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연개소문

색인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121 처지: 도교, 매국노, 문무왕, 방효태, 백강 전투, 발해 고왕, 박성민 (배우), 걸걸중상, 고돌발, 고려성, 고문 (인물), 고간 (당나라), 고복덕, 고구려,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수 전쟁, 고구려-수·당 전쟁, 고구려의 대외 관계, 고인범, 고정의, 고질, 고혜진, 고현 (642년), 고연수, 고환권, 보덕국, 보덕왕, 보장왕, 보원왕, 계백 (드라마), 글필하력, 김고타소, 김승기, 김진태 (배우), 김유신, 김윤형, 김혁 (1974년), 대막리지, 대조영 (드라마),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왕의 꿈, 국제 태권도 연맹, 나한일, 당 고종, 당나라,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 임성언, 평양성 (영화), 이리거세사, 이근행 (당나라), ..., 이종한, 이태곤 (배우), 익산 이씨, 은원재,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정아미 (희극인), 조갑제, 조경환 (배우), 주필산 전투, 천황 백제인설, 칼과 꽃, 유동근, 유오성, 위징, 탁원제, 태대막리지, 태종무열왕, 영류왕, 최동준, 최민수, 최충헌, 양만춘,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 (성씨), 연개 (성씨), 연개소문, 연개소문 (드라마), 연남건, 연남생, 연남산, 연정토, 연태조, 연수영, 연현은, 연헌성, 사수 전투, 삼국 시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삼국기, 삼국사기, 피휘, 선덕여왕, 설인귀, 손대음, 손종환, 한국 철학, 한국의 도교, 한국의 도교 사상, 한국의 고대 인명, 한국의 역사, 한국의 사라진 성씨,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국사기, 안재모, 안시성 전투,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신라의 삼국통일, 황산벌 (영화), 환단고기, 603년, 617년, 631년, 642년, 645년, 661년, 662년, 665년, 66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1 더)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연개소문와 도교 · 더보기 »

매국노

매국노(賣國奴)는 승식 행위를 한 자를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용어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매국노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문무왕 · 더보기 »

방효태

방효태(龐孝泰) 혹은 방효공(龐孝恭, ? ~ 662년)은 중국 당나라 초의 무장으로 백주(白州) 사람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방효태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박성민 (배우)

박성민(朴星珉, 1971년 4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박성민 (배우) · 더보기 »

걸걸중상

중상(乞乞仲象)은 고구려의 장수이자 고구려의 부흥을 이끈 지도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걸걸중상 · 더보기 »

고돌발

발(高突勃)은 고구려 말기의 무장으로, 고구려-당 전쟁 때 활약하였으며, 생몰연대는 미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돌발 · 더보기 »

고려성

성(高麗城)은 현재 중국의 땅에 있는 고려성유지(高麗城遺址)라고도 불리는 성으로 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縣) 송강진(松江鎭) 송강둔(松江屯) 서북쪽, 내몽고자치구 적봉시 임서현(内蒙古自治区赤峰市林西县) 북쪽 50Km지점에 있는 백탑자(白塔子), 하북성 진황도시 무녕현 온천보(河北省秦皇岛市抚宁县温泉堡村)의 북쪽 산중 고씨촌(高氏村) 등에 있는데 현지인들은 고려성이라고 부르고 있.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김용만, 2007년 도서출판 창해 출판), 북국발해탐험(김진광 편집, 2012년 박문사 출판) 참조.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려성 · 더보기 »

고문 (인물)

문(高文, ? ~ ?)은 고구려(高句麗) 말기의 장군이자 군인으로, 고구려-당 전쟁 때 활약하였으며, 생몰연대는 미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문 (인물) · 더보기 »

고간 (당나라)

(高侃, 高偘, ? ~ ?)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간 (당나라) · 더보기 »

고복덕

배내왕 고복덕(背奈王 高福德, ? ~ ?)은 고구려 평원왕의 손자이자 영류왕의 아들로, 영류왕의 태자 고환권의 동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복덕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구려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 전쟁

-수 전쟁(高句麗-隋 戰爭) 또는 여수전쟁(麗隋戰爭)은 598년, 612년, 613년, 614년에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구려-수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당 전쟁

수나라 및 당나라를 맞아 싸운 일련의 전쟁을 고구려-수·당 전쟁이라 총칭.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구려-수·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의 대외 관계

이글은 고구려의 대외 관계를 나라별로 서술한 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구려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고인범

인범(高仁範, 1959년 10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인범 · 더보기 »

고정의

정의(高正義, ? ~ ?)는 고구려 말의 대신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정의 · 더보기 »

고질

(高質, 626년~697년)은 당나라에 투항한 고구려 귀족이자 장수이며 당나라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질 · 더보기 »

고혜진

혜진(高惠眞, ? ~ ?)은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혜진 · 더보기 »

고현 (642년)

현(高玄, 642년 ~ 690년)은 삼국 시대와 당나라의 장수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현 (642년) · 더보기 »

고연수

연수(高延壽, ? ~ 645년)는 고구려 말의 무장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연수 · 더보기 »

고환권

환권(高桓權, ? ~ ?)은 고구려 영류왕(榮留王)의 아들이자, 고구려의 태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고환권 · 더보기 »

보덕국

보덕국(報德國, 674∼683)은 고구려 멸망 뒤, 674년(신라 문무왕 14)에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아들(외손 또는 연개소문의 동생 연정토의 아들로도 추정)인 안승(安勝)이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세운 나라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보덕국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보덕왕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보장왕 · 더보기 »

보원왕

보원왕(寶元王) 또는 고보원(高寶元, ? ~ ?)은 고구려의 왕족으로, 소고구려의 초대 국왕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보원왕 · 더보기 »

계백 (드라마)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계백 (드라마) · 더보기 »

글필하력

력(契苾何力, ? ~ 677년)은 중국 당나라의 무장으로,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활약하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글필하력 · 더보기 »

김고타소

소랑(古陀炤娘, 627년 이후 ~ 642년)은 대야성주 김품석의 부인으로, 김춘추(태종 무열왕)의 딸이며 김법민(문무왕)의 여동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고타소 · 더보기 »

김승기

승기(1976년 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승기 · 더보기 »

김진태 (배우)

(1951년 3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기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진태 (배우)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유신 · 더보기 »

김윤형

 김윤형(1949년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윤형 · 더보기 »

김혁 (1974년)

혁(1974년 1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김혁 (1974년) · 더보기 »

대막리지

막리지(大莫離支)는 고구려의 관직 중 하나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대막리지 · 더보기 »

대조영 (드라마)

《대조영》(大祚榮)은 KBS가 2006년 9월 16일부터 2007년 12월 23일까지 방영한 고구려·발해사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대조영 (드라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국제 태권도 연맹

국제 태권도 연맹(國際跆拳道聯盟,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은 1966년 3월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인 최홍희가 주축이 되어 설립한 국제 태권도 단체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국제 태권도 연맹 · 더보기 »

나한일

일(羅漢一, 1955년 10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한국해동검도협회 총재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나한일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당 고종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당나라 · 더보기 »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

스타크래프트에서 사용자 제작 지도(유즈 맵)는 블리자드사의 공식 지도 외의, 일반 사용자가 지도 편집기를 사용하여 만든 지도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 · 더보기 »

임성언

임성언(1983년 9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임성언 · 더보기 »

평양성 (영화)

《평양성》은 201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평양성 (영화) · 더보기 »

이리거세사

이리거세사(? ~ 642년)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대신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이리거세사 · 더보기 »

이근행 (당나라)

이근행(李謹行, ? ~ 682년)은 당나라의 장수로 고구려, 신라와의 전쟁 기록에 자주 등장하며 그 외의 북방 유목 민족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

새로운!!: 연개소문와 이근행 (당나라) · 더보기 »

이종한

이종한(李種漢, 1952년 8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PD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이종한 · 더보기 »

이태곤 (배우)

이태곤(1977년 11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이태곤 (배우) · 더보기 »

익산 이씨

익산 이씨(益山 李氏)는 고구려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익산 이씨 · 더보기 »

은원재

은원재(1994년 7월 2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새로운!!: 연개소문와 은원재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3차 고구려-당 전쟁

665년 연개소문이 죽고 그의 맏아들 연남생이 부친을 대신하여 막리지가 되었.

새로운!!: 연개소문와 제3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정아미 (희극인)

정아미(1982년 1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정아미 (희극인) · 더보기 »

조갑제

조갑제(趙甲濟, 1945년 10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조갑제 · 더보기 »

조경환 (배우)

조경환(趙卿煥, 1945년 3월 21일 ~ 2012년 10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조경환 (배우) · 더보기 »

주필산 전투

주필산 전투(駐蹕山 戰鬪)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645년(보장왕 4)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당의 대군과 이에 반격하려는 고구려의 15만 대군이 동원되어 안시성 부근에서 교전하였던 중국 한족과-한국 한민족 간에 벌어진 고대의 대규모 전투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주필산 전투 · 더보기 »

천황 백제인설

황 백제인설 은 6~7세기경 백제의 왕족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의 천황이 되었다는 설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천황 백제인설 · 더보기 »

칼과 꽃

《칼과 꽃》은 2013년 7월 3일부터 2013년 9월 5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20부작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칼과 꽃 · 더보기 »

유동근

유동근(1956년 6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유동근 · 더보기 »

유오성

유오성(劉五性, 1966년 9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새로운!!: 연개소문와 유오성 · 더보기 »

위징

위징 위징(魏徵, 580년 - 643년)은 당나라의 정치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위징 · 더보기 »

탁원제

탁원제(卓元濟, 1944년 7월 1일 ~)는 한국의 남자 성우.

새로운!!: 연개소문와 탁원제 · 더보기 »

태대막리지

막리지(太大莫離支)는 연남생과 연남건이 자신의 아버지인 연개소문의 대막리지보다 더 큰 정치적 위치를 강화하고, 강대한 권력을 장악하기 위하여(실질적인 성격은 대막리지와 같은 것이지만) 태대막리지라고 하는 관직을 신설하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태대막리지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영류왕

영류왕(榮留王, ? ~ 642년)은 고구려의 제27대 국왕(재위: 618년 ~ 642년)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영류왕 · 더보기 »

최동준

동준(崔東俊, 1959년 8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최동준 · 더보기 »

최민수

민수(1962년 5월 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최민수 · 더보기 »

최충헌

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최충헌 · 더보기 »

양만춘

양만춘(梁萬春/楊萬春, ? ~ ?)은 고구려 말의 군인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양만춘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 (성씨)

연(延, 燕, 淵) 또는 련(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 (성씨) · 더보기 »

연개 (성씨)

연개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개 (성씨)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연남건

연남건(淵男建, 635년~638년 ~ ?)은 연개소문의 2남이며, 고구려-당 전쟁 때 대막리지로 고구려군을 총지휘를 하였으며, 정확한 생몰연대는 미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남건 · 더보기 »

연남생

연남생(淵男生, 634년~679년)은 연개소문의 맏아들이며, 제2대 대막리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남생 · 더보기 »

연남산

연남산(淵男産, 639년~701년)은 고구려의 귀족으로 연개소문(617-666)의 셋째 아들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남산 · 더보기 »

연정토

연정토(淵淨土)는 고구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동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정토 · 더보기 »

연태조

연태조(淵太祚, 568년 - 631년)는 고구려의 귀족이자 정치인으로 동부욕살과 막리지를 역임.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태조 · 더보기 »

연수영

연수영(淵秀英)은 고구려 연개소문의 누이동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수영 · 더보기 »

연현은

연현은(淵玄隱, ?~?)은 당나라에서 활동한 고구려 출신 장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현은 · 더보기 »

연헌성

연헌성(淵獻誠, 651년 ~ 692년)은 연남생의 아들이자 연개소문의 손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연헌성 · 더보기 »

사수 전투

사수 전투(蛇水戰鬪)는, 제2차 고당전쟁 중이던 고구려 보장왕 21년(662년) 고구려의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당의 임아상, 방효태가 지휘하는 패강도행군, 옥저도행군을 몰살시킨 싸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사수 전투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연개소문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음은 삼국시대 주요 인물들의 목록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삼국기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삼국사기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피휘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설인귀

설인귀(薛仁貴, 613년 ~ 683년)은 당나라 초기의 명장 중의 하나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설인귀 · 더보기 »

손대음

손대음(孫代音)은 고구려(高句麗) 말기의 백암성 성주이며, 고구려-당 전쟁 때 당나라에 항복하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손대음 · 더보기 »

손종환

손종환(1965년 1월 10일 ~)은 한국의 남자성우.

새로운!!: 연개소문와 손종환 · 더보기 »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 철학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국의 도교는 한국에서 전개된 도교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도교 · 더보기 »

한국의 도교 사상

국의 도교(道敎)를 다루는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있.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한국 고래의 민족 고유 신앙에 원류를 두고 있다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의 도교가 중국에서의 도교, 즉 중국 민족의 민간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을 중심으로 정립된 후한(後漢: 25~220) 말기의 기원후 2세기 전반기에 장각(張角: ?~184)이 개창한 태평도(太平道)와 장릉(張陵: 34~156)이 개창한 오두미도(五斗米道)를 도교의 원류로 보는 관점에서 한국의 도교를 설명하는 경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도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고대 인명

국의 고대 인명(韓國의 古代 人名)은 중국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한반도에서 쓰이던 고유 인명체계를 말.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과 중국문물 수입에 따른 인명의 한화(漢化) 이전의 삼국시대 및 그 이전에는 고유어 인명이 널리 쓰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고대 인명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사라진 성씨

국의 사라진 성씨는 문헌에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지 않는 성씨를 말.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사라진 성씨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한국사기 · 더보기 »

안재모

안재모(安在模, 1979년 9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안재모 · 더보기 »

안시성 전투

안시성 전투(645년, 보장왕 4년)는 고구려-당 전쟁 중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3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안시성 전투 · 더보기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는 1965년에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소그드인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연개소문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황산벌 (영화)

《황산벌》은 2003년 개봉된, 황산벌 전투를 다룬 대한민국의 역사 코미디 영화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황산벌 (영화) · 더보기 »

환단고기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이유립이 1979년에 출간한 책이.

새로운!!: 연개소문와 환단고기 · 더보기 »

6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03년 · 더보기 »

6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17년 · 더보기 »

6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31년 · 더보기 »

64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42년 · 더보기 »

6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45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61년 · 더보기 »

6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62년 · 더보기 »

6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65년 · 더보기 »

6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연개소문와 66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갓쉰동, 고구려 연개소문, 이리가수미, 이리카스미, 천개소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