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기황후

색인 기황후

황후(奇皇后, 1315년 ~ 1369년)는 원나라 혜종의 세 번째 제1카툰이.

44 처지: 동녕부, 메르키트 바얀, 무나시리 카툰, 바얀 후투그 카툰, 박불화, 고려 공민왕, 고려 충숙왕, 고려 충선왕, 고용보, 공녀, 권황후, 기 (성씨), 기관, 기자오, 기철, 기윤숙, 기황후 (드라마), 기황후 묘, 김우석 (배우), 김진우 (2006년), 김혜리 (배우), 김예령, 김형범 (배우), 김원봉 (고려),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사 목록, 장안사 (금강군), 이행검 (1225년), 정재민, 조선 태조, 친원파, 온기라트, 최영, 행주 기씨, 염제신, 토크토아, 하즙, 하지원의 작품 목록, 하연 (1376년),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신돈 (드라마), 원 혜종, 후궁 (중국), 황후, 1369년.

동녕부

원 간섭기 시기 고려의 영토이다. 갈색이 동녕부 동녕부(東寧府)는 원나라가 고려 서경을 편입한 후 설치한 통치기관이.

새로운!!: 기황후와 동녕부 · 더보기 »

메르키트 바얀

메르키트 바얀(? ~ 1340년)은 메르키트족 출신으로 원나라 토곤 테무르 황제 시절의 아스트 족 친위군 사령관이었.

새로운!!: 기황후와 메르키트 바얀 · 더보기 »

무나시리 카툰

무나시리(1307년 ~ 1372년)는 원 혜종(元惠宗)의 제3황후이. 원나라에서 대대로 황후를 배출한 옹기라트(弘吉剌) 씨족이.

새로운!!: 기황후와 무나시리 카툰 · 더보기 »

바얀 후투그 카툰

바얀 후투그 또는 바얀 후두(), 1324년 ~ 1365년 9월 7일)는 원나라 황제 혜종의 계후이다. 맞이한 순서로 따지면 두 번째 제1황후가 된다.(제1황후 다나슈리 폐위 후 맞이한 정궁황후) 대대로 황후를 배출한 옹기라트 부족 출신이다.

새로운!!: 기황후와 바얀 후투그 카툰 · 더보기 »

박불화

박불화(朴不花,, ? ~ 1364년)는 원나라의 환관이.

새로운!!: 기황후와 박불화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기황후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새로운!!: 기황후와 고려 충숙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기황후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용보

용보(高龍普, 생년 미상 ~ 1362년)는 고려 후기의 환관이.

새로운!!: 기황후와 고용보 · 더보기 »

공녀

공녀(貢女)는 약소국이 강대국에 조공의 하나로 여자를 바치는 것을 의미.

새로운!!: 기황후와 공녀 · 더보기 »

권황후

황후(權皇后, ? - 1378년?)는 고려 출신 여성으로 원 소종의 황후이.

새로운!!: 기황후와 권황후 · 더보기 »

기 (성씨)

(奇, 箕)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기황후와 기 (성씨) · 더보기 »

기관

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기황후와 기관 · 더보기 »

기자오

자오(奇子敖, 1266년 ~ 1328년)은 고려 후기의 무관 관료이.

새로운!!: 기황후와 기자오 · 더보기 »

기철

(奇轍, ?~1356년)은 고려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친원파 권문세족의 일원이었.

새로운!!: 기황후와 기철 · 더보기 »

기윤숙

윤숙(奇允肅, ? ~ 1257년 4월 27일)은 고려의 관료이.

새로운!!: 기황후와 기윤숙 · 더보기 »

기황후 (드라마)

황후(奇皇后)는 2013년 10월 28일부터 2014년 4월 29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기황후와 기황후 (드라마) · 더보기 »

기황후 묘

황후 묘는 중국 원나라의 마지막 황후인 기황후의 묘로 추정되는 묘이.

새로운!!: 기황후와 기황후 묘 · 더보기 »

김우석 (배우)

우석(1996년 6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우석 (배우) · 더보기 »

김진우 (2006년)

우(2006년 3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진우 (2006년) · 더보기 »

김혜리 (배우)

혜리(1969년 12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혜리 (배우) · 더보기 »

김예령

예령(개명(改名) 前 이름은 김윤미, 1966년 3월 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예령 · 더보기 »

김형범 (배우)

형범(1974년 11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형범 (배우) · 더보기 »

김원봉 (고려)

원봉(金元鳳, ? ~ 1359년)은 고려시대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김원봉 (고려)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사 목록

음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사 목록이.

새로운!!: 기황후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사 목록 · 더보기 »

장안사 (금강군)

장안사(長安寺)는 강원도 금강산의 내금강 지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기황후와 장안사 (금강군) · 더보기 »

이행검 (1225년)

이행검(李行儉, 1225년 ~ 1310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이행검 (1225년) · 더보기 »

정재민

정재민(1996년 11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아티스트이.

새로운!!: 기황후와 정재민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기황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친원파

원파는 고려 시대 친 몽골(원나라) 세력으로서 반란을 일으킨 사람을 가리.

새로운!!: 기황후와 친원파 · 더보기 »

온기라트

옹기라트 또는 홍기라트 (Onggirat 또는 Khunggirat, 몽골어: Хунгирад 중국어: 弘吉剌, Hongjila)는 몽골 제국의 황후족이었.

새로운!!: 기황후와 온기라트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기황후와 최영 · 더보기 »

행주 기씨

행주 기씨(幸州 奇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기황후와 행주 기씨 · 더보기 »

염제신

염제신(廉悌臣, 1304년 10월 30일 ~ 1382년 3월 18일)은 고려 후기 문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염제신 · 더보기 »

토크토아

아 (1314년 ~ 1355년)는 원나라의 승상이자 권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토크토아 · 더보기 »

하즙

즙(河楫)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하즙 · 더보기 »

하지원의 작품 목록

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하지원의 작품 목록이.

새로운!!: 기황후와 하지원의 작품 목록 · 더보기 »

하연 (1376년)

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기황후와 하연 (1376년) · 더보기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소종 아유르시리다르(元 昭宗 愛猷識理答臘, 1338년 1월 23일 ~ 1378년 5월, 재위: 1370년 5월 23일 ~ 1378년 5월)은 북원의 제2대 황제이며 원나라로는 12대 황제,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는 17대 대칸이.

새로운!!: 기황후와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 더보기 »

신돈 (드라마)

《신돈》(辛旽)은 문화방송에서 2005년 9월 24일부터 2006년 5월 7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기황후와 신돈 (드라마) · 더보기 »

원 혜종

원 혜종 토곤테무르(元 惠宗 妥懽帖睦爾, 1320년 ~ 1370년) 혹은 원 순제(元 順帝)는 원나라의 제11대 칸(재위: 1333년 ~ 1368년)이.

새로운!!: 기황후와 원 혜종 · 더보기 »

후궁 (중국)

중국의 후궁은 중화민국 이전 중국 대륙에 존재했던 옛 국가의 역대 중국 제왕(帝王)의 측실(側室·妾室)을 가리.

새로운!!: 기황후와 후궁 (중국) · 더보기 »

황후

황후(皇后)는 황제의 정실 부인으로, 궁정에서 태상황태후와 태황태후와 황태후 다음으로 높은 자리를.

새로운!!: 기황후와 황후 · 더보기 »

13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기황후와 1369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기 황후, 보현숙성황후, 보현숙성황후 기씨, 솔롱고 올제이 후투그, 완자홀도, 완자홀도 2황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