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종직

색인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155 처지: 류규, 류자광, 류인숙, 류순정, 무오사화, 문정왕후 (조선), 묘호, 방유령, 박팽년, 박상, 밀양시, 보성군 (1416년), 본관, 곽재우, 권경유, 권근, 권우 (1363년), 부관참시, 근빈 박씨, 귀인 권씨 (덕종), 기묘사화, 길재, 금오서원, 김 (성씨), 김봉곤, 김굉필, 김담, 김효원, 김자점, 김장생, 김인후, 김일손, 김전, 김종직 종가 고문서, 김질 (1422년), 김수항, 김숙자 (1389년), 김안국, 김식 (1482년), 김시습, 대방부부인 송씨, 대박산 (평양), 구미시, 남곤, 남효온, 남포 (1489년),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노수신, 노사신, 단군릉, ..., 단속사지, 장현광, 임희재 (1472년), 임영대군, 임사홍, 이 달의 문화 인물, 이맹전, 이목 (1471년), 이극돈, 이기 (1476년), 이구지, 이재인 (조선), 이이, 이존록, 이준경, 이색, 이수형 (1435년), 이영후, 이언적, 이세좌, 이심원, 인왕산 백운동 계곡, 정몽주, 정견 (1427년), 정보 (조선), 정분, 정효항, 정승조 (조선), 정희량, 정인지, 정지운, 정창손, 정여창, 정여창 (1450년), 정여해, 조광조, 조자지, 조의제문, 조위 (1454년),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의 유학자, 주목, 청구 (고조선), 초 의제, 충주 박씨, 유교, 유숭조, 유호인, 윤변 (인물), 윤관 (1490년), 윤흔, 윤은필, 윤증, 윤필상, 생육신, 태종무열왕, 옥천서원 (전남), 예림서원, 어우동, 양녕대군, 허균, 허자, 표연말, 사림파, 사소부인 (신라), 사화, 선도성모 설화, 선산 김씨, 설중매, 성리학, 성담수, 성승, 성희안, 성이성, 성종실록, 성혼, 성삼문, 서경덕, 송시열, 소동파 시선, 소혜왕후, 소식 (북송), 함평 모씨,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항우, 한명회, 한명회 (드라마), 한국의 유교, 한국의 역사, 안의면, 학조, 학사루, 신용개,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숙주, 심의겸, 심정 (1471년), 훈구파, 홍가신, 홍달손, 홍유손, 왕과 비, 8월 1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5 더) »

류규

(柳規, 1400년 - 1473년 2월 10일)는 조선시대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류규 · 더보기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새로운!!: 김종직와 류인숙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김종직와 류순정 · 더보기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김종직와 무오사화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김종직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김종직와 묘호 · 더보기 »

방유령

방유녕(方有寧, 1460년 ∼ 15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방유령 · 더보기 »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박팽년 · 더보기 »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박상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종직와 밀양시 · 더보기 »

보성군 (1416년)

보성군(寶城君, 1416년 ~ 1499년 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 무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보성군 (1416년) · 더보기 »

본관

본관(本貫)은 시조(始祖)의 관향, 곧 고향을 뜻하며, 본적(本籍), 본(本), 관향(貫鄕)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김종직와 본관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김종직와 곽재우 · 더보기 »

권경유

경유(權景裕, ? ~ 1498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권경유 · 더보기 »

권근

(權近, 1352년~140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권근 · 더보기 »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새로운!!: 김종직와 권우 (1363년) · 더보기 »

부관참시

존 위클리프의 부관화형 부관참시(剖棺斬屍) 또는 부관참두(剖棺斬頭), 육시(戮屍)는 이미 사망한 사람이 사망 후에 큰 죄가 드러났을 때 처하는 극형을 말. 이 극형은 무덤에서 관을 꺼내어, 그 관을 부수고 시신을 참수하는 것으로,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형벌로 여겨졌으나, 부관참시 자체는 명예형이.

새로운!!: 김종직와 부관참시 · 더보기 »

근빈 박씨

빈 박씨(謹嬪 朴氏, 1425년《조선왕조실록》연산 55권, 10년(1504년 갑자 / 명 홍치(弘治) 17년) 9월 4일(신묘) 5번째기사. ~ ?)는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후궁이.

새로운!!: 김종직와 근빈 박씨 · 더보기 »

귀인 권씨 (덕종)

인 권씨(貴人 權氏, ? ~ 1494년 음력 4월 26일)는 조선의 추존왕 덕종(의경세자)의 후궁이.

새로운!!: 김종직와 귀인 권씨 (덕종)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김종직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길재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길재 · 더보기 »

금오서원

오서원(金烏書院)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김종직와 금오서원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봉곤

봉곤(金鳳坤, 1967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한학 교육가 겸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봉곤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굉필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담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효원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김종직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전 · 더보기 »

김종직 종가 고문서

종직 종가 고문서(金宗直 宗家 古文書)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영남사림파의 종장인 김종직이나 그의 후손들과 관련된 것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종직 종가 고문서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김종직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숙자 (1389년)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안국 · 더보기 »

김식 (1482년)

식(金湜, 1482년 ~ 152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식 (1482년) · 더보기 »

김시습

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김시습 · 더보기 »

대방부부인 송씨

방부부인 송씨(帶方府夫人, ? ~ 1507년)는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의 여덟째 아들 영응대군의 첫 부인이며, 단종의 부인 정순왕후의 친고모이.

새로운!!: 김종직와 대방부부인 송씨 · 더보기 »

대박산 (평양)

박산(大朴山)은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있는 산이.

새로운!!: 김종직와 대박산 (평양) · 더보기 »

구미시

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종직와 구미시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남곤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남효온 · 더보기 »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남포 (1489년) · 더보기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 유홍준이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화유산을 답사하며 관련된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소개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설명한 기행문이.

새로운!!: 김종직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더보기 »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노수신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노사신 · 더보기 »

단군릉

릉(檀君陵)은 평양직할시 대성구역에서 22 km 떨어진 강동군에 위치한 대리석으로 지어진 돌무지무덤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를 고조선의 지도자였던 단군(과 그의 부인)의 능이라고 주장.

새로운!!: 김종직와 단군릉 · 더보기 »

단속사지

속사지(斷俗寺址)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번지 마을 한가운데 단속사터를 말.

새로운!!: 김종직와 단속사지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장현광 · 더보기 »

임희재 (1472년)

임희재(任熙載, 1472년 ~ 1504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서예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임희재 (1472년) · 더보기 »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새로운!!: 김종직와 임영대군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임사홍 · 더보기 »

이 달의 문화 인물

이 달의 문화 인물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가 1990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재발굴하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선정했던 인물들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 달의 문화 인물 · 더보기 »

이맹전

이맹전(李孟專, 1392년 ~ 1480년)은 조선 단종 때 문신,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맹전 · 더보기 »

이목 (1471년)

이목(李穆, 1471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목 (1471년)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극돈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구지

현주 이구지(縣主 李仇之, ? ~ 1489년 3월 7일)는 조선 초기의 왕족, 기생으로,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8번째 서녀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구지 · 더보기 »

이재인 (조선)

이재인(李在仁, ? - ?)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재인 (조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이 · 더보기 »

이존록

《이존록(彛尊錄)》은, 조선 전기 사림의 영수였던 김종직이 아버지 김숙자의 행적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 편집하여 간행한 책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존록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색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영후

이영후(1940년 7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영후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세좌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세좌 · 더보기 »

이심원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이심원 · 더보기 »

인왕산 백운동 계곡

인왕산 백운동 계곡(仁王山 白雲洞 溪谷)은 서울특별시 인왕산 자락 자하문터널 상부 일대의 계곡으로, 백운동천의 서북쪽 일대의 상류부를 일컫.

새로운!!: 김종직와 인왕산 백운동 계곡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몽주 · 더보기 »

정견 (1427년)

정견(鄭堅, 1427년(세종 9년)~1514년(중종 9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견 (1427년)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분 · 더보기 »

정효항

정효항(鄭孝恒,?~?).

새로운!!: 김종직와 정효항 · 더보기 »

정승조 (조선)

정승조(鄭承祖)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교육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승조 (조선) · 더보기 »

정희량

정희량(鄭希良, 1469년 ~ ?)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희량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지운

정지운(鄭之雲, 1509년(중종 4) ~ 1561년(명종 16))은 조선시대 중기의 성리학자, 사상가, 작가로 자(字)는 정이(靜而), 호(號)는 추만(秋巒)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지운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여창

정여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종직와 정여창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정여해

정여해(鄭汝諧, 1450~1520)는 조선시대 전기의 성리학자, 철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정여해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자지

조자지(趙自知, ? ~ ?)는 조선시대의 문인, 시인, 은일사이며, 청담파 문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자지 · 더보기 »

조의제문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조선 시대 성리학자 김종직(金宗直, 1431년 ~ 1492년)이 지은 제사문으로 항우에게 살해당하여 물에 던져진 회왕 즉, 초 의제를 추모하는 글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의제문 · 더보기 »

조위 (1454년)

조위(曺偉, 1454년 ~ 1503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위 (1454년)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의 유학자

조선의 정치 이념은 성리학이었.

새로운!!: 김종직와 조선의 유학자 · 더보기 »

주목

주목(朱木)은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 한국, 중국 북동부, 일본이 원산지이.

새로운!!: 김종직와 주목 · 더보기 »

청구 (고조선)

청구(靑丘 혹은 靑邱) 는 삼국시대 이래 사용되었던 지역의 이름이.

새로운!!: 김종직와 청구 (고조선) · 더보기 »

초 의제

의제(楚 義帝, ? ~ 기원전 205년)는 진 시황제, 진 이세황제, 한 고제 유방 등과 아울러 전제 군주 시대 중국 황제 1세대 중 한 명이며 서초의 황제였.

새로운!!: 김종직와 초 의제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종직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종직와 유교 · 더보기 »

유숭조

유숭조(柳崇祖, 1452년 ~ 1512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사상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유숭조 · 더보기 »

유호인

유호인 (兪好仁, 1445년 ∼ 1494년) 은 조선의 문신이자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유호인 · 더보기 »

윤변 (인물)

윤변(尹忭, 1493년 - 1549년 7월 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변 (인물) · 더보기 »

윤관 (1490년)

윤관(尹寬, 1490년-1550년) 또는 윤자관(尹子寬)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관 (1490년)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흔 · 더보기 »

윤은필

윤은필(尹殷弼)은 조선의 문신으로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은필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증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윤필상 · 더보기 »

생육신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새로운!!: 김종직와 생육신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김종직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옥천서원 (전남)

옥천서원(玉川書院)은 전라남도 순천시 옥천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김종직와 옥천서원 (전남) · 더보기 »

예림서원

예림서원(禮林書院)은 점필재 김종직을 배향하기 위하여 1567년(명종 22년) 이도우(李度祐)가 창건한 서원이.

새로운!!: 김종직와 예림서원 · 더보기 »

어우동

어우동(朴於宇同, 1430년경(?) ~ 1480년 10월 18일)은 조선전기의 왕족이자 시인, 서예가, 작가, 기생, 무희였.

새로운!!: 김종직와 어우동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양녕대군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허균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허자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김종직와 표연말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김종직와 사림파 · 더보기 »

사소부인 (신라)

사소부인(娑蘇夫人) 또는 서술산성모(西述山聖母)는 《삼국유사》에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거서간의 생모로 전혀 내려오는 인물로, 경주시 선도산의 산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사소부인 (신라) · 더보기 »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새로운!!: 김종직와 사화 · 더보기 »

선도성모 설화

선도성모 설화(仙桃聖母說話) 또는 사소부인 설화(娑蘇夫人說話), 파소부인 설화는 신라의 건국자 박혁거세의 생모인 사소가 중국 또는 북방에서 경주 선도산으로 와서 박혁거세를 낳아 길렀다는 전승이.

새로운!!: 김종직와 선도성모 설화 · 더보기 »

선산 김씨

선산 김씨(善山 金氏) 또는 '일선 김씨'(一善 金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종직와 선산 김씨 · 더보기 »

설중매

《설중매》(雪中梅)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1984년 1월 9일부터 1985년 2월 26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김종직와 설중매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리학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승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희안 · 더보기 »

성이성

성이성(成以性, 1595년(선조 28년) ∼ 1664년(현종 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청백리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이성 · 더보기 »

성종실록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또는 《성종실록》(成宗實錄)은 1469년 음력 11월부터 149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성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종실록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혼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김종직와 성삼문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김종직와 서경덕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동파 시선

《소동파시선》은 《소식시집》에 수록된 2,800여 수의 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 63수를 선정하여 역주한 책이.

새로운!!: 김종직와 소동파 시선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김종직와 소혜왕후 · 더보기 »

소식 (북송)

소식(蘇軾, 1037년~1101년 8월 24일(음력 7월 28일))은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종직와 소식 (북송) · 더보기 »

함평 모씨

평 모씨(咸平 牟氏)는 전라남도 함평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종직와 함평 모씨 · 더보기 »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양 학사루 느티나무(咸陽 學士樓 느티나무)는 경상남도 함양군에 있는 느티나무이.

새로운!!: 김종직와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 더보기 »

항우

항우(項羽, 기원전 232년 ~ 기원전 202년)는 중국 진나라 말기의 군인이자, 초한전쟁 때 초나라의 군주로, 우는 자이며, 이름은 적(籍)이.

새로운!!: 김종직와 항우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김종직와 한명회 · 더보기 »

한명회 (드라마)

명회 (韓明澮)는 1994년에 KBS2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김종직와 한명회 (드라마) · 더보기 »

한국의 유교

동아시아의 사상의 흐름은 크게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인데, 한국은 이러한 세 가지 사상적 요소를 모두 흡수·구비하여 발전시켜 왔. 그 가운데서도 중국과는 지역적으로 인접한 까닭에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이 한국에 들어와 민족정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

새로운!!: 김종직와 한국의 유교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김종직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안의면

안의면(安義面)은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함양군에 설치된 면이.

새로운!!: 김종직와 안의면 · 더보기 »

학조

학조(學祖,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김종직와 학조 · 더보기 »

학사루

양 학사루(咸陽 學士樓)는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있는 누각이.

새로운!!: 김종직와 학사루 · 더보기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종직와 신용개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김종직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종직와 신숙주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심의겸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김종직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김종직와 훈구파 · 더보기 »

홍가신

홍가신(洪可臣, 1541년 ~ 161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종직와 홍가신 · 더보기 »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새로운!!: 김종직와 홍달손 · 더보기 »

홍유손

홍유손(1431년 ~ 1529년, 향년 99세)은 조선의 문신 및 시인이.

새로운!!: 김종직와 홍유손 · 더보기 »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김종직와 왕과 비 · 더보기 »

8월 19일

8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1번째(윤년일 경우 23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종직와 8월 19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문충공 김종직, 점필재, 점필재 김종직, 점필재문충공.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