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멱등법칙

색인 멱등법칙

멱등법칙(冪等法則) 또는 멱등성(冪等性)은 수학이나 전산학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

19 처지: 마그마 (수학),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고정점, 공종도, 부호함수, 대합 (수학), 닫기 (형태학), 장애 허용 시스템, 폐포연산, 점렬 공간, 절댓값, 주접속, 집합대수, 참조 투명성, 위상 벡터 공간, 수학적 형태학, 열기 (형태학), 사유한군, 사영작용소.

마그마 (수학)

상대수학과 범주론에서, 마그마()는 집합과 그 위의 이항 연산 외에 아무런 추가 조건도 없는 대수 구조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마그마 (수학) · 더보기 »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바닥 함수()는 각 실수 이하의 최대 정수를 구하는 함수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 더보기 »

고정점

수학에서, 고정점(固定點) 또는 부동점(不動點)은 함수나 변환 따위에서 옮겨지지 않는 점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고정점 · 더보기 »

공종도

집합론에서, 공종도(共終度)는 주어진 원순서 집합의 공종 집합의 최소 크기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공종도 · 더보기 »

부호함수

실수 부호 함수의 그래프 복소수 부호 함수는 0이 아닌 복소수를 단위원에 사영시킨다. 수학에서, 부호 함수()는 수의 부호를 판별하는 함수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부호함수 · 더보기 »

대합 (수학)

합의 예. 수학에서, 대합(對合)은 정의역과 공역이 같고, 스스로의 역함수인 전단사 함수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대합 (수학) · 더보기 »

닫기 (형태학)

짙은 파란색 도형 (정사각형 두 개의 합집합)을 원판으로 닫은 것은 짙은 파란색과 연한 파란색 영역의 합집합이다. 수학적 형태학에서, 구조적 요소 B에 대한 집합 (이진 이미지) A의 닫기는 집합의 팽창의 침식이다, 이 때, \oplus와 \ominus는 각각 팽창과 침식을 의미.

새로운!!: 멱등법칙와 닫기 (형태학) · 더보기 »

장애 허용 시스템

시스템(Fault tolerant system)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에서 결함(fault) 또는 고장(failure)이 발생하여도 정상적 혹은 부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장애 허용 시스템 · 더보기 »

폐포연산

수학에서 집합 S의 폐포연산(閉包演算, closure operation) 또는 폐포연산자(閉包演算子, closure operator)란, S의 멱집합 \mathcal(S)에서 자기 자신으로 보내는 함수 \operatorname: \mathcal(S)\rightarrow \mathcal(S) 중 모든 X,Y\subseteq S에 대해 다음 성질을 만족하는 것을 말.

새로운!!: 멱등법칙와 폐포연산 · 더보기 »

점렬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점렬 공간(點列空間)은 위상수학적 구조를 그물 대신 점렬만으로 다룰 수 있는 위상 공간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점렬 공간 · 더보기 »

절댓값

수학에서, 절댓값(絶對-)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절댓값 · 더보기 »

주접속

미분기하학에서, 주접속(主接續)은 주다발 위에 정의되며, 그 군 작용과 호환되는 에레스만 접속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주접속 · 더보기 »

집합대수

집합대수(集合代數, algebra of sets)는 집합, 집합 연산(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집합 간의 관계(같음, 포함관계)에 대한 성질을.

새로운!!: 멱등법칙와 집합대수 · 더보기 »

참조 투명성

조 투명성와 참조 투명도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속성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참조 투명성 · 더보기 »

위상 벡터 공간

수학에서, 위상 벡터 공간(位相vector空間,, 약자 TVS)은 호환되는 위상이 주어진 벡터 공간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위상 벡터 공간 · 더보기 »

수학적 형태학

어떤 모양(파란색)과 그 모양의 다이아몬드 모양의 생성적 요소로의 팽창(초록색)과 침식(노란색). 수학적 형태학(MM)은 집합론, 격자론, 위상수학, 그리고 무작위 함수에 기반한 기하학적 구조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이론과 기술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수학적 형태학 · 더보기 »

열기 (형태학)

색 정사각형을 원판으로 연 것이다, 꼭짓점이 둥근 밝은 파란색 정사각형을 만든다. 수학적 형태학에서, 열기는 집합 A를 구조적 요소 B로 침식하고 팽창한 것이다: 이 때, \ominus와 \oplus는 각각 침식과 팽창을 의미.

새로운!!: 멱등법칙와 열기 (형태학) · 더보기 »

사유한군

수학에서, 사유한군(射有限群)은 유한군의 사영극한으로 얻어지는 위상군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사유한군 · 더보기 »

사영작용소

선형대수학에서, 사영 작용소(射影作用素)는 멱등 선형 변환이.

새로운!!: 멱등법칙와 사영작용소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멱등, 멱등 법칙, 멱등 함수, 멱등성, 멱등함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