일제 강점기 · 일제 강점기와 장면 · 더보기 »

의원내각제

의원내각제(議院內閣制)란 행정부의 성립과 존속이 의회(입법부)의 신임에 근거하는 정부 형태를 말. 원어(Parliamentary system)의 의미 및 의회가 정부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의회정부제(議會政府制)라고 부르기도 하고, 내각(정부)이 국정에 관하여 의회에 책임을 진다는 점(내각불신임권의 존재)에 주목하여 내각책임제 또는 책임정부(responsible government)라고 부르.

윤보선와 의원내각제 · 의원내각제와 장면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1공화국 (드라마) · 장면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2공화국 (드라마)

《제2공화국》은 MBC가 제2공화국을 배경으로 1960년 4·19 혁명에서부터, 1961년 5·16 군사정변, 그리고 군정과 제3공화국의 성립까지를 그린 정치 드라마로 1989년 7월 16일부터 1990년 4월 2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에 방영되었으며, 총 41부작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2공화국 (드라마) · 장면와 제2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제3공화국 (드라마)

《제3공화국》(第三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3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박정희의 출생과 성장 과정, 그리고 1961년 5·16 군사정변과 군정, 그리고 1972년 10월 17일 10월 유신이 선포되는 것까지 다룬 드라마로 매주 일요일에 방영되었으며, 1993년 2월에서부터 8월까지 방영된 총 26부작 드라마이.

윤보선와 제3공화국 (드라마) · 장면와 제3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全北大學校, Chonbuk National University)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대한민국의 지방거점 국립대학교이.

윤보선와 전북대학교 · 장면와 전북대학교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윤보선와 전두환 · 장면와 전두환 · 더보기 »

정대철

정대철(鄭大哲, 1944년 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윤보선와 정대철 · 장면와 정대철 · 더보기 »

정일형

정일형(鄭一亨, 1904년 2월 23일 ~ 1982년 4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관료이며 정치인이다. 미군정기 때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지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야당에서 활약하였다. 제2공화국의 두 번째 외무부 장관이었으며, 5·16 군사 정변 이후 실각하였다. 한민당의 창당 멤버이자 민주당의 당원이었으나, 민주당 신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신파의 영수였던 국무총리 장면과의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한국 초기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의 남편이자, 정치인 정대철의 아버지이자 정치인 정호준의 할아버지이며, 이윤영의 처조카였다. 호(號)는 금연(錦淵)이다.

윤보선와 정일형 · 장면와 정일형 · 더보기 »

조병옥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충청남도 천안 ~ 1960년 2월 15일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경찰관, 정치가이.

윤보선와 조병옥 · 장면와 조병옥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조봉암 · 장면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윤보선와 조선 · 장면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윤보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장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군대를 가리키는 말이.

윤보선와 조선인민군 · 장면와 조선인민군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윤보선와 조선총독부 · 장면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존 F. 케네디

존 피츠제럴드 "잭" 케네디(John Fitzgerald "Jack" Kennedy, 1917년 5월 29일 ~ 1963년 11월 22일) 또는 약어로 JFK는 미국의 제35대 대통령이.

윤보선와 존 F. 케네디 · 장면와 존 F. 케네디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윤보선와 종로구 · 장면와 종로구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윤보선와 주교 · 장면와 주교 · 더보기 »

주요한

주요한(朱曜翰, 일본식 이름: 松村紘一(마쓰무라 고이치), 1900년 12월 5일 ~ 1979년 1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회운동가·시인·언론인, 개신교 목사이며 극작가이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주요한 · 장면와 주요한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윤보선와 주한 미군 · 장면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참의원 (대한민국)

의원(參議院)은 대한민국 제2공화국에서 설치해 5·16 군사 정변 전까지 약 9개월 간 유지되었던 당시 국회의 상원(上院)이.

윤보선와 참의원 (대한민국) · 장면와 참의원 (대한민국) · 더보기 »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윤보선와 창씨개명 · 장면와 창씨개명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윤보선와 청와대 · 장면와 청와대 · 더보기 »

총리

총리(總理)는 한자 문화권에서 '전체를 모두 관리한다'는 의미를.

윤보선와 총리 · 장면와 총리 · 더보기 »

추기경

경의 문장. 상단의 갈레로와 가운데의 방패, 그 사이에 있는 십자가, 그리고 양 옆의 술과 맨 밑의 사목표어로 구성되어 있다. 갈레로는 주교가 교구를 방문할 때 전통적으로 쓰고 다녔던 모자로, 주교의 사목 책임을 표현한다. 붉은 갈레로와 그 아래 술 5단은 추기경임을 암시한다. 방패 아래쪽의 띠에는 사목표어가 라틴어로 새겨진다. 추기경(樞機卿)은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누리는 가톨릭의 고위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윤보선와 추기경 · 장면와 추기경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윤보선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장면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유진산

유진산(柳珍山, 1905년 10월 18일 ~ 1974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이자 7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전라북도 진산군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문화이고 해방 정국에서는 우익청년단체를 운용하였.

유진산와 윤보선 · 유진산와 장면 · 더보기 »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유원식 (군인)와 윤보선 · 유원식 (군인)와 장면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육군와 윤보선 · 육군와 장면 · 더보기 »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윤보선와 윤치창 · 윤치창와 장면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윤보선와 윤치영 · 윤치영와 장면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윤보선와 윤치호 · 윤치호와 장면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윤보선와 윤치왕 · 윤치왕와 장면 · 더보기 »

태음력

음력(太陰曆)은 달의 차고 기욺을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는 역법을 말. 계절의 변화(즉, 태양의 일주)까지 고려한 달력은 태음태양력이.

윤보선와 태음력 · 장면와 태음력 · 더보기 »

영국

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聯合王國), 약칭 브리튼() 또는 연합왕국(聯合王國,, UK) 혹은 영국(英國)은 유럽 북서부 해안의 브리튼 제도에 위치한 주권국이자 섬나라로, 북해, 영국 해협, 아일랜드 해 및 대서양에 접하여 있으며 그레이트 브리튼 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및 아일랜드 섬 북부의 북아일랜드로 네 개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연합국가이.

영국와 윤보선 · 영국와 장면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영어와 윤보선 · 영어와 장면 · 더보기 »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

《영웅시대》(英雄時代)는 2004년 7월 5일부터 2005년 3월 1일까지 방송된 대한민국의 경제사를 다룬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인데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제작비 대비 시청률이 낮다'는 이유 탓인지 70부작으로 조기종영.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와 윤보선 ·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와 장면 · 더보기 »

호헌동지회

호헌동지회(護憲同志會)는 제1공화국 시기 1954년 11월 30일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종신집권을 노리고 위헌적으로 강행한 사사오입 개헌을 반대하기 위해 결집된 범야당 연합을 말. 주로 민국당, 자유당 탈퇴파, 무소속 동지회 등 60명의 정치인들이 결집.

윤보선와 호헌동지회 · 장면와 호헌동지회 · 더보기 »

현석호

현석호(玄錫虎, 1907년 5월 23일 ~ 1988년 1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윤보선와 현석호 · 장면와 현석호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여운형와 윤보선 · 여운형와 장면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윤보선와 허정 · 장면와 허정 · 더보기 »

엄항섭

엄항섭, 여운형, 장면1947년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에서(앞줄 왼쪽 선글라스를 낀 남자가 엄항섭, 바로 옆은 여운형, 엄항섭의 뒷쪽 왼편에 흰 양복에 흰 중절모를 쓴 이는 장면‎ 엄항섭(嚴恒燮, 1898년 음력 9월 1일 ~ 1962년 7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중화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엄항섭와 윤보선 · 엄항섭와 장면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사회주의와 윤보선 · 사회주의와 장면 · 더보기 »

삼김시대 (드라마)

《삼김시대》(三金時代)는 1998년 2월 28일부터 1998년 5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삼김시대 (드라마)와 윤보선 · 삼김시대 (드라마)와 장면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윤보선와 프랑스 · 장면와 프랑스 · 더보기 »

석사

석사(碩士)는 대학원에서 학업 및 연구를 어느 정도 성취한 자를 인정하는 하나의 학위이.

석사와 윤보선 · 석사와 장면 · 더보기 »

선우종원

선우종원(鮮于宗源, 1918년 2월 17일 ~ 2014년 3월 8일)은 사상검사로 활약한 법조인이.

선우종원와 윤보선 · 선우종원와 장면 · 더보기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와 윤보선 ·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와 장면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서울대학교와 윤보선 · 서울대학교와 장면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서울특별시와 윤보선 · 서울특별시와 장면 · 더보기 »

서울역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있는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철도역이.

서울역와 윤보선 · 서울역와 장면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서재필와 윤보선 · 서재필와 장면 · 더보기 »

서중석

서중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서중석와 윤보선 · 서중석와 장면 · 더보기 »

송요찬

송요찬(宋堯讚, 1918년 2월 13일 ~ 1980년 10월 18일 오후 9시 (미국 시카고 현지 시간))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송요찬와 윤보선 · 송요찬와 장면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송진우 (1890년)와 윤보선 · 송진우 (1890년)와 장면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함태영 · 장면와 함태영 · 더보기 »

함석헌

석헌(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며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

윤보선와 함석헌 · 장면와 함석헌 · 더보기 »

한근조

조(韓根朝, 평안남도 강서군 1895년 7월 19일 ~ 1972년 2월 8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한국의 정치인이.

윤보선와 한근조 · 장면와 한근조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윤보선와 한글 · 장면와 한글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윤보선와 한국 · 장면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윤보선와 한국 전쟁 · 장면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민주당

국민주당(韓國民主黨, Korea Democratic Party, 영문약칭 KDP)은 미군정기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적, 부르주아적 자유주의 정치 정당의 하나이.

윤보선와 한국민주당 · 장면와 한국민주당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윤보선와 한국방송공사 · 장면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윤보선와 한국인 · 장면와 한국인 · 더보기 »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윤보선와 한국의 군정기 · 장면와 한국의 군정기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윤보선와 한일 병합 조약 · 장면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신익희와 윤보선 · 신익희와 장면 · 더보기 »

외무부

외무부(外務部, Ministry of Foreign Affairs) 또는 외교부(外交部)는 외교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외무부와 윤보선 · 외무부와 장면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10월 10일와 윤보선 · 10월 10일와 장면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10월 12일와 윤보선 · 10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10월 15일

10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8번째(윤년일 경우 289번째) 날에 해당.

10월 15일와 윤보선 · 10월 15일와 장면 · 더보기 »

10월 17일

10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0번째(윤년일 경우 291번째) 날에 해당.

10월 17일와 윤보선 · 10월 17일와 장면 · 더보기 »

10월 8일

10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1번째(윤년일 경우 282번째) 날에 해당.

10월 8일와 윤보선 · 10월 8일와 장면 · 더보기 »

10월 9일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에 해당.

10월 9일와 윤보선 · 10월 9일와 장면 · 더보기 »

11월 20일

11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4번째(윤년일 경우 325번째) 날에 해당.

11월 20일와 윤보선 · 11월 20일와 장면 · 더보기 »

11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1번째(윤년일 경우 332번째) 날에 해당.

11월 27일와 윤보선 · 11월 27일와 장면 · 더보기 »

11월 2일

1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6번째(윤년일 경우 307번째) 날에 해당.

11월 2일와 윤보선 · 11월 2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12일

1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6번째(윤년일 경우 347번째) 날에 해당.

12월 12일와 윤보선 · 12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14일

1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12월 14일와 윤보선 · 12월 14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12월 17일와 윤보선 · 12월 17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1일

1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5번째(윤년일 경우 336번째) 날에 해당.

12월 1일와 윤보선 · 12월 1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27일

1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1번째(윤년일 경우 362번째) 날에 해당.

12월 27일와 윤보선 · 12월 27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7일

1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1번째(윤년일 경우 342번째) 날에 해당.

12월 7일와 윤보선 · 12월 7일와 장면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12월 8일와 윤보선 · 12월 8일와 장면 · 더보기 »

1901년

190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1년와 윤보선 · 1901년와 장면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와 윤보선 · 1910년와 장면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2년와 윤보선 · 1912년와 장면 · 더보기 »

1913년

191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3년와 윤보선 · 1913년와 장면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4년와 윤보선 · 1914년와 장면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6년와 윤보선 · 1916년와 장면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7년와 윤보선 · 1917년와 장면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8년와 윤보선 · 1918년와 장면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9년와 윤보선 · 1919년와 장면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20년와 윤보선 · 1920년와 장면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1년와 윤보선 · 1921년와 장면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2년와 윤보선 · 1922년와 장면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0년와 윤보선 · 1930년와 장면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1년와 윤보선 · 1931년와 장면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2년와 윤보선 · 1932년와 장면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6년와 윤보선 · 1936년와 장면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7년와 윤보선 · 1937년와 장면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8년와 윤보선 · 1938년와 장면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9년와 윤보선 · 1939년와 장면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1년와 윤보선 · 1941년와 장면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2년와 윤보선 · 1942년와 장면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4년와 윤보선 · 1944년와 장면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5년와 윤보선 · 1945년와 장면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6년와 윤보선 · 1946년와 장면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7년와 윤보선 · 1947년와 장면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8년와 윤보선 · 1948년와 장면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9년와 윤보선 · 1949년와 장면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0년와 윤보선 · 1950년와 장면 · 더보기 »

1951년

195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1년와 윤보선 · 1951년와 장면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52년와 윤보선 · 1952년와 장면 · 더보기 »

1954년

195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4년와 윤보선 · 1954년와 장면 · 더보기 »

1957년

195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7년와 윤보선 · 1957년와 장면 · 더보기 »

1958년

195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8년와 윤보선 · 1958년와 장면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9년와 윤보선 · 1959년와 장면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60년와 윤보선 · 1960년와 장면 · 더보기 »

1960년대

1960년대는 1960년에서 1969년까지를 가리.

1960년대와 윤보선 · 1960년대와 장면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1년와 윤보선 · 1961년와 장면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2년와 윤보선 · 1962년와 장면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3년와 윤보선 · 1963년와 장면 · 더보기 »

1964년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64년와 윤보선 · 1964년와 장면 · 더보기 »

1965년

196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5년와 윤보선 · 1965년와 장면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6년와 윤보선 · 1966년와 장면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7년와 윤보선 · 1967년와 장면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0년와 윤보선 · 1970년와 장면 · 더보기 »

1971년

197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1년와 윤보선 · 1971년와 장면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2년와 윤보선 · 1972년와 장면 · 더보기 »

1974년

197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4년와 윤보선 · 1974년와 장면 · 더보기 »

1975년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5년와 윤보선 · 1975년와 장면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6년와 윤보선 · 1976년와 장면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1년와 윤보선 · 1981년와 장면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2년와 윤보선 · 1982년와 장면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7년와 윤보선 · 1987년와 장면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9년와 윤보선 · 1989년와 장면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0년와 윤보선 · 1990년와 장면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8년와 윤보선 · 1998년와 장면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1월 12일와 윤보선 · 1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1월 1일와 윤보선 · 1월 1일와 장면 · 더보기 »

1월 23일

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번째(윤년일 경우도 23번째) 날에 해당.

1월 23일와 윤보선 · 1월 23일와 장면 · 더보기 »

1월 2일

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번째 날에 해당.

1월 2일와 윤보선 · 1월 2일와 장면 · 더보기 »

1월 4일

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번째 날에 해당.

1월 4일와 윤보선 · 1월 4일와 장면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2000년와 윤보선 · 2000년와 장면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2001년와 윤보선 · 2001년와 장면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4년와 윤보선 · 2004년와 장면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5년와 윤보선 · 2005년와 장면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6년와 윤보선 · 2006년와 장면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9년와 윤보선 · 2009년와 장면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1년와 윤보선 · 2011년와 장면 · 더보기 »

2월 11일

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2번째(윤년일 경우도 42번째) 날에 해당.

2월 11일와 윤보선 · 2월 11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2월 15일와 윤보선 · 2월 15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2월 18일와 윤보선 · 2월 18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19일

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0번째(윤년일 경우도 50번째) 날에 해당.

2월 19일와 윤보선 · 2월 19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25일

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6번째(윤년일 경우도 56번째) 날에 해당.

2월 25일와 윤보선 · 2월 25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27일

2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8번째(윤년일 경우도 58번째) 날에 해당.

2월 27일와 윤보선 · 2월 27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28일

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9번째(윤년일 경우도 59번째) 날에 해당.

2월 28일와 윤보선 · 2월 28일와 장면 · 더보기 »

2월 4일

2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번째(윤년일 경우도 35번째) 날에 해당.

2월 4일와 윤보선 · 2월 4일와 장면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3·1 운동와 윤보선 · 3·1 운동와 장면 · 더보기 »

3월 16일

3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5번째(윤년일 경우 76번째) 날에 해당.

3월 16일와 윤보선 · 3월 16일와 장면 · 더보기 »

3월 18일

3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7번째(윤년일 경우 78번째) 날에 해당.

3월 18일와 윤보선 · 3월 18일와 장면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3월 1일와 윤보선 · 3월 1일와 장면 · 더보기 »

3월 23일

3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2번째(윤년일 경우 83번째) 날에 해당.

3월 23일와 윤보선 · 3월 23일와 장면 · 더보기 »

3월 30일

3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9번째(윤년일 경우 90번째) 날에 해당.

3월 30일와 윤보선 · 3월 30일와 장면 · 더보기 »

3월 5일

3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4번째(윤년일 경우 65번째) 날에 해당.

3월 5일와 윤보선 · 3월 5일와 장면 · 더보기 »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4.19 혁명와 윤보선 · 4.19 혁명와 장면 · 더보기 »

4월 12일

4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2번째(윤년일 경우 103번째) 날에 해당.

4월 12일와 윤보선 · 4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19일

4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9번째(윤년일 경우 110번째) 날에 해당.

4월 19일와 윤보선 · 4월 19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4월 23일와 윤보선 · 4월 23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25일

4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5번째(윤년일 경우 116번째) 날에 해당.

4월 25일와 윤보선 · 4월 25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28일

4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8번째(윤년일 경우 119번째) 날에 해당.

4월 28일와 윤보선 · 4월 28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4월 6일와 윤보선 · 4월 6일와 장면 · 더보기 »

4월 7일

4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7번째(윤년일 경우 98번째) 날에 해당.

4월 7일와 윤보선 · 4월 7일와 장면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5·16 군사 정변와 윤보선 · 5·16 군사 정변와 장면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5월 10일와 윤보선 · 5월 10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11일

5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1번째(윤년일 경우 132번째) 날에 해당.

5월 11일와 윤보선 · 5월 11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14일

5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4번째(윤년일 경우 135번째) 날에 해당.

5월 14일와 윤보선 · 5월 14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16일

5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6번째(윤년일 경우 137번째) 날에 해당.

5월 16일와 윤보선 · 5월 16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17일

5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7번째(윤년일 경우 138번째) 날에 해당.

5월 17일와 윤보선 · 5월 17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19일

5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9번째(윤년일 경우 140번째) 날에 해당.

5월 19일와 윤보선 · 5월 19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20일

5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0번째(윤년일 경우 141번째) 날에 해당.

5월 20일와 윤보선 · 5월 20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26일

5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6번째(윤년일 경우 147번째) 날에 해당.

5월 26일와 윤보선 · 5월 26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30일

5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0번째(윤년일 경우 151번째) 날에 해당.

5월 30일와 윤보선 · 5월 30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31일

5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1번째(윤년일 경우 152번째) 날에 해당.

5월 31일와 윤보선 · 5월 31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5월 3일와 윤보선 · 5월 3일와 장면 · 더보기 »

5월 9일

5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9번째(윤년일 경우 130번째), 뒤에서부터는 237번째 날에 해당.

5월 9일와 윤보선 · 5월 9일와 장면 · 더보기 »

6월 15일

6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6번째(윤년일 경우 167번째) 날에 해당.

6월 15일와 윤보선 · 6월 15일와 장면 · 더보기 »

6월 1일

6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2번째(윤년일 경우 153번째) 날에 해당.

6월 1일와 윤보선 · 6월 1일와 장면 · 더보기 »

6월 6일

6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7번째(윤년일 경우 158번째) 날에 해당.

6월 6일와 윤보선 · 6월 6일와 장면 · 더보기 »

7월 12일

7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3번째(윤년일 경우 194번째) 날에 해당.

7월 12일와 윤보선 · 7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7월 20일

7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01번째(윤년일 경우 202번째) 날에 해당.

7월 20일와 윤보선 · 7월 20일와 장면 · 더보기 »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7월 29일와 윤보선 · 7월 29일와 장면 · 더보기 »

7월 4일

7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5번째(윤년일 경우 186번째) 날에 해당.

7월 4일와 윤보선 · 7월 4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윤보선 · 8월와 장면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8월 15일와 윤보선 · 8월 15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16일

8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8번째(윤년일 경우 229번째) 날에 해당.

8월 16일와 윤보선 · 8월 16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17일

8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9번째(윤년일 경우 230번째) 날에 해당.

8월 17일와 윤보선 · 8월 17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19일

8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1번째(윤년일 경우 232번째) 날에 해당.

8월 19일와 윤보선 · 8월 19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21일

8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3번째(윤년일 경우 234번째) 날에 해당.

8월 21일와 윤보선 · 8월 21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26일

8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8번째(윤년일 경우 239번째) 날에 해당.

8월 26일와 윤보선 · 8월 26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8월 27일와 윤보선 · 8월 27일와 장면 · 더보기 »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8월 29일와 윤보선 · 8월 29일와 장면 · 더보기 »

9월 12일

9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5번째(윤년일 경우 256번째) 날에 해당.

9월 12일와 윤보선 · 9월 12일와 장면 · 더보기 »

9월 23일

9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6번째(윤년일 경우 267번째) 날에 해당.

9월 23일와 윤보선 · 9월 23일와 장면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9월 28일와 윤보선 · 9월 28일와 장면 · 더보기 »

9월 29일

9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2번째(윤년일 경우 273번째) 날에 해당.

9월 29일와 윤보선 · 9월 29일와 장면 · 더보기 »

9월 30일

9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3번째(윤년일 경우 274번째) 날에 해당.

9월 30일와 윤보선 · 9월 30일와 장면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윤보선와 장면의 비교.

윤보선에는 800 개의 관계가 있고 장면에는 77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1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9.73%입니다 = 310 / (800 + 77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윤보선와 장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