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보살영락본업경

색인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23 처지: 범망경, 보살 수행계위, 보살계, 보살계본, 보살영락본업경,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선, 구경각, 등각, 율장, 영락, 영락경 (동음이의), 오주지번뇌, 오십이위, 삼삼매, 삼해탈문, 십회향, 십주, 십행, 십신, 화엄경.

범망경

《범망경 노사나불설 보살심지계품 제십》(梵網經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K.0527, T.1484), 줄여서 《범망경》(梵網經)은 계율이 정리되어 있는 대승불교의 불경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범망경 · 더보기 »

보살 수행계위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는 보살 즉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가 처음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후 수행의 공덕을 쌓아서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거쳐가는 단계 또는 계위(階位)를 말. 보살의 수행계위보살수행의 계위 또는 보살계위(菩薩階位).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보살 수행계위 · 더보기 »

보살계

보살계(菩薩戒)는 대승불교 수행자가 지키는 계율을 말. 대승계(大乘戒) 또는 대승보살계(大乘菩薩戒).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보살계 · 더보기 »

보살계본

보살계본(菩薩戒本)은 대승불교의 계율인 보살계가 정리되어 있는 불경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보살계본 · 더보기 »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보살영락본업경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선

선(善)이란, 《보살영락본업경》 하권의 〈7.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불교 용어 목록/선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구경각 · 더보기 »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등각 · 더보기 »

율장

율장(律藏)은 불교 교단의 계율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율장 · 더보기 »

영락

영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연호.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영락 · 더보기 »

영락경 (동음이의)

영락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영락경 (동음이의) · 더보기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five entrenchments of mental disturbanc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오주지번뇌 · 더보기 »

오십이위

52위(五十二位)는 대승불교에서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를 52가지로 나눈 것으로, 10신(十信)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을 말.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보살 수행계위의 수와 명칭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52위는 여러 보살 수행계위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오십이위 · 더보기 »

삼삼매

3삼매(三三昧)는 3가지 종류의 삼매 또는 3가지 삼매를 말. 3삼마지(三三摩地)3등지(三等持) 또는 3정(三定)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삼삼매 · 더보기 »

삼해탈문

3해탈문(三解脫門) 또는 3삼매문(三三昧門)은 3계의 고통의 원인이 되는 번뇌에서 해탈하여 열반을 득하는 방편인 공해탈문(空解脫門)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의 3가지 선정을 말. 공(空: 空寂, 실체가 없음)무상(無相: 차별이 없음)무원(無願: 원함 즉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 없음)을 관조하는 3가지 선정이 해탈 즉 열반에 들어가는 문(門, 방법, 방편)이 되기 때문에 3해탈문이라고 이름한 것으로, 3해탈(三解脫)3탈문(三脫門)3문(三門)3공문(三空門)3공관문(三空觀門) 또는 3삼매(三三昧) 또는 3공(三空)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삼해탈문 · 더보기 »

십회향

10회향(十廻向, 十迴向,, ten dedications, ten dedications of meri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십회향 · 더보기 »

십주

10주(十住,, ten abod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십주 · 더보기 »

십행

10행(十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십행 · 더보기 »

십신

10신(十信,, ten stages of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십신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보살영락본업경와 화엄경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본업경, 영락경, 영락본업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