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색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K.0400, T.0842) 줄여서 《원각경》(圓覺經)은 대승불교의 불경이.

15 처지: 간경도감, 번뇌 분류법, 불경, 불교, 불교 용어 목록/이, 부산 황련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이장 (불교),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서울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원각경언해.

간경도감

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을 한글로 번역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간경도감 · 더보기 »

번뇌 분류법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번뇌 분류법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불경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불교 용어 목록/이 · 더보기 »

부산 황련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황련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黃蓮寺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은 부산광역시 수영구, 황련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부산 황련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상1의2,하1의1~2의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一之二,下一之一~二之二)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재)아단문고에 있는 책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219-1호)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어음리, 양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보물 제1518-2호)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1)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卷上 一之一)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본 책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 더보기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_권상2의2,_권하3의1~3의2(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 卷上二之二, 卷下三之一~三之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 · 더보기 »

이장 (불교)

2장(二障,, dvidhā-dauṣṭhulya,,, two obstructions, two impediments)은 2애(二礙)라고도 하는데, 가로막아 앎성취 또는 발현을 방해한다는 장애(障礙)의 뜻에서 번뇌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이장 (불교) · 더보기 »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북도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華溪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서울 화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 더보기 »

원각경언해

250px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는 조선 세조 때 신미한계희 등이 《원각경(圓覺經)》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

새로운!!: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와 원각경언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방광원가수다라요의경, 원각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