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한민국 해병대

색인 대한민국 해병대

민국 해병대(大韓民國 海兵隊)는 대한민국 해군 예하에 편성되어 있는 해병대이.

188 처지: BGM-71 토우, CH-46 시나이트, 명국환, 미국 해병대, 민태호 (야구 선수), 방위병, 갱생버라이어티 하바나, 박경석 (1960년), 강기천 (1927년), 강대원, 박구일, 박인수 사건, 박상범 (1943년), 박선호 (1934년), 강하조장,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베트남 전쟁, 벨 AH-1Z 바이퍼, 경찰기동대, 공정식, 공안사건, 병역판정검사, 북방한계선, 북파공작원, 권오준, 분대, 부라보 해병, 기린도, 기수 열외, 빨강, 빈호아 학살, 김동하 (군인), 김기덕 (1960년), 김용국 (군인), 김용수 (1932년), 김포외국어고등학교, 김흥국, 김인식 (1947년), 김정록 (야구 선수), 김정호 (1931년), 김창옥, 김상중, 김석범 (군인), 김성은 (군인), 김한원, 김학철, 김학철 (군인), 김원일 (축구 선수),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 대한민국 병무청,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대한민국 예비군,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단,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대학,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대한민국의 군사조직 목록,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대한민국의 차량 번호판, 대한민국의 해병대 부사령관,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국군교도소, 군무원, 군가, 군장학생, 남문기, 다큐멘터리 3일의 에피소드 목록, 단국대학교, 효린, 우도 (강화군), 우범곤, 장교, 임영득,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포항시,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이승철 (배우), 이인호 (1931년), 이정 (가수), 이상훈, 이상훈 (1958년), 이영주 (군인), 이선호 (1935년), 이성배 (아나운서), 이화수, 제1해병사단 (대한민국), 제2해병사단 (대한민국), 제3해병원정군, 제5해병여단, 제6해병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 (미국), 제9해병여단, 제주 4·3 사건, 전도봉, 전진구, 전태규, 전투화, 정동진 (1946년), 정병국, 정광호 (1922년), 조상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주특기번호, 주한 미국 해병대, 중광 (승려), 줄리엔 강, 짜빈동 전투, 진해비행장, 지덕칠, 지역방문의 해, 초도 (서해), 카투사, 쌍용훈련,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윤승선, 윤요섭, 윤영선 (1922년), 윤항기, 윤시윤, 상근예비역, 태극무공훈장,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실종 사고, 타블로의 스탠퍼드 대학교 학력 위조 논란, 오기택, 오정근 (1929년), 오종혁, 오쉬노 부대, 예비역, 현빈, 현소환, 최철원, 양도 (동해), 연평도, 연평도 포격, 연평부대, 허정무, 사단 (군사), 사회복무요원, 사회복무제도,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서해 5도, 손원일, 송인명 (1923년), 통역장교, 애기봉, 해병 공지 기동대, 해병대,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해병대 축구단, 해군 축구단, 해사대, 한국의 기 목록, 안병훈 (언론인), 하미 마을 학살 사건, 신병교육대, 신창현 (1953년), 신현준 (군인), 홍사덕, 홍성철, 황라열, 황석영, 왕호 (영화 감독), K14 소총, KMC, 10월 10일, 12.12 군사 반란, 1964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1973년, 1박 2일의 에피소드 목록,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 2007년, 2009년, 2009년 6월, 2011년, 30분 다큐, 4월 15일, 4월 22일, 5·16 군사 정변, 6월 1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38 더) »

BGM-71 토우

BGM-71 TOW(Tube launched-Optically tracked-Wire/Wireless guided, 광학추적형 유선 및 무선 유도식 발사관 미사일)는 미국의 대전차 미사일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BGM-71 토우 · 더보기 »

CH-46 시나이트

24 해병 원정단이 훈련에서 부상자를 CH-46 시나이트 헬기에 싣고 있다. 사이판함에서 CH-46 시나이트 헬기에 탑승하고 있다. CH-46 시나이트는 미국 해병대에서 전천후, 주야간 전투물자 수송에 사용하는 중형 탠덤 로터 화물 수송 헬리콥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CH-46 시나이트 · 더보기 »

명국환

명국환(1933년 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남성 원로 트로트 음악 가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명국환 · 더보기 »

미국 해병대

LCU-1627 상륙주정을 타고 에섹스함으로 돌아오고 있다. 31원정단과 에섹스함의 모항은 일본 사세보이다 2006년 5월 10일 에섹스함에서 31원정단 소속 일병이 M16A4 소총에 장착된 신형 조준경으로 첫 영점사격을 하고 있다. 에섹스함은 태국에서 열리는 Cobra Gold 2006 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항해중이다. 2007년도 독수리 연습에서 에섹스함에 착륙하고 있는 AV-8B 해리어 II 2007년 11월 11일, 동해상에서, 미국 해군의 LCAC가 미국 해군의 에섹스함에서 나와서 대한민국 해군의 독도함으로 들어가고 있다. 미합중국 해병대(美合衆國海兵隊) 또는 줄여서 미국 해병대(美國海兵隊), 미해병(美海兵)은 미군 중 전력투사(power projection)을 위한 상륙 작전, 타국 원정 및 기동 작전을 수행하는 군종으로, 2002년 시점에서 170,000명의 현역병과 40,000명의 예비역으로 이루어져 세계 각국의 해병대 중 최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 · 더보기 »

민태호 (야구 선수)

민태호(閔泰淏, 1989년 9월 12일 ~)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투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민태호 (야구 선수) · 더보기 »

방위병

방위병(防衛兵)은 1969년부터 1994년까지 존재하던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로 보충역으로 입영하여 기초군사교육을 마친 후 향토방위 업무를 수행하는 군부대(향토사단), 예비군 중대, 경찰관서, 파출소, 시, 군, 구청, 읍, 면, 동사무소를 집에서 출·퇴근하면서 복무하도록 한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방위병 · 더보기 »

갱생버라이어티 하바나

《갱생버라이어티 하바나》는 2011년 10월 8일부터 2012년 3월 17일까지 OBS경인TV에서 방영한 예능 프로그램으로, 국내 최초의 갱생 버라이어티를 표방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갱생버라이어티 하바나 · 더보기 »

박경석 (1960년)

박경석(朴敬石, 1960년 ~)은 대한민국의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박경석 (1960년) · 더보기 »

강기천 (1927년)

강기천(姜起千, 1927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며 기업가 겸 사회운동가이자 저술가 겸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강기천 (1927년) · 더보기 »

강대원

강대원(姜大元, Dawon David Kahng, 1931년 5월 4일-1992년 5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반도체 물리학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강대원 · 더보기 »

박구일

박구일 중장 (1987년 1월 1일) 박구일(朴九溢, 1934년 11월 8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박구일 · 더보기 »

박인수 사건

박인수 사건이란,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정부 시기였던 1950년대 중반 대한민국 현역 해군 헌병 대위를 사칭한 박인수가 70여명의 여성들과 무분별한 성관계를 가졌던 성추문 사건을 말. 사건에 연루된 여성들 중 69명의 여성들은 자신들이 피해자라 주장하였으나 쌍방 합의에 의한 간통으로 드러났으며, 이 중 1명의 여성만이 처녀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박인수 사건 · 더보기 »

박상범 (1943년)

박상범(朴相範, 1943년 4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박상범 (1943년) · 더보기 »

박선호 (1934년)

박선호(朴善浩, 1934년 2월 3일 ~ 1980년 5월 24일)은 대한민국 前 중앙정보부 의전과 과장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병 대령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박선호 (1934년) · 더보기 »

강하조장

강하조장(Jumpmaster)은 생명줄에 의한 낙하산 강하시 특수부대와 공수부대에서 항공기 낙하 과정을 지휘/감독/결정하는 숙련된 군인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강하조장 · 더보기 »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江華島海兵隊銃器亂射事件)은 2011년 7월 4일, 오전 11시 50분경,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해병대 2사단 해안 소초에서 해병대 2사단 소속 김민찬 상병(당시 19세)이 K-2 소총을 탈취해 동료 해병들을 향해 사격하여 여러 명을 사망 및 부상케 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강화도 해병대 총기 난사 사건 · 더보기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 12월 19일 - 1954년 8월 1일) 이후 분단되었던 베트남에서 1955년 11월 1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베트남 전쟁 · 더보기 »

벨 AH-1Z 바이퍼

벨 AH-1Z 바이퍼는 미국 벨 헬리콥터가 개발한 쌍발 엔진 공격 헬리콥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벨 AH-1Z 바이퍼 · 더보기 »

경찰기동대

일본 경시청 기동대 경찰관기동대는 집회시위 관리 등을 위하여 경찰공무원으로 편성된 기동부대를 말. (경찰관기동대 운영규칙, 경찰청훈령 제544호).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경찰기동대 · 더보기 »

공정식

공정식(孔正植, 1925년 9월 3일 ~)은 대한민국 해군 및 해병대에서 장교/장군 생활을 한 직업군인이자, 예편 후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공정식 · 더보기 »

공안사건

공안사건이란 국가보안법, 군형법 중 반란 이적의 죄, 군사기밀누설죄, 암호부정사용죄, 형법 중 내란, 외환의 죄,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의 죄를 위반한 사건임을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계엄법, 노동관계법률위반사건 중에 노동정책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건, 수산업법위반 중에 군사분계선 또는 어로한계선 월선조업사건, 기타 정부시책의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정부시책에 현저히 위배되는 사건도 공안사건에.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공안사건 · 더보기 »

병역판정검사

병역판정검사(兵役判定檢査)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있어 징병검사의 법률상 명칭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병역판정검사 · 더보기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北方限界線,, 줄여서 NLL)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 설정된 사실상의 남북 해상 군사 분계선을 말. 이중 서해 북방한계선(西海北方限界線)은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해안 사이에 설정된 해상 경계선으로, 1999년 제1연평해전 이후 군사적인 분쟁 이슈로 떠오르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북방한계선 · 더보기 »

북파공작원

북파공작원(北派工作員)은 대한민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로 비밀리에 파견했었던 공작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북파공작원 · 더보기 »

권오준

오준(權五俊, 1980년 3월 9일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언더핸드 투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권오준 · 더보기 »

분대

NATO의 군사 지도 기호 표준에 따른 아군 보병 분대 기호 분대(分隊, squad)는 군대에서 사용하는 병력 편성의 단위로, 소대의 아래 단위이며 명령하달 체계를 그대로 보여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분대 · 더보기 »

부라보 해병

부라보 해병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공식 군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부라보 해병 · 더보기 »

기린도

린도(麒麟島)는 황해도 남단에 있는 섬으로, 면적은 7.1km2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기린도 · 더보기 »

기수 열외

수 열외(期數列外)는 대한민국 해병대에서 행해지는 특유의 집단 따돌림 악습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기수 열외 · 더보기 »

빨강

빨강(red) 또는 적색(赤色), 홍색(紅色)은 가시광선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파장이 가장 긴 색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빨강 · 더보기 »

빈호아 학살

빈호아 학살 한국군 증오비.“하늘까지 닿을 죄악, 만 대를 기억하리라!” 빈호아 학살은 베트남 전쟁 중이던 1966년 12월 3일부터 6일까지 대한민국 해병대의 청룡부대에 의해 430명의 마을 주민이 학살을 당한 대량 학살을 했다고 주장하는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빈호아 학살 · 더보기 »

김동하 (군인)

동하(金東河, 일본식 이름: 金森武雄 가네모리 다케오, 1920년 4월 15일 ~ 1993년 12월 3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체육인, 체육행정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동하 (군인) · 더보기 »

김기덕 (1960년)

덕(金基德, 1960년 12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제작자,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기덕 (1960년) · 더보기 »

김용국 (군인)

용국(金龍國, 1920년 4월 18일 ~ 1984년 1월 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경성부(지금의 서울특별시) 출신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용국 (군인) · 더보기 »

김용수 (1932년)

용수(1932년 9월 30일 ~)는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용수 (1932년) · 더보기 »

김포외국어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金浦外國語高等學校)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에 있는 사립 외국어고등학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포외국어고등학교 · 더보기 »

김흥국

흥국(金興國, 1959년 4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흥국 · 더보기 »

김인식 (1947년)

인식(金寅植, 1947년 5월 1일 ~)은 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자, 현 KBO 총재 특별보좌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인식 (1947년) · 더보기 »

김정록 (야구 선수)

정록(金正錄, 1990년 2월 2일 ~)은 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내야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정록 (야구 선수) · 더보기 »

김정호 (1931년)

정호(金正浩, 1931년 11월 21일 ~ 2013년 7월 15일)는 대한민국의 해병대 군인을 지낸 국회의원 겸 기업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정호 (1931년) · 더보기 »

김창옥

창옥(1973년 12월 17일 ~)은 제주특별자치도 출신의 성악가, 전문 강사, 기업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창옥 · 더보기 »

김상중

상중(1965년 8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MC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상중 · 더보기 »

김석범 (군인)

석범(金錫範, 일본식 이름: 金山 照 가네야마 미쓰시, 1915년 11월 2일 ~ 1998년 2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석범 (군인) · 더보기 »

김성은 (군인)

성은(金聖恩, 1924년 12월 20일 ~ 2007년 5월 15일)은 제15대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제4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을 지냈던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성은 (군인) · 더보기 »

김한원

원(金漢元, 1981년 8월 6일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한원 · 더보기 »

김학철

학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학철 · 더보기 »

김학철 (군인)

학철(金學喆, 1941년 ~ 1974년 11월 20일)은 제1땅굴 조사 중 부비트랩 폭발로 전사한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학철 (군인) · 더보기 »

김원일 (축구 선수)

원일(金源一, 1986년 10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자, 현재 K리그 클래식 제주 유나이티드 소속이며, 포지션은 수비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김원일 (축구 선수)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空軍士官學校, Korea Air Force Academy)는 대한민국 공군의 장교를 배출하기 위해 설립된 사관학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 병무청

병무청(兵務廳,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약칭: MMA)은 징집·소집 그 밖에 병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병무청 · 더보기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부(國防部,, 약칭: MND)는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국방부 · 더보기 »

대한민국 국군

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은 1948년 8월 15일에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국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스펠드 미국 국방장관도널드 럼즈펠드이 자이툰부대를 방문, 황의돈 사단장과 대화중이다. 자이툰 부대() 또는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은 평화 유지와 재건을 위해 이라크에 파병되어 2004년 2월 23일부터 2008년 12월 20일까지 활동했던 대한민국 육군의 민사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

3사단 수색부대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서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 2017년 12월 기준으로 대한민국 육군에는 39개 사단(기계화 보병 사단 6개수도, 8, 11, 20, 26, 30, 보병 사단 16개, 향토 방위 사단 12개, 동원 보병 사단 5개)으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육군 · 더보기 »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四星將軍)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육군의 출신별 4성 장군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예비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단

병대 교육단에서 기초군사훈련을 수료한 한 해병대 이등병의 가족사진 해병대 교육단(海兵隊敎育團)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모든 해병 훈련병, 사관/부사관 후보생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을 맡고 있는 해병대 사령부 직할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병대 교육단 · 더보기 »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병대사령부(海兵隊司令部)는 대한민국 해병대를 총괄하는 기구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

민국 해군(大韓民國 海軍)은 해상작전 및 상륙작전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국군(國軍)의 주요 조직으로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하는 해병대를 예하에 두고 있. 평시에는 전쟁 억제와 해양주권 및 권익을 보호하고 국가 대외 정책을 지원하며, 전시에는 해양 통제와 군사력 투사, 해상교통로 보호를 주 역할로 하고 있. 2014년 병력은 해병대 28,000명을 포함 총 69,000여 명이며, 전력은 수상함 163척(고속정 80여 척 포함), 잠수함 10여 척, 항공기 60여 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기 군함들을 비롯해 모든 군함들은 선체 전체에 광범위하게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고 레이더 반사율을 줄이기 위해 경사설계를 적용하고 상륙전력으로 상륙돌격장갑차와 전차 등 4종 400여 대를 보유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군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대학

민국 해군대학은 (海軍大學)은 1955년 설립된 해군 및 해병대 고위장교의 직무보수 교육을 하는 기관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군대학 · 더보기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사관학교(海軍士官學校)는 대한민국 해군 및 해병대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군사조직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예비군과 준 군사조직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군사조직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본 문서는 대한민국 육군이 운용했거나 운용하고 있는 전차 세력에 대한 문서.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전차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차량 번호판

민국의 차량 번호판은 대한민국에서 등록되는 모든 자동차의 전·후면에 부착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금속판으로서, 정식 명칭은 자동차등록번호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차량 번호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해병대 부사령관

병대 부사령관은 대한민국 해병대를 총괄하는 해병대 사령관을 보좌하며 대한민국 해병대의 서열 2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해병대 부사령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병대사령관(海兵隊司令官)은 해병대사령부를 대표하는 직위로, 해병대 3성 장군으로 보. 현역 군인의 의전 서열상 3성 장군 중에서 가장 높은 서열이며, 전체 서열 9위.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의 해병대사령관 · 더보기 »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right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민주 공화국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 더보기 »

국군교도소

국군교도소(國軍矯導所, Military Correctional Institution)는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있는 대한민국 국군의 군사 교도소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국군교도소 · 더보기 »

군무원

무원(軍務員)은 민간인 신분으로 각군에서 행정업무나 기술 실무 및 지원업무를 하는 특정직 국가공무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군무원 · 더보기 »

군가

(軍歌)는 전쟁이나 그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관련된 작곡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군가 · 더보기 »

군장학생

장학생(軍奬學生)은 학부재학 중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면 군장학금으로 대학교를 학업하고 학사(學士, bachelor's degree)학위를 취득한후 군장학금을 지급받은 기간만큼 장교로서 의무복무하는 중급지휘관 양성의 중추적인 과정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군장학생 · 더보기 »

남문기

문기(南文基, 1954년 6월 10일 ~, 경북 의성 출생)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남문기 · 더보기 »

다큐멘터리 3일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2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다큐멘터리 3일》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다큐멘터리 3일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단국대학교

국대학교(檀國大學校) 죽전캠퍼스 단국대학교 (檀國大學校, Dankook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단국대학교 · 더보기 »

효린

효린(1990년 12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과거 걸 그룹 씨스타의 리더, 메인보컬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효린 · 더보기 »

우도 (강화군)

우도(隅島)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말도리에 속하는 섬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우도 (강화군) · 더보기 »

우범곤

우범곤(禹範坤, 1955년 2월 24일 ~ 1982년 4월 27일)은 하룻밤 사이 62명을 연속살해하고 자살한 대한민국의 경찰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우범곤 · 더보기 »

장교

200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 졸업생들이 모자를 집어던지며 기뻐하고 있다. 장교(將校, commissioned officers)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장교 · 더보기 »

임영득

임영득(任煐得, 1932년 4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제10·12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임영득 · 더보기 »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浦項特定警備地域司令部)는 경상북도 포항시의 특정한 지역을 경비하는 해군-해병대의 합동 지역 사령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 더보기 »

포항시

항시(浦項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포항시 · 더보기 »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퐁니・퐁넛 여성과 아이들의 주검사진 퐁니・퐁넛 학살 사건()은 1968년 2월 12일 베트남 꽝남 성 디엔반 현 퐁니, 퐁넛 마을 주민들이 대한민국 해병대의 청룡 부대에 의해 학살당하여 70여 명(69 ~ 79명 추정)이 죽은 전쟁범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 더보기 »

이승철 (배우)

이승철(1950년 4월 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승철 (배우) · 더보기 »

이인호 (1931년)

이인호(李仁浩, 1931년 7월 2일 ~ 1966년 8월 11일)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중 전사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인호 (1931년) · 더보기 »

이정 (가수)

이정(본명: 이정희(李正熙), 1981년 10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음악 그룹 7Dayz(세븐데이즈)의 前 구성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정 (가수) · 더보기 »

이상훈

이상훈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상훈 · 더보기 »

이상훈 (1958년)

이상훈(1958년~)은 대한민국의 제33대 해병대 사령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상훈 (1958년) · 더보기 »

이영주 (군인)

이영주(李永柱, 1957년 ~)는 대한민국의 제32대 해병대 사령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영주 (군인) · 더보기 »

이선호 (1935년)

이선호(1935년 8월 5일 ~)는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언론인, 교육자, 연구가, 군사평론가, 행정학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선호 (1935년) · 더보기 »

이성배 (아나운서)

이성배(1981년 7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로 현재 MBC 아나운서 소속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성배 (아나운서) · 더보기 »

이화수

이화수(李和洙, 1953년 1월 5일 ~)는 대한민국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이화수 · 더보기 »

제1해병사단 (대한민국)

제1해병사단 "해룡"(第一海兵師團 "海龍", 1st Marine Division "Sea Dragon"), 정식명칭 해병대 제1사단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주둔하고 있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1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2해병사단 (대한민국)

제2해병사단(第二海兵師團) "청룡(靑龍)", 정식 명칭 해병대 제2사단은 경기도 김포시에경기도 김포시와 인천광역시 서구의 인접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사단 본부 내 일부 시설은 주소가 인천 서구로 되어 있. 사단 본부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두 번째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2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3해병원정군

제3해병원정군(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은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1960년 체결된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에 따라 일본 오키나와에 현재 주일 미국 해병대(USMC, Japan)로서 오키나와에 영구적으로 전방 배치된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3해병원정군 · 더보기 »

제5해병여단

제5해병여단은 대한민국 해병대의 임시 여단이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5해병여단 · 더보기 »

제6해병여단 (대한민국)

제6해병여단 "흑룡"(第六海兵旅團, The 6th Marine Brigade), 정식 명칭 해병대 제6여단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 있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6해병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7th Infantry Division)은 미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7보병사단 (미국) · 더보기 »

제9해병여단

제9해병여단 "백룡" (第九海兵旅團, Republic of Korea 9th Marine Brigade), 정식 명칭 해병대 제9여단은 2015년 12월 1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해병대의 독립 여단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둔하고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9해병여단 · 더보기 »

제주 4·3 사건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제주 4·3 사건 · 더보기 »

전도봉

전도봉(全道奉, 1942년 10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공기업인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전도봉 · 더보기 »

전진구

전진구(全振九, 1962년~)은 현재 대한민국의 제34대 해병대 사령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전진구 · 더보기 »

전태규

전태규(1984년 2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프로게임단 코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전태규 · 더보기 »

전투화

전투화의 한 종류 전투화 (戰鬪靴) 또는 군화 (軍靴)는 군대에서 군인이 실제 전투나 전투 훈련을 수행하는 동안 착용하는 신발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전투화 · 더보기 »

정동진 (1946년)

정동진 (鄭東鎭, 1946년 4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정동진 (1946년) · 더보기 »

정병국

정병국(鄭柄國, 1958년 2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정병국 · 더보기 »

정광호 (1922년)

정광호(鄭光鎬, 1922년 10월 25일 ~)는 경기도 수원에서 출생하였고 제8대 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 및 제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정광호 (1922년) · 더보기 »

조상구

조상구(趙相九, 본명은 최재현(崔在賢), 1954년 12월 1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번역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조상구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아래의 항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주특기번호

주특기번호는 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병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주특기번호 · 더보기 »

주한 미국 해병대

주한 미국 해병대(Marine Force, Korea (MARKOR))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 기지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외 주둔군과 사령부를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주한 미국 해병대 · 더보기 »

중광 (승려)

중광(重光, 1934년 1월 4일 ~ 2002년 3월 9일)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 시인, 수필가, 화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중광 (승려) · 더보기 »

줄리엔 강

줄리엔 강(1982년 4월 11일 ~, 프랑스령 섬 출생)은 부산광역시가 고향인 한국인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 배우로, 모델 및 연기자로 활동하고 있. 큰 형은 종합격투기 선수 데니스 강이고 둘째 형도 종합격투기 선수인 토미 강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줄리엔 강 · 더보기 »

짜빈동 전투

빈동 전투(-戰鬪)는 1967년 2월 14일 ~ 2월 15일 동안 남베트남 쾅나이 성 추라이에 위치한 작은 마을인 짜빈동에서 일어난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베트콩, 그리고 대한민국 해병대간의 전투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짜빈동 전투 · 더보기 »

진해비행장

비행장(IATA:CHF, ICAO:RKPE)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덕산동에 있는 비행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진해비행장 · 더보기 »

지덕칠

덕칠(池德七, 1940년 11월 3일 ~ 1967년 2월 1일)은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하다가 전사한 대한민국 해군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지덕칠 · 더보기 »

지역방문의 해

역방문의 해(地域訪問-)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1년 '한국방문의 해'를 시작으로 2004년부터 매년 한 지역씩 선정하고 있는 지역 관광 활성화 사업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지역방문의 해 · 더보기 »

초도 (서해)

(椒島)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행정구역상 남포시 항구구역 초도리를 이루고 있는 섬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초도 (서해) · 더보기 »

카투사

사() 는 대한민국 육군인사사령부 예하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駐韓美8軍 韓國軍支援團) 소속으로서 주한 미국 육군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을 말.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카투사 · 더보기 »

쌍용훈련

쌍용훈련은 2012년 부터 격년제로 실시하고 있는 한미연합 상륙훈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쌍용훈련 · 더보기 »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陸軍科學化戰鬪訓鍊團)은 대한민국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교육사령부 예하 훈련 센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더보기 »

윤승선

윤승선(尹昇善, 1904년 8월 7일 - 1966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대한민국의 해군, 해병대 창설에 참여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윤승선 · 더보기 »

윤요섭

윤요섭(尹耀涉, 1982년 3월 30일 ~)은 전 KBO 리그 kt 위즈의 포수이자, 현재 KBO 리그 kt 위즈의 잔류군 야수코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윤요섭 · 더보기 »

윤영선 (1922년)

윤영선(尹暎善, 1922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군인, 참전유공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윤영선 (1922년) · 더보기 »

윤항기

윤항기(尹恒基, 1943년 9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록 음악 가수,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영화배우, 개신교 목회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윤항기 · 더보기 »

윤시윤

윤시윤(尹施允, 1986년 9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윤시윤 · 더보기 »

상근예비역

상근예비역(常勤豫備役)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로, 현역병과 같이 기초군사교육(육군은 5주, 해군은 6주, 해병대는 7주)을 마친 후, 집에서 출·퇴근하며 근무하도록 하는 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상근예비역 · 더보기 »

태극무공훈장

극무공훈장(太極武功勳章)은 대한민국 최고의 무공훈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태극무공훈장 · 더보기 »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실종 사고

안 사설 해병대 캠프 실종 사고(泰安私設海兵隊-失踪事故)는 2013년 7월 18일,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에서 열린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던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벗고 바다로 들어가라는 교관의 지시를 따르다가 깊은 갯골에 빠진 뒤 그중 5명의 학생들이 파도에 휩쓸려가 실종, 사망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태안 사설 해병대 캠프 실종 사고 · 더보기 »

타블로의 스탠퍼드 대학교 학력 위조 논란

스탠퍼드 대학교 캠퍼스 이 문서는 힙합 그룹 에픽하이에서 활동하고 있는 타블로의 학력에 관한 논란과 그에 대한 반박에 관한 내용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타블로의 스탠퍼드 대학교 학력 위조 논란 · 더보기 »

오기택

오기택(吳基澤, 1939년 4월 2일 ~, 호적상으로는 1943년 4월 2일생)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아마추어 골퍼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오기택 · 더보기 »

오정근 (1929년)

오정근(吳定根, 1929년 ~ 1982년 7월 11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오정근 (1929년) · 더보기 »

오종혁

오종혁(吳鐘赫,1983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이자 클릭비의 멤버 이. 1999년 데뷔했으며 솔로로는 OJ라는 예명으로 활동한다 2008년《온에어》로 뮤지컬에 데뷔한 그는 연기자로서 새로운 변신을 시. 이후《쓰릴 미》,《오디션》으로 차근차근 무대 경험을 쌓았.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오종혁 · 더보기 »

오쉬노 부대

오쉬노 부대(Unit Ashena)는 아프가니스탄 지역재건팀(PRT)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오쉬노 부대 · 더보기 »

예비역

예비역(豫備役)은 현역으로 복무를 마치고 예비역으로 전역한 자 및 상근예비역(육, 해, 해병)과 승선근무예비역(해군)을 말. 기초군사교육을 받은 보충역의 병은 그대로 보충역 예비군(육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예비역 · 더보기 »

현빈

현빈(炫彬, (金泰坪) 1982년 9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현빈 · 더보기 »

현소환

현소환(玄昭煥, 1937년 8월 1일 ~)은 연합통신 사장을 역임한 언론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현소환 · 더보기 »

최철원

원(崔哲源, 1969년 5월 5일 ~)은 M&M 그룹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악질 범죄자.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최철원 · 더보기 »

양도 (동해)

양도(洋島)는 함경북도 화대군 사포리에 있는 동해의 3개 섬을 말. 양도의 2개 섬과 강후이도(江厚耳島)로 이루어져 있.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양도 (동해) · 더보기 »

연평도

연평도(延坪島)는 경기만 북서쪽에 있는 대한민국 관할의 섬으로, 소연평도 등 주변의 부속 섬과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속.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연평면의 인구는 2천209 명, 1천372 가구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연평도 · 더보기 »

연평도 포격

K-9 자주포 연평도 포격(延坪島 砲擊)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경, 북한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의 대연평도를 향해 포격을 가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연평도 포격 · 더보기 »

연평부대

연평부대 "공룡"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에 본부를 둔 대한민국 해병대의 독립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연평부대 · 더보기 »

허정무

정무(許丁茂, 1955년 1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허정무 · 더보기 »

사단 (군사)

NATO 군사 기호 표준에 따른 보병 사단 기호 사단(師團)은 군대에서 부대 편성 단위의 하나로, 연대나 여단보다 크고 군단보다 작은 규모의 군사 조직이며 제식편성(규정편성)부대의 최상급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사단 (군사) · 더보기 »

사회복무요원

사회복무요원(社會服務要員)은 대한민국에서 199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대한민국의 전환, 대체복무제도 중 제일 규모가 큰 종류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사회복무요원 · 더보기 »

사회복무제도

사회복무제도는 대한민국에서 2007년 국군 병력 규모 및 병역 복무기간 감축과 함께 공평한 병역 부과를 목적으로, 2008년부터 시행된 대체복무제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사회복무제도 · 더보기 »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은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언론의 취재 등과 발표를 근거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한 각종 논란을 정리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 더보기 »

서해 5도

서해 5도 지도 인천광역시의 섬 (1, 2, 3번이 서해 5도) red: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서해 5도(西海五島)는 대한민국의 관할 아래 있는 섬들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의 남쪽 해안과 가까운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를 묶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서해 5도 · 더보기 »

손원일

손원일(孫元一, 1909년 음력 5월 5일 ~ 1980년 2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가, 외교관, 관료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손원일 · 더보기 »

송인명 (1923년)

송인명(宋寅明, 1923년 1월 18일 ~ 2012년 9월 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송인명 (1923년) · 더보기 »

통역장교

통역장교(通譯將校)는 국군내에서 통역 및 번역의 일을 하는 위관급 이상의 장교를 말. 외국군과 의사소통, 정보교류 및 협조에 기여.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통역장교 · 더보기 »

애기봉

애기봉(愛妓峰)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조강리와 하성면 가금리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애기봉 · 더보기 »

해병 공지 기동대

병 공지 기동대(Marine Air-Ground Task Force, MAGTF)는 미국 해병대의 최상위 편성단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병 공지 기동대 · 더보기 »

해병대

미군 해병. 해병대(海兵隊), 해군 육전대(海軍陸戰隊), 또는 해군 보병(海軍步兵, Naval Infantry)은 해상과 육상의 모두에서 전투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 주로 상륙 작전을 수행하는 군사 조직 또는 병과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병대 · 더보기 »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海兵隊民航機誤認射擊事件) 2011년 6월 17일 오전 4시에 승객 110명 등 119명을 태운 중국 청두 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OZ 324)를 상대로 강화군 교동도 해병대 대공감시초소 초병 2명이 적기로 오인하여 경고 사격을 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 더보기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海兵隊空軍飛行學校襲擊事件)은 1966년 8월 8일에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 군인 129명이 경상남도 김해군의 대한민국 공군 비행학교를 새벽에 습격하여 해병대와 공군간에 패싸움이 벌어졌고 이로 인해 해병대측에서 사망자까지 발생했던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 더보기 »

해병대 축구단

병대 축구단은 해병대 소속 축구단으로 실업축구에 참가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병대 축구단 · 더보기 »

해군 축구단

소속 축구단으로 실업축구에 참가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군 축구단 · 더보기 »

해사대

사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해사대 · 더보기 »

한국의 기 목록

국의 기 목록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극기와 같은 주요 기 및 한국의 몇몇 역사적인 기들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공기를 비롯해 주요 기와 역사적 기들을.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한국의 기 목록 · 더보기 »

안병훈 (언론인)

안병훈(安秉勳, 1938년 11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판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안병훈 (언론인) · 더보기 »

하미 마을 학살 사건

미 마을 학살 사건은 1968년 2월 22일 - 한국군이 하미 마을에서 학살을 한 날짜는 1968년 음력 1월 24일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하미 마을 학살 사건 · 더보기 »

신병교육대

신병교육대(新兵敎育隊)는 갓 입대한 훈련병들을 교육하는 부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신병교육대 · 더보기 »

신창현 (1953년)

신창현(申昌賢, 1953년 6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신창현 (1953년) · 더보기 »

신현준 (군인)

신현준(申鉉俊, 1915년 10월 23일 ~ 2007년 10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신현준 (군인) · 더보기 »

홍사덕

홍사덕(洪思德, 1943년 3월 5일 ~, 경북 영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홍사덕 · 더보기 »

홍성철

홍성철(洪性澈, 1926년 4월 6일 ~ 2004년 5월 2일)은 대한민국의 공직자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홍성철 · 더보기 »

황라열

총련 탈퇴 선언을 하는 황라열 회장 황라열(1977년 8월 13일~)은 제49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황라열 · 더보기 »

황석영

황석영(黃晳暎, 1943년 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황석영 · 더보기 »

왕호 (영화 감독)

왕호(王虎, 1952년 10월 14일 ~)는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영화 각본가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왕호 (영화 감독) · 더보기 »

K14 소총

K14 소총은 2012년 한국 S&T모티브에서 개발된 저격소총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K14 소총 · 더보기 »

KMC

KMC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KMC · 더보기 »

10월 10일

10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3번째(윤년일 경우 2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10월 10일 · 더보기 »

12.12 군사 반란

12.12 군사 반란 또는 12.12 사태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체포한 사건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12.12 군사 반란 · 더보기 »

1964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의 1964년 봄, 가을 시즌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1964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더보기 »

1973년

197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1973년 · 더보기 »

1박 2일의 에피소드 목록

음은 KBS 2TV 《해피선데이》의 코너 〈1박 2일〉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1박 2일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은 신종 수법을 통해서 연예인들과 야구 선수들이 조직적으로 병역을 불법면제받은 사건을 말. 이 사건 이후 총 관련자 136명 중 43명이 구속되었고, 48명은 불구속 입건, 3년의 공소시효 지난 연루자 모두 재검 거쳐 재입대를 하였.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2007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2009년 · 더보기 »

2009년 6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2009년 6월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2011년 · 더보기 »

30분 다큐

《30분 다큐》는 2009년 4월 20일부터 2009년 10월 16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30분 다큐 · 더보기 »

4월 15일

4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5번째(윤년일 경우 10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4월 15일 · 더보기 »

4월 22일

4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2번째(윤년일 경우 1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4월 22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6월 12일

6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3번째(윤년일 경우 16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대한민국 해병대와 6월 12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ROKMC, 대한민국의 해병대, 대한민국해병대, 한국 해병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