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1623년

색인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300 처지: 능창대군, 능풍군, 끼엔통, 덕수궁, 도브랸카, 도쿠가와 마사코, 도쿠가와 다다나가,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 도쿠가와가 영묘, 롱타이, 로쿠고 마사노리, 류림, 류베르치, 류자신, 류큐국, 류희분, 맹세형, 만력제,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598년),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1595년),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마쓰시타 시게쓰나, 마테우스 메리안, 막시밀리안 1세 (바이에른), 메릴랜드 식민지, 메이플라워 호, 메인 주, 모르샨스크, 모리 데루모토, 모리 히데나리, 무라트 4세, 묘호, 미나가와 히로테루, 갈릴레오 갈릴레이, 바이에른 주, 바이에른 선제후국, 박경신 (1560년), 박승종, 박지계, 강홍립, 가르시아 1세 (콩고 왕국), 가메다 번, 가토 사다야스, 겐나,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경희궁, ..., 고바리 번,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볼리비아의 역사, 공빈 김씨, 병자호란, 계해, 변승업, 광성군, 북인, 붕당, 그레고리우스, 기자헌, 브릴리아나 콘웨이 할리, 블레즈 파스칼, 빈 대학교, 빈또,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김류 (1571년), 김륵, 김경징, 김자점, 김장생, 김희철 (1519년), 김제남 (1562년), 김집 (1574년), 김징, 김유신, 김육, 김상로, 김상헌, 김예직, 대진사,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교황 목록,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교황 대관식, 교황 우르바노 8세,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오키, 구로다 다다유키, 구인후, 둔덕면, 남이흥, 나주 오씨, 뉴햄프셔 주, 뉴햄프셔 식민지, 다카기 마사쓰구, 다카다 번, 다카쓰카사 다카코, 니조성, 니카호 번, 니카호 기요시게, 효애철황후,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나가카즈, 우에스기 사다카쓰, 우성전, 승정원일기, 요도 번, 요네자와 번, 요사팟 쿤체빅,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펠리페 4세, 장릉 (조선 인조), 장만, 장유, 장형 (조선), 장신, 히바 칸국의 역대 칸,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 페드로 2세, 페이튼 호 사건, 임해군, 폐빈 박씨, 폐비 유씨, 이경직, 이경석 (1595년), 이경항 (1601년), 이괄, 이괄의 난, 이기축, 이잠 (1581년), 이이, 이이첨, 이의잠, 이중로, 이지, 이지 (1598년), 이상의 (1560년), 이사벨 데 보르본, 이서 (1580년), 이서우 (1633년), 이안눌, 이식 (1584년), 이시명, 이원익, 이확, 인도의 역사, 인렬왕후, 인목왕후, 인조반정, 인조실록, 인헌왕후, 음력 3월 12일, 의암, 익성군 (1566년), 제2차 백년전쟁, 제임스타운 학살, 절강 시씨, 전성군 (1545년), 정명공주, 정문부, 정묘호란, 정구 (1543년), 정두원, 정이대장군, 정인홍, 정창손, 정휘옹주, 정여립, 정엽 (1563년), 조슈 번, 조익 (조선), 조지운, 조창원,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원종, 조선의 공신,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식 (1501년), 존 던, 좌의정, 중구 (서울특별시), 창의문, 천명 (후금), 천계 (명), 천계제,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춘천 칠층석탑, 추수감사절, 컴퓨터, 코네티컷 식민지, 쾰른의 브루노, 유몽인, 유형원, 윤방, 윤효전, 윤흔, 윤취지, 윤휴, 윤휘, 윤선도, 윤훤, 윌리엄 버드, 윌리엄 브루스터 (필그림), 윌리엄 페티, 파계사, 위리안치, 위충현, 위성공신, 상궁 김씨, 타타라 잉굴다이, 숭덕제, 숙의 허씨, 영가군, 영제군, 영창대군, 오다와라 번, 오스만 제국의 술탄, 오카자키 번, 호찌민 시, 호엔촐레른가,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가, 혼다 야스노리 (에도 시대), 혼조 번 (데와 국), 예수의 무덤, 최명길 (1586년), 어영청, 에도 막부, 에도성, 여산 송씨, 허균, 허후 (1588년),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키릴로스 루카리스, 사르후 전투, 사모셋, 사타케 요시타카 (1609년), 쓰가루 구마치요, 피에르 가상디, 피에르 드 페르마, 플리머스 식민지, 프리드리히 5세 폰 팔츠 선제후, 선제후, 성주군, 성직자성, 성영, 성혼, 서경덕, 서광계, 서인, 서악서원, 서원 철폐, 송갑조, 송희립, 소용 정씨 (광해군), 소의 윤씨, 소의 홍씨, 소종, 소현세자, 쇄국정책, 야코프 뵈메,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역사, 한효순, 한준겸, 한영, 안방준 (1573년), 하나부사 요시츠구, 하진보, 아베 마사쓰구, 아오야마 다다토시, 아사쿠라 시, 신립, 신경진 (1575년), 심기원, 심지원, 후쿠이 번, 후쿠오카 번, 홍명원, 홍우원, 홍주원, 홍서봉, 황해도, 와카도시요리, 1620년대, 17세기, 4월 11일, 6월 19일, 7월 8일, 8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50 더) »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1623년와 능창대군 · 더보기 »

능풍군

능풍군 이명(綾豐君 李佲, 1596년 ~ 1604년 11월)은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며 선조의 서손자(庶孫子)이.

새로운!!: 1623년와 능풍군 · 더보기 »

끼엔통

엔통()은 막 왕조 제8대 군주 막낀꿍(莫敬恭)의 연호이.

새로운!!: 1623년와 끼엔통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1623년와 덕수궁 · 더보기 »

도브랸카

브랸카()는 과거에는 페름 주에 속했으나, 현재는 페름 지방에 속해 있는 도시이.

새로운!!: 1623년와 도브랸카 · 더보기 »

도쿠가와 마사코

후쿠몬인 도쿠가와 마사코/가즈코(徳川和子, 1607년 11월 23일 - 1678년 9월 2일)는 에도 막부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徳川秀忠, 1579 ~ 1632)와 정실 스겐인(崇源院, 1573 ~ 1626)의 5녀이며,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1543 ~ 1616)의 손녀이.

새로운!!: 1623년와 도쿠가와 마사코 · 더보기 »

도쿠가와 다다나가

와 다다나가(1606년 - 1634년 1월 5일)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도쿠가와 다다나가 · 더보기 »

도쿠가와 히데타다

와 히데타다(1579년 7월 30일 ~ 1632년 3월 14일, 재위 1605년 ~ 1623년)는 에도 막부 제2대 쇼군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의 삼남이.

새로운!!: 1623년와 도쿠가와 히데타다 · 더보기 »

도쿠가와 이에미쓰

와 이에미쓰(1604년 8월 12일 ~ 1651년 6월 8일, 재위 1623년 - 1651년)는 일본 에도 막부의 제3대 쇼군이.

새로운!!: 1623년와 도쿠가와 이에미쓰 · 더보기 »

도쿠가와가 영묘

와 가문 영묘()는 1603년부터 1867년까지 존재했던 일본 에도 막부에서 세이이타이쇼군직을 역임한 도쿠가와 가문의 쇼군들의 무덤이.

새로운!!: 1623년와 도쿠가와가 영묘 · 더보기 »

롱타이

롱타이()은 막 왕조 제9대 군주 막낀코안(莫敬寬)의 연호이.

새로운!!: 1623년와 롱타이 · 더보기 »

로쿠고 마사노리

마사노리(1567년 ~ 1634년 5월 25일)는 센고쿠 시대에서 에도 시대 전기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로쿠고 마사노리 · 더보기 »

류림

림(柳琳, 1581년 2월 6일 ~ 1643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류림 · 더보기 »

류베르치

시 문장 류베르치()는 러시아 모스크바 주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156,691명(2002년 기준)이.

새로운!!: 1623년와 류베르치 · 더보기 »

류자신

자신(柳自新, 1541년 12월 ~ 1612년 2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1623년와 류자신 · 더보기 »

류큐국

국()은 동중국해의 남동쪽, 현재 일본 오키나와현 일대에 위치하였던 독립 왕국이.

새로운!!: 1623년와 류큐국 · 더보기 »

류희분

희분(柳希奮, 1564년 ~ 1623년)은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1623년와 류희분 · 더보기 »

맹세형

맹세형(孟世衡, 1588년 ~ 165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맹세형 · 더보기 »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새로운!!: 1623년와 만력제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마쓰다이라 노부쓰나(1596년 ~ 1662년)은 에도 시대 초기 로주를 역임한 후다이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598년)

마쓰다이라 다다마사()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598년) · 더보기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1595년)

마쓰다이라 다다나오(1595년 7월 16일(분로쿠 4년 음력 6월 10일) - 1650년 10월 5일(게이안 3년 음력 9월 10일))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1595년) · 더보기 »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마쓰다이라 사다쓰나()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 더보기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야스나오(1623년 6월 30일 ~ 1696년 3월 10일)는 에도 시대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히사마쓰 마쓰다이라가) · 더보기 »

마쓰시타 시게쓰나

마쓰시타 시게쓰나(1579년 ~ 1627년 11월 9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서 에도 시대 전기에 걸쳐 활동한 무장이자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마쓰시타 시게쓰나 · 더보기 »

마테우스 메리안

마테우스 메리안 마테우스 메리안이 그린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시가지 마테우스 메리안(1593년 9월 22일 ~ 1650년 6월 19일)은 스위스의 판화가, 지도 제작자이.

새로운!!: 1623년와 마테우스 메리안 · 더보기 »

막시밀리안 1세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1세 막시밀리안 1세(Maximilian I, 1573년 ~ 1651년)는 바이에른 공작(Herzog von Bayern, 1597년 ~ 1651년)이자 바이에른 선제후(Elector of Bayern, 1623년 ~ 1651년)이.

새로운!!: 1623년와 막시밀리안 1세 (바이에른) · 더보기 »

메릴랜드 식민지

메릴랜드 식민지(Province of Maryland)는 1632년에서 1776년까지 현재 미국 매릴랜드 주 지역에 존재했던 영국령 식민지이.

새로운!!: 1623년와 메릴랜드 식민지 · 더보기 »

메이플라워 호

리머스 항에 체류하고 있는 메이플라워호의 그림 메이플라워호(Mayflower)는 1620년 잉글랜드 남서부 플리머스에서 신대륙 아메리카 식민지, 현재의 매사추세츠 주 플리머스에 ‘필그림 파더스’라고 불리는 ‘청교도’(프로테스탄트) 개척자들을 수송한, 유명한 영국의 선박이.

새로운!!: 1623년와 메이플라워 호 · 더보기 »

메인 주

메인 주(State of Maine)는 미국 북동부 뉴잉글랜드의 가장 북쪽에 있는 주이.

새로운!!: 1623년와 메인 주 · 더보기 »

모르샨스크

모르샨스크 (러시아어: Морша́нск)는 탐보프 주에 위치한 도시이름이고, 츠나 강(오카 강의 지류)이 탐보프에서 북쪽으로 93km까지 흐르고 있. 인구는 4만4,486명 (2002년); 4만4,000명 (1970년)이.

새로운!!: 1623년와 모르샨스크 · 더보기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1553년 2월 4일 ~ 1625년 6월 2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한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모리 데루모토 · 더보기 »

모리 히데나리

모리 히데나리 모리 히데나리(1595년 11월 19일 ~ 1651년 2월 24일)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모리 히데나리 · 더보기 »

무라트 4세

무라트 4세(오스만 터키어: مراد رابع, 터키어: IV. Murat, 1612년 7월 26일 / 27일 ~ 1640년 2월 8일 / 9일)는 오스만 제국의 제17대 술탄이.

새로운!!: 1623년와 무라트 4세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1623년와 묘호 · 더보기 »

미나가와 히로테루

미나가와 히로테루 미나가와 히로테루(1548년 ~ 1628년 1월 28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미나가와 히로테루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바이에른 주

바이에른 자유주()는 독일 남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뮌헨이며 면적은 70,549.44km2, 인구 12,843,514명(2015년 기준)이.

새로운!!: 1623년와 바이에른 주 · 더보기 »

바이에른 선제후국

바이에른 선제후국()은 1623년부터 1806년까지 존재한,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국이.

새로운!!: 1623년와 바이에른 선제후국 · 더보기 »

박경신 (1560년)

박경신(朴慶新, 1560년 ~ 162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박경신 (1560년) · 더보기 »

박승종

박승종(朴承宗, 1562년 ~ 162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박승종 · 더보기 »

박지계

박지계(朴知誡, 1573년(선조 6) ∼ 1635년(인조 13))는 조선 중기, 후기의 유학자, 교육자이.

새로운!!: 1623년와 박지계 · 더보기 »

강홍립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 9월 6일(음력 7월 27일))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

새로운!!: 1623년와 강홍립 · 더보기 »

가르시아 1세 (콩고 왕국)

르시아 1세(Garcia I, 본명(本名)은 음벰바 야 응캉가 네 음벰바 은징가 아 응퀴우 아 은티누 데 가르시아(Mvemba ya Nkanga Ne Mbemba Nzinga a Nkuwu a Ntinu De Garcia), 1590년 ~ 1626년 3월 7일)는 17세기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623년와 가르시아 1세 (콩고 왕국) · 더보기 »

가메다 번

메다 번()은 데와노쿠니에 존재했던 번으로, 번주는 이와키 가문이며, 번청은 가메다 성이었.

새로운!!: 1623년와 가메다 번 · 더보기 »

가토 사다야스

사다야스(加藤貞泰)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친 무장·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가토 사다야스 · 더보기 »

겐나

(元和, げんな)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1623년와 겐나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이 항목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정치체제상 일종의 국가원수였던 역대 도제의 목록이.

새로운!!: 1623년와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 목록 · 더보기 »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베트남의 황태후는 딘 왕조가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중국과 같이 황제의 모후를 황태후라고 부른.

새로운!!: 1623년와 베트남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새로운!!: 1623년와 경희궁 · 더보기 »

고바리 번

바리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전기 히타치 국 쓰쿠바 군(筑波郡) 고바리(현 이바라키현 쓰쿠바미라이 시 고바리)에 있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고바리 번 · 더보기 »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리드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Gottfried Heinrich Graf zu Pappenheim; 1594년 5월 29일 ~ 1632년 11월 17일)은 30년 전쟁 때 신성로마제국의 육군원수이.

새로운!!: 1623년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추 파펜하임 백작 · 더보기 »

볼리비아의 역사

이 문서는 볼리비아의 역사에 대해 설명.

새로운!!: 1623년와 볼리비아의 역사 · 더보기 »

공빈 김씨

공빈 김씨(恭嬪 金氏, 1553년 11월 16일 ~ 1577년 6월 13일) 또는 공성왕후(恭聖王后)는 조선의 제 14대 임금 선조의 빈이자 추존왕후이며 임해군, 광해군 형제의 생모이.

새로운!!: 1623년와 공빈 김씨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1623년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계해

(癸亥)는 육십간지의 60번째(마지막)이.

새로운!!: 1623년와 계해 · 더보기 »

변승업

변승업(卞承業, 1623년 ∼ 1709년)은 조선 후기 사역원 소속 일본어 역관이.

새로운!!: 1623년와 변승업 · 더보기 »

광성군

광성군 이제길(廣城君 李悌吉, 1604년 ~ 1637년 5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포위된 인조를 구하다 순절하였.

새로운!!: 1623년와 광성군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1623년와 북인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1623년와 붕당 · 더보기 »

그레고리우스

리우스(라틴어: Gregorius)는 서양의 남성 이름으로서 "조심하다"라는 뜻을 지닌 고대 그리스어 그레고레오 (γρηγoρέω)에서 왔. 오늘날 각 나라의 언어에 따라 Gregorius는 약간씩 다르게 표기되고 발음.

새로운!!: 1623년와 그레고리우스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기자헌 · 더보기 »

브릴리아나 콘웨이 할리

브릴리아나 콘웨이 할리(Brilliana Conway Harley, 1598년 ~ 1643년 10월 29일)는 네덜란드 귀족 집안의 여식으로 출생한 영국 잉글랜드 귀부인이며 서간집 문필 작가이.

새로운!!: 1623년와 브릴리아나 콘웨이 할리 · 더보기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1623년 6월 19일~1662년 8월 19일)은 프랑스의 심리학자, 수학자, 과학자, 신학자, 발명가 및 작가이.

새로운!!: 1623년와 블레즈 파스칼 · 더보기 »

빈 대학교

빈 대학교의 교정 빈 대학교는 1365년에 세워진 오스트리아의 대학교이.

새로운!!: 1623년와 빈 대학교 · 더보기 »

빈또

빈또()는 후 레 왕조 제18대 황제 신종(神宗)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1623년와 빈또 · 더보기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1622년 2월 7일 ~ 1694년 3월 5일)는 토스카나 대공 페르디난도 2세 데 메디치의 배우자이.

새로운!!: 1623년와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 더보기 »

김류 (1571년)

(金瑬, 1571년 ~ 1648년 3월 5일)는 조선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김류 (1571년) · 더보기 »

김륵

륵(金玏, 1540년 ~ 1616년)은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김륵 · 더보기 »

김경징

경징(金慶徵, 1589년 ~ 1637년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김경징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1623년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김장생 · 더보기 »

김희철 (1519년)

희철(金希哲, 1519년 ~ 1592년 8월 1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의병장으로 본관은 김해(金海)이.

새로운!!: 1623년와 김희철 (1519년) · 더보기 »

김제남 (1562년)

제남(金悌男, 1562년 ~ 1613년 6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1623년와 김제남 (1562년)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1623년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징

징(金澄, 1623년 ~ 167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김징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1623년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1623년와 김육 · 더보기 »

김상로

상로(金尙魯, 1702년 1월 3일 ~ 1766년 12월 29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며 당색으로는 노론 벽파의 지도자였.

새로운!!: 1623년와 김상로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김상헌 · 더보기 »

김예직

예직(金禮直, 1565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무관이.

새로운!!: 1623년와 김예직 · 더보기 »

대진사

탑(大秦塔) 대진사(大秦寺)는, 중국에 전래된 경교(중국에 전해진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사원(교회)의 일반적 명칭이.

새로운!!: 1623년와 대진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1623년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교황 목록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된 교황들의 명단이 새겨진 대리석판. 라틴어로 표기된 교황들의 이름 옆에 있는 숫자는 해당 교황의 시신이 매장된 년도를 가리킨다. 이 문서는 《교황청 연감》의 ‘로마 교황들’(I Sommi Pontefici Romani)에 실린 교황 연대표를 토대로 작성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목록이.

새로운!!: 1623년와 교황 목록 · 더보기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황 그레고리오 15세(라틴어: Gregorius PP. XV,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V)는 제234대 교황(재위: 1621년 2월 9일 - 1623년 7월 8일)이.

새로운!!: 1623년와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 더보기 »

교황 대관식

황 대관식은 새 교황이 교황관을 수여받는 의식이.

새로운!!: 1623년와 교황 대관식 · 더보기 »

교황 우르바노 8세

황 우르바노 8세(라틴어: Urbanus PP. VIII, 이탈리아어: Papa Urbano VIII)는 제235대 교황(재위: 1623년 8월 6일 - 1644년 7월 29일)이.

새로운!!: 1623년와 교황 우르바노 8세 · 더보기 »

구로다 나가마사

마사의 가부토 구로다 나가마사(1568년 12월 21일 ~ 1623년 8월 4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 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구로다 나가마사 · 더보기 »

구로다 나가오키

오키 구로다 나가오키(1610년 5월 8일 ~ 1665년 5월 5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구로다 나가오키 · 더보기 »

구로다 다다유키

유키 구로다 다다유키(1602년 12월 22일 ~ 1654년 3월 30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구로다 다다유키 · 더보기 »

구인후

인후(具仁垕, 1578년 ~ 165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인조의 외사촌 형이.

새로운!!: 1623년와 구인후 · 더보기 »

둔덕면

덕면(屯德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새로운!!: 1623년와 둔덕면 · 더보기 »

남이흥

이흥(南以興, 1576년 ~ 162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자호, 호는 성은, 시호는 충장, 본관은 의령이.

새로운!!: 1623년와 남이흥 · 더보기 »

나주 오씨

주 오씨(羅州 吳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623년와 나주 오씨 · 더보기 »

뉴햄프셔 주

셔 주()는 뉴잉글랜드 북부에 있는 미국의 주이.

새로운!!: 1623년와 뉴햄프셔 주 · 더보기 »

뉴햄프셔 식민지

셔 식민지(Province of New Hampshire)는 1691년 10월 7일부터 1783년까지 현재 미국 뉴햄프셔의 영역에 존재한 북아메리카 영국 왕실령 식민지이.

새로운!!: 1623년와 뉴햄프셔 식민지 · 더보기 »

다카기 마사쓰구

마사쓰구 다카기 마사쓰구(1563년 ~ 1631년 1월 2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다카기 마사쓰구 · 더보기 »

다카다 번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에치고 국 내에 있던 번으로, 지금의 니가타현 조에쓰 시에 위. 후쿠시마 번(福嶋藩)으로 불렸으며, 분고 국의 다카다 번과 구분하기 위해 에치고 다카다 번(越後高田藩)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 번청은 다카다 성이.

새로운!!: 1623년와 다카다 번 · 더보기 »

다카쓰카사 다카코

쓰카사 다카코(應司孝子, 게이초(慶長) 7년(1602년 5월) ~ 엔포(延宝) 2년 6월 8일(1674년 7월 11일))은 에도 막부 제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미다이도코로이.

새로운!!: 1623년와 다카쓰카사 다카코 · 더보기 »

니조성

조 성 니노마루 어전의 전경 니조 성()은 일본 교토부 교토 시 나카교 구 니조도오리 호리가와에 있는 에도 시대 때 지어진 성으로 윤곽식 평성(坪城)이.

새로운!!: 1623년와 니조성 · 더보기 »

니카호 번

호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초기에 있던 데와노쿠니 유리 군(현재: 아키타현 니카호 시) 니카호에 위치했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니카호 번 · 더보기 »

니카호 기요시게

호 기요시게(1560년 ~ 1624년 4월 1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니카호 기요시게 · 더보기 »

효애철황후

효애철황후 장씨(孝哀悊皇后 張氏, 만력 38년 10월 6일(1610년 11월 20일) ~ 숭정 17년 3월 19일(1644년 4월 25일))는 천계제의 정실황후이.

새로운!!: 1623년와 효애철황후 · 더보기 »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에스기 가게카쓰(1556년 1월 8일 ~ 1623년 4월 19일)는 센고쿠 시대,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우에스기 가게카쓰 · 더보기 »

우에스기 나가카즈

우에스기/조조 나가카즈(덴쇼 2년(1582년) ~ 겐나 9년 음력 8월 24일(1623년 음력 9월 18일))는 에도 시대 초기의 하타모토이.

새로운!!: 1623년와 우에스기 나가카즈 · 더보기 »

우에스기 사다카쓰

우에스기 사다카쓰(1604년 6월 2일 ~ 1645년 10월 29일)는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요네자와 번의 2대 번주이.

새로운!!: 1623년와 우에스기 사다카쓰 · 더보기 »

우성전

우성전(禹性傳, 1542년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이.

새로운!!: 1623년와 우성전 · 더보기 »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 및 대한제국의 승정원에서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매일 기록한 일기 이.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

새로운!!: 1623년와 승정원일기 · 더보기 »

요도 번

요도 번()은 에도 시대 야마시로 국 내에 있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요도 번 · 더보기 »

요네자와 번

요네자와 번()은 일본 에도 시대에 있었던 번으로, 데와노쿠니 오키타마 군에 있었.

새로운!!: 1623년와 요네자와 번 · 더보기 »

요사팟 쿤체빅

성 요사팟 쿤체빅(1580년경 - 1623년 11월 12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치한 동방 가톨릭교회의 지체 가운데 하나인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의 수사이자 대주교이.

새로운!!: 1623년와 요사팟 쿤체빅 · 더보기 »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자작(子爵)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Henri de la Tour d'Auvergne, Vicomte de Turenne, 1611년 9월 11일 - 1675년 7월 27일)는 저명한 군인이자 프랑스 원수(元帥;Marshal of France)로써 흔히 튀렌(Turenne)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 유명한 가문인 라 투르 도베르뉴 가문 출신으로 프랑스 군사 역사상 단 6명만 임명된 프랑스 대원수(Marshal General of France)중 1명이었.

새로운!!: 1623년와 튀렌 자작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 · 더보기 »

펠리페 4세

리페 4세(Felipe IV, 1605년 4월 8일 ~ 1665년 9월 17일)는 스페인 국왕, 포르투갈 국왕, 나폴리 국왕, 시칠리아 국왕이.

새로운!!: 1623년와 펠리페 4세 · 더보기 »

장릉 (조선 인조)

주 장릉(坡州 長陵)은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있는,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이.

새로운!!: 1623년와 장릉 (조선 인조) · 더보기 »

장만

장만(張晩, 1566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장만 · 더보기 »

장유

장유(張維, 1588년 1월 22일(음력 1587년 12월 25일)∼1638년 4월 30일(음력 3월 1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장유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1623년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장신

장신(姜晉昕, ?~163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장신 · 더보기 »

히바 칸국의 역대 칸

히바 칸국의 역대 칸은 다음과 같.

새로운!!: 1623년와 히바 칸국의 역대 칸 · 더보기 »

페르디난트 2세

르디난트 2세(Ferdinand II, 1578년 ~ 1637년, 재위 기간 1619년 ~ 1637년)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1623년와 페르디난트 2세 · 더보기 »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

르디난트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1623년 10월 9일 ~ 1688년 1월 28일)는 벨기에의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1623년와 페르디난트 페르비스트 · 더보기 »

페드로 2세

2세(Pedro II, 본명(本名)은 피에르 응캉가 아 음비카 루아 은툼바 아 음웸바 야 음비카 데 페드로 아폰소(Pierre Nkanga a Mbika lua Ntumba a Mwemba ya Mvika de Pedro Afonso), 1572년 ~ 1624년 4월 27일)는 17세기 콩고 왕국 군왕 겸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었.

새로운!!: 1623년와 페드로 2세 · 더보기 »

페이튼 호 사건

이튼 호 사건(Phaeton Incident)는 1808년 10월 분카 5년, 쇄국 체제 하의 일본 나가사키 항에서 일어난 영국 군함 침입 사건이.

새로운!!: 1623년와 페이튼 호 사건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1623년와 임해군 · 더보기 »

폐빈 박씨

빈 박씨(廢嬪 朴氏, 1598년 ~ 1623년 음력 5월)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며느리이.

새로운!!: 1623년와 폐빈 박씨 · 더보기 »

폐비 유씨

비 류씨(廢妃 柳氏, 1576년 음력 7월 21일(8월 15일) ~ 1623년 음력 10월 8일(10월 31일))는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왕비(王妃)이.

새로운!!: 1623년와 폐비 유씨 · 더보기 »

이경직

이경직(李景稷, 1577년 ~ 164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이.

새로운!!: 1623년와 이경직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1623년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1623년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1623년와 이괄 · 더보기 »

이괄의 난

이괄의 난(李适—亂)은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이 조선 왕가 종실 흥안군 이제를 천립하며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1623년와 이괄의 난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기축 · 더보기 »

이잠 (1581년)

이잠(李埁, 1581년(선조 14년) ~ ?)은 조선 광해군 때의 문신, 외교관으로, 본관은 우계, 자는 여첨(汝瞻)이.

새로운!!: 1623년와 이잠 (1581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이이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의잠

이의잠(李宜潛, 1576년-163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의잠 · 더보기 »

이중로

이중로(李重老, 1577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진지, 호는 송계거사, 본관은 청해이.

새로운!!: 1623년와 이중로 · 더보기 »

이지

이지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1623년와 이지 · 더보기 »

이지 (1598년)

세자 이지(廢世子 李祬, 1598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 1623년 7월 22일 (음력 6월 25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이.

새로운!!: 1623년와 이지 (1598년) · 더보기 »

이상의 (1560년)

소릉 이상의 이상의(李尙毅, 1560년(명종 15) ∼ 1624년(인조 2))는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이상의 (1560년) · 더보기 »

이사벨 데 보르본

이사벨 데 보르본(1602년 11월 22일 ~ 1644년 10월 6일)은 프랑스의 공주로, 스페인 왕 펠리페 4세의 왕비이.

새로운!!: 1623년와 이사벨 데 보르본 · 더보기 »

이서 (1580년)

이서(李曙, 1580년 ~ 163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 왕족이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조 반정의 반정군 지휘관의 한사람이.

새로운!!: 1623년와 이서 (1580년)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1623년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안눌

이안눌(李安訥, 1571년 ~ 1637년)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안눌 · 더보기 »

이식 (1584년)

이식(李植, 1584년∼164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식 (1584년) · 더보기 »

이시명

이시명(李時明, 1590년 - 1674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이시명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이원익 · 더보기 »

이확

이확(李廓,1590년 ~ 1665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이확 · 더보기 »

인도의 역사

인도의 역사는 호모 에렉투스가 생활하던 시기인 50만년 전까지 소급될 수 있. 호모 사피엔스는 7만5천년 전 타밀 나두 지방에서 생활하기 시작하였.

새로운!!: 1623년와 인도의 역사 · 더보기 »

인렬왕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

새로운!!: 1623년와 인렬왕후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1623년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1623년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인조실록

《인조대왕실록》(仁祖大王實錄) 또는 《인조실록》(仁祖實錄)은 1623년 음력 3월부터 1649년 음력 5월까지 조선 인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1623년와 인조실록 · 더보기 »

인헌왕후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1578년 4월 17일 ~ 1626년 1월 14일)는 조선의 추존왕인 원종의 정비(正妃)이자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이.

새로운!!: 1623년와 인헌왕후 · 더보기 »

음력 3월 12일

음력 3월 12일은 음력 3월의 12번째 날이.

새로운!!: 1623년와 음력 3월 12일 · 더보기 »

의암

의암(義巖)은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성내 촉석루 아래에 남강변에 있는 바위로, 제2차 진주성 전투 직후 1593년 7월 29일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를 껴안고 남강에 빠져 죽은 바위이.

새로운!!: 1623년와 의암 · 더보기 »

익성군 (1566년)

익성군 이향령(益城君 李享齡, 1566년 3월 24일~ 1614년 7월 1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1623년와 익성군 (1566년) · 더보기 »

제2차 백년전쟁

1815년의 워털루 전투 제2차 백년 전쟁(Second Hundred Years War, 1689년 ~ 1815년)는 유럽의 국경 분쟁과 왕위 계승, 북아메리카 대륙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해외 식민지 쟁탈, 그리고 그들로 인한 미국의 독립,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제국을 배경으로 영국(잉글랜드)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일련의 전쟁의 총칭이.

새로운!!: 1623년와 제2차 백년전쟁 · 더보기 »

제임스타운 학살

''1622년 인디언 학살,'' 목판화, 매튜스 메리언, 1628. 제임스 타운 학살(Jamestown Massacre)은 1622년 3월 22일 성 금요일에 버지니아 식민지 제임스타운 주변의 정착촌에서 일어난 원주민 인디언과 백인 정착민들 사이에 일어난 분쟁 사건이.

새로운!!: 1623년와 제임스타운 학살 · 더보기 »

절강 시씨

절강 시씨(浙江施氏)는 중국에서 유래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623년와 절강 시씨 · 더보기 »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새로운!!: 1623년와 전성군 (1545년) · 더보기 »

정명공주

정명공주(貞明公主, 1603년 6월 27일(음력 5월 19일) ~ 1685년 9월 8일(음력 8월 10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이며 영창대군의 누나이.

새로운!!: 1623년와 정명공주 · 더보기 »

정문부

정문부(鄭文孚, 1565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란 일등 공신 좌찬성 대제학 의병장이.

새로운!!: 1623년와 정문부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1623년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1623년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두원

정두원(鄭斗源, 1581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호는 호정(壺亭), 본관은 광주(光州)이.

새로운!!: 1623년와 정두원 · 더보기 »

정이대장군

가마쿠라 막부를 세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초상. 정이대장군()은 일본의 영외관 장군직 중 하나이.

새로운!!: 1623년와 정이대장군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1623년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정창손 · 더보기 »

정휘옹주

정휘옹주(貞徽翁主, 1593년 ~ 1653년 음력 윤7월 15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1623년와 정휘옹주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정여립 · 더보기 »

정엽 (1563년)

정엽(鄭曄, 1563년 ~ 162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1623년와 정엽 (1563년) · 더보기 »

조슈 번

조슈 번()은 지금의 야마구치현에 해당하는 스오 국와 나가토 국의 2개 구니를 지배했던 일본 에도 시대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조슈 번 · 더보기 »

조익 (조선)

조익(趙翼, 1579년 5월 2일(음력 4월 7일)~ 1655년 4월 16일(음력 3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조익 (조선) · 더보기 »

조지운

조지운(趙之耘, 1637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화가이.

새로운!!: 1623년와 조지운 · 더보기 »

조창원

조창원 (趙昌遠, 1583년 ~ 164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1623년와 조창원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공신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1623년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1623년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존 던

존 던(1572년 1월 24일에서 6월 19일 사이~1631년 3월 31일)신부는 성공회 사제이자 시인이.

새로운!!: 1623년와 존 던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1623년와 좌의정 · 더보기 »

중구 (서울특별시)

중구(中區)는 서울특별시의 중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1623년와 중구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

새로운!!: 1623년와 창의문 · 더보기 »

천명 (후금)

명(天命)은 후금 태조 누르하치의 연호이.

새로운!!: 1623년와 천명 (후금) · 더보기 »

천계 (명)

(天啓)는 명나라 희종 천계제의 연호이.

새로운!!: 1623년와 천계 (명) · 더보기 »

천계제

제(天啓帝, 1605년 12월 23일 ~ 1627년 9월 30일)는 중국 명나라의 15대 황제(재위:1620년 ~ 1627년).

새로운!!: 1623년와 천계제 · 더보기 »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충정공 목서흠 묘역(忠貞公 睦叙欽 墓域)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인조 때 한성부 좌우윤을 지냈으며 백성을 위해 교화를 베풀고 청렴했던 목서흠의 묘역이.

새로운!!: 1623년와 충정공 목서흠 묘역 · 더보기 »

춘천 칠층석탑

층석탑(春川 七層石塔)은 강원도 춘천시 소양로 2가에 있는, 고려시대의 칠층석탑이.

새로운!!: 1623년와 춘천 칠층석탑 · 더보기 »

추수감사절

회에서 추수 감사절 추수감사절(秋收感謝節, Thanksgiving Day)은 전통적인 북아메리카의 휴일로 미국의 경우 11월 넷째 목요일에, 캐나다에서는 10월 둘째 월요일에.

새로운!!: 1623년와 추수감사절 · 더보기 »

컴퓨터

() 또는 셈틀은 수식이나 논리적 언어로 표현된 일련의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지시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치(device).

새로운!!: 1623년와 컴퓨터 · 더보기 »

코네티컷 식민지

켓 식민지의 뉴헤이븐과 세이브룩 코네티컷 식민지(Connecticut Colony)는 1636년에서 1776년까지 북아메리카, 현재 미국 코네티컷 지역에 존재했던 영국령 식민지이.

새로운!!: 1623년와 코네티컷 식민지 · 더보기 »

쾰른의 브루노

른의 브루노(1130년 - 1101년 10월 6일)은 로마 가톨릭교회 성인이자 수도사제이며, 카르투시오 수도회의 창설자이.

새로운!!: 1623년와 쾰른의 브루노 · 더보기 »

유몽인

유몽인(柳夢寅, 1559년~1623년)은 선조대 (조선 14대 왕; 재위: 1567-1608)대와 광해군대 (조선 15대 왕, 인조반정으로 퇴위; 재위: 1608-1623)의 학자, 문인이.

새로운!!: 1623년와 유몽인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1623년와 유형원 · 더보기 »

윤방

윤방(尹昉, 1563년 6월 22일 ~ 1640년 8월)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윤방 · 더보기 »

윤효전

윤효전 영정 윤효전(尹孝全, 1563년 - 1619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윤효전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윤흔 · 더보기 »

윤취지

윤취지(尹就之, 1583년 음력 윤 2월 24일 - 1644년 2월 18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윤취지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윤휴 · 더보기 »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윤휘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1623년와 윤선도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1623년와 윤훤 · 더보기 »

윌리엄 버드

섬네일 윌리엄 버드(William Byrd, 1543년 ~ 1623년 7월 4일)는 영국의 작곡가이.

새로운!!: 1623년와 윌리엄 버드 · 더보기 »

윌리엄 브루스터 (필그림)

윌리엄 브루스터 윌리엄 브루스터(Elder William Brewster, 1560년경 또는 1566년 – 1643년 4월 10일)는 잉글랜드 돈카스터에서 태어난 필그림 개척자의 지도자이자 설교자였.

새로운!!: 1623년와 윌리엄 브루스터 (필그림) · 더보기 »

윌리엄 페티

섬네일 윌리엄 페티 경(Sir William Petty, 1623년 5월 26일~1687년 12월 16일)은 영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윌리엄 페티 · 더보기 »

파계사

사(把溪寺)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동화사의 말사이.

새로운!!: 1623년와 파계사 · 더보기 »

위리안치

위리안치(圍籬安置)는 중죄인에 대한 유배형 중의 하나이.

새로운!!: 1623년와 위리안치 · 더보기 »

위충현

위충현(魏忠賢, 1568년 2월 27일 - 1627년 12월 11일)은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환관 겸 정치가이.

새로운!!: 1623년와 위충현 · 더보기 »

위성공신

위성공신(衛聖功臣)은 1613년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이천, 전주로 호종하고 광해군의 항일 활동을 보좌하는 데 공을 세운 80명의 공신들을 3등급으로 나누어 책록한 공신이.

새로운!!: 1623년와 위성공신 · 더보기 »

상궁 김씨

상궁 김씨(생년 미상 ~ 1623년)는 선조, 광해군 때의 상궁으로, 본명은 김개시(金介屎)이.

새로운!!: 1623년와 상궁 김씨 · 더보기 »

타타라 잉굴다이

잉굴다이(1596년 ~ 1648년 2월 24일)는 청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1623년와 타타라 잉굴다이 · 더보기 »

숭덕제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한이자, 청 제국의 개국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

새로운!!: 1623년와 숭덕제 · 더보기 »

숙의 허씨

숙의 허씨(淑儀 許氏, ? ~ 1623년 이후)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이.

새로운!!: 1623년와 숙의 허씨 · 더보기 »

영가군

영가군 이효길(永嘉君 李孝吉, 1599년 ∼ 1637년)은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포위된 인조를 구하다 전사하였다.

새로운!!: 1623년와 영가군 · 더보기 »

영제군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錫齡, 1568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선조의 중형(仲兄) 하릉군의 양자이.

새로운!!: 1623년와 영제군 · 더보기 »

영창대군

영창대군(永昌大君, 1606년 4월 12일/음력 3월 6일 ~ 1614년 3월 19일/음력 2월 10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그의 계비 인목왕후의 아들이.

새로운!!: 1623년와 영창대군 · 더보기 »

오다와라 번

오다와라 번()은 에도 시대 사가미 국 아시가라시모 군을 지배했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오다와라 번 · 더보기 »

오스만 제국의 술탄

오스만 제국 술탄은 오스만 제국의 군주로 오스만 가문 출신이.

새로운!!: 1623년와 오스만 제국의 술탄 · 더보기 »

오카자키 번

오카자키 번()은 일본 에도 시대 미카와 국 내에 있던 번으로, 지금의 아이치현 동부에 속해 있었.

새로운!!: 1623년와 오카자키 번 · 더보기 »

호찌민 시

호찌민 시(胡志明市, 호지명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사이공 강과 동나이 강 하류에 자리잡고 있.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 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

새로운!!: 1623년와 호찌민 시 · 더보기 »

호엔촐레른가

호엔촐레른 가는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로이센 왕, 독일 황제(프랑켄계), 호엔촐레른 공국의 통치자와 루마니아의 왕(슈바벤계)을 배출한 가문을 말. 가문은 본래 슈바벤의 귀족 출신이.

새로운!!: 1623년와 호엔촐레른가 · 더보기 »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가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왕가(House of Hohenzollern-Sigmaringen)는 프로이센의 국왕과 독일 제국의 황제를 배출한 호엔촐레른 왕가의 분가로,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의 후작과 루마니아 왕국의 국왕을 배출한 가문이.

새로운!!: 1623년와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가 · 더보기 »

혼다 야스노리 (에도 시대)

혼다 야스노리 혼다 야스노리(1579년 ~ 1623년 11월 17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혼다 야스노리 (에도 시대) · 더보기 »

혼조 번 (데와 국)

혼조 번()은 일본 데와 국 유리 군에 있었던 번이.

새로운!!: 1623년와 혼조 번 (데와 국) · 더보기 »

예수의 무덤

예수의 무덤은 기독교에서 예수가 매장된 후 부활했다고 믿어지는 분묘이.

새로운!!: 1623년와 예수의 무덤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1623년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어영청

어영청(御營廳)은 1623년(인조 1년) 설치된 5군영 중 3군문(三軍門)의 하나이.

새로운!!: 1623년와 어영청 · 더보기 »

에도 막부

에도 막부() 또는 도쿠가와 막부(徳川幕府)는 일본사에서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에 이어 일본사에서 세 번째로 나타난 최후의 막부이.

새로운!!: 1623년와 에도 막부 · 더보기 »

에도성

주 다리와 후시미 망루 에도성()은 도쿄도 지요다 구 지요다에 있는 윤곽식 평산성이.

새로운!!: 1623년와 에도성 · 더보기 »

여산 송씨

여산 송씨(礪山 宋氏)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1623년와 여산 송씨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1623년와 허균 · 더보기 »

허후 (1588년)

후(許厚, 1588년 ~ 1661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1623년와 허후 (1588년) · 더보기 »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엘리자베스 스튜어트(Elizabeth Stuart, 1596년 8월 19일 ~ 1662년 2월 13일)은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의 아내이.

새로운!!: 1623년와 엘리자베스 스튜어트 · 더보기 »

키릴로스 루카리스

릴로스 루카리스(1572년 11월 13일 - 1638년 6월 27일)는 당시 베네치아 공화국령이었던 크레타 섬의 칸디아 출신의 그리스 정교회 수석 주교이자 신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키릴로스 루카리스 · 더보기 »

사르후 전투

사르후 전투()는 1619년 명나라에 쳐들어오는 후금에 대항하기 위해 명나라, 조선, 여진족까지 참전한 대전.

새로운!!: 1623년와 사르후 전투 · 더보기 »

사모셋

림에게 영어로 말을 거는 사모셋 (수트로 도서관, 샌프란시스코) 사모셋(Samoset, 약 1590년 – 1653년)은 1621년 3월 16일 필그림 파더스와 접촉한 최초의 미국 인디언이.

새로운!!: 1623년와 사모셋 · 더보기 »

사타케 요시타카 (1609년)

사타케 요시타카 사타케 요시타카(1609년 2월 18일 ~ 1672년 1월 4일)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사타케 요시타카 (1609년) · 더보기 »

쓰가루 구마치요

쓰가루 구마치요(1600년 ~ 1623년 1월 18일)는 쓰가루 노부타케(津軽信建)의 맏아들이며, 히로사키 번 초대 번주 쓰가루 다메노부(津軽為信)의 손자이.

새로운!!: 1623년와 쓰가루 구마치요 · 더보기 »

피에르 가상디

에르 가상디 ''Romanum calendarium'' 피에르 가상디(1592년 1월 22일 ~ 1655년 10월 24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수학자·철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피에르 가상디 · 더보기 »

피에르 드 페르마

에르 드 페르마(1601년 8월 17일~1665년 1월 12일)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피에르 드 페르마 · 더보기 »

플리머스 식민지

리머스 식민지 지도 플리머스 식민지(Plymouth Colony, New Plymouth, The Old Colony)는 1620년부터 1691년까지 북아메리카에 개척된 영국 식민지의 선구 지역이.

새로운!!: 1623년와 플리머스 식민지 · 더보기 »

프리드리히 5세 폰 팔츠 선제후

리드리히 5세 프리드리히 5세(Friedrich V, 1596년 8월 26일 ~ 1632년 11월 29일)는 라인팔츠의 선제후이자 보헤미아의 왕으로 1610년 ~ 1620년에 재위했으며, 보헤미아의 국왕 프리드리흐()에 해당.

새로운!!: 1623년와 프리드리히 5세 폰 팔츠 선제후 · 더보기 »

선제후

선제후 회의 삽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쾰른 대주교, 마인츠 대주교, 트리어 대주교, 라인 궁중백, 작센 공,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그리고 보헤미아 국왕) 선제후(選帝侯)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선정하는 역할을 하였던 신성로마제국의 선거인단이.

새로운!!: 1623년와 선제후 · 더보기 »

성주군

성주군(星州郡)은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군으로, 동쪽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칠곡군, 서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김천시, 남쪽으로는 경상남도 거창군과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합천군과 경계를 이. 군청 소재지는 성주읍이고, 행정 구역은 1읍 9면이.

새로운!!: 1623년와 성주군 · 더보기 »

성직자성

성직자성(聖職者省)은 수도회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사제들과 부제들에 관한 문제와 감독을 책임지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

새로운!!: 1623년와 성직자성 · 더보기 »

성영

성영(成泳, 1547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을 맡았고 후에 여러 벼슬들을.

새로운!!: 1623년와 성영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1623년와 성혼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1623년와 서경덕 · 더보기 »

서광계

서광계(1562년 4월 24일 ~ 1633년 11월 10일)는 중국 명나라 후기의 정치가이자 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서광계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1623년와 서인 · 더보기 »

서악서원

서악서원(西嶽書院)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1623년와 서악서원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1623년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갑조

송갑조 영정 송갑조(宋甲祚, 1574년 ∼ 1628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송갑조 · 더보기 »

송희립

송희립(宋希立, 1553년~1623년 12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수군으로 활약하였.

새로운!!: 1623년와 송희립 · 더보기 »

소용 정씨 (광해군)

소용 정씨(昭容 鄭氏, ? ~ 1623년 음력 3월 13일)는 조선의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이.

새로운!!: 1623년와 소용 정씨 (광해군) · 더보기 »

소의 윤씨

소의 윤씨(昭儀 尹氏, ? ~ 1623년 음력 3월 14일)는 조선의 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이.

새로운!!: 1623년와 소의 윤씨 · 더보기 »

소의 홍씨

소의 홍씨(昭儀 洪氏, ? ~ 1623년 이후)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이.

새로운!!: 1623년와 소의 홍씨 · 더보기 »

소종

소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623년와 소종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1623년와 소현세자 · 더보기 »

쇄국정책

경주박물관 척화비 쇄국정책(鎖國政策)은 말뜻은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정책을 말하며, 정치·외교·통상에서는 이윤의 확보나 자기 방위 및 국제적 고립 상태의 유지가 불가피할 때 외국인의 입국이나 무역을 통제하는 정책을 일컫.

새로운!!: 1623년와 쇄국정책 · 더보기 »

야코프 뵈메

야콥 뵈메 야콥 뵈메 (Jakob Bohme, 1575년 - 1624년 11월 17일)는 독일의 신비주의자이.

새로운!!: 1623년와 야코프 뵈메 · 더보기 »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알브레히트 벤첼 오이제비우스 폰 발렌슈타인(또는 발트슈타인(Waldstein),, 1583년 9월 24일 ~ 1634년 2월 25일)은 보헤미아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30년 전쟁 중 30,000명에서 100,000명에 달하는 병력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페르디난트 2세 황제에 충성하는 사령관으로 활약.

새로운!!: 1623년와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1623년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1623년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효순

효순(韓孝純, 1543년 ~ 16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

새로운!!: 1623년와 한효순 · 더보기 »

한준겸

준겸(韓浚謙, 1557년 ~ 1627년)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한준겸 · 더보기 »

한영

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1623년와 한영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1623년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하나부사 요시츠구

부사 요시쓰구(1581년 ~ 1641년)는 일본 에도 시대 전기에 활동했던 에도 막부의 하타모토이.

새로운!!: 1623년와 하나부사 요시츠구 · 더보기 »

하진보

보(河晉寶, 1530년 6월 4일 ~ 1585년 10월 5일『하진보 행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하진보 · 더보기 »

아베 마사쓰구

아베 마사쓰구(阿部正次)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

새로운!!: 1623년와 아베 마사쓰구 · 더보기 »

아오야마 다다토시

아오야마 다다토시(青山忠俊)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

새로운!!: 1623년와 아오야마 다다토시 · 더보기 »

아사쿠라 시

아사쿠라 시()는 일본 후쿠오카현 중남부의 시이.

새로운!!: 1623년와 아사쿠라 시 · 더보기 »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신립 · 더보기 »

신경진 (1575년)

신경진(申景禛, 1575년 ∼ 1643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1623년와 신경진 (1575년)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심기원 · 더보기 »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심지원 · 더보기 »

후쿠이 번

후쿠이 번()은 에도 시대 에치젠 국에 있던 번으로, 지금의 후쿠이현 레이호쿠 중심부를 지배하였.

새로운!!: 1623년와 후쿠이 번 · 더보기 »

후쿠오카 번

후쿠오카 번()은 일본 에도 시대 지쿠젠 1국을 지배했던 번으로, 지금의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시에 위. 지쿠젠 번(筑前藩)으로도 불리며, 번주가 도자마 다이묘인 구로다 가문(黒田氏)이었기 때문에 구로다 번(黒田藩)이라는 속칭도 있. 번청은 후쿠오카 성에 두었.

새로운!!: 1623년와 후쿠오카 번 · 더보기 »

홍명원

홍명원(洪命元, 1573년~1623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낙부(樂夫), 호는 해봉(海峰).

새로운!!: 1623년와 홍명원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1623년와 홍우원 · 더보기 »

홍주원

영안위 홍주원(永安尉 洪柱元, 1606년《국역 국조인물고》 권6 국척(國戚) 홍주원의 비명(碑銘) ~ 1672년 11월 3일(음력 9월 14일))은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인 정명공주(貞明公主)의 남편이.

새로운!!: 1623년와 홍주원 · 더보기 »

홍서봉

홍서봉(洪瑞鳳,1572년~16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1623년와 홍서봉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1623년와 황해도 · 더보기 »

와카도시요리

와카도시요리()는 로주를 보좌하고 하타모토를 감독하던 에도 막부의 관직명이.

새로운!!: 1623년와 와카도시요리 · 더보기 »

1620년대

1620년대는 1620년부터 162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1623년와 1620년대 · 더보기 »

17세기

17세기는 1601년부터 1700년까지이.

새로운!!: 1623년와 17세기 · 더보기 »

4월 11일

4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1번째(윤년일 경우 1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23년와 4월 11일 · 더보기 »

6월 19일

6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0번째(윤년일 경우 17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23년와 6월 19일 · 더보기 »

7월 8일

7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9번째(윤년일 경우 19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23년와 7월 8일 · 더보기 »

8월 6일

8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8번째(윤년일 경우 21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1623년와 8월 6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