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유리 함수

색인 유리 함수

수학과 해석학에서, 유리 함수(有理函數)란 두 다항함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

40 처지: 룽게의 정리, 모듈러 군, 모듈러 형식,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베유 추측, 분수 (수학), 분수체, 부분분수, 대역체,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국소화 (환론), 다중로그, 다항식, 단순 확대, 힐베르트 문제, 크룰 차원, 이산 값매김환, 적분표, 지겔 모듈러 형식, 체 (수학), 체의 확대, 초등함수, 초월함수, 치환적분, 유리 다양체, 유리 함수층, 유리형 함수, 팽르베 방정식, 파데 근사, 타원함수, 순서체, 오일러 치환, 형식적 멱급수, 연속체 가설, 프로베니우스 사상, 함수의 극한, 하세-베유 제타 함수, 완전체, J-불변량.

룽게의 정리

극점을 갖는 유리 함수로 근사 시킬 수 있다. 복소해석학에서, 룽게의 정리() 또는 룽게의 근사 정리(Runge's approximation theorem는 1885년에 정리를 증명한 독일의 수학자 카를 다비트 톨메 룽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정리이다.

새로운!!: 유리 함수와 룽게의 정리 · 더보기 »

모듈러 군

수학에서, 모듈러 군() 또는 보형군(保型群)은 정수 계수의 뫼비우스 변환의 군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모듈러 군 · 더보기 »

모듈러 형식

모듈러 형식(modular形式)은 수학에서 특정한 종류의 함수 방정식과 증가 조건을 만족하는, 상반 평면 위에서 정의되는 (복소) 해석함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모듈러 형식 · 더보기 »

모듈러성 정리

수기하학과 수론에서, 모듈러성 정리() 또는 다니야마-시무라-베유 추측()은 타원곡선과 고전 모듈러 곡선의 관계에 대한 정리.

새로운!!: 유리 함수와 모듈러성 정리 · 더보기 »

가환대수학

상대수학의 한 분야인 가환대수학(可換代數學)은 가환환과 그 아이디얼 및 가환환상의 가군을 연. 대수기하학과 대수적 수론은 둘 다 가환대수학을.

새로운!!: 유리 함수와 가환대수학 · 더보기 »

베유 추측

수론과 대수기하학에서, 베유 추측()은 유한체 위에 정의된 대수다양체의 점의 수에 대한 네 개의 정리들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베유 추측 · 더보기 »

분수 (수학)

이크를 네 등분한 뒤 한 조각을 가져갔을 때, 가져간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일이며, 남은 부분은 전체 케이크의 사분의 삼이다. 수학에서, 분수(分數)는 어떤 정수 a를 0이 아닌 정수 b로 나눈 몫을 a/b의 형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부분이 전체를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수식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분수 (수학) · 더보기 »

분수체

상대수학에서, 분수체(分數體)는 정역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는 체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분수체 · 더보기 »

부분분수

수학에서 부분분수분해(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또는 부분분수전개(partial fraction expansion)는 유리식의 분자나 분모의 차수를 낮추는 데 이용.

새로운!!: 유리 함수와 부분분수 · 더보기 »

대역체

수적 수론에서, 대역체(大域體)는 대수적 수체 및 이와 유사한 함수체를 통틀어 이르는 개념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대역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유리 함수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 더보기 »

국소화 (환론)

환론에서, 국소화(局所化)는 환의 일부 원소에 역원을 추가하여 가역원으로 만드는 방법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국소화 (환론) · 더보기 »

다중로그

수학에서, 다중로그(多重log) 또는 폴리로그는 로그를 일반화한 특수 함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다중로그 · 더보기 »

다항식

수학에서, 다항식(多項式)은 문자의 거듭제곱의 상수 배 여럿의 합을 표현하는 수식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다항식 · 더보기 »

단순 확대

에서, 단순 확대(單純擴大)는 하나의 원소로 생성되는 체의 확대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단순 확대 · 더보기 »

힐베르트 문제

힐베르트의 문제(Hilbert's problems)는 수학 문제 23개로, 독일의 수학자인 다비트 힐베르트가 1900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20세기에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로 제안한 것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힐베르트 문제 · 더보기 »

크룰 차원

환대수학과 대수기하학에서, 크룰 차원(Krull次元)은 가환환에 대한 차원의 일종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크룰 차원 · 더보기 »

이산 값매김환

환대수학에서, 이산 값매김환(離散-環,, 약자 DVR) 또는 이산 부치환(離散賦値環)은 정확히 하나의 0이 아닌 극대 아이디얼을 갖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이산 값매김환 · 더보기 »

적분표

적분(積分)은 미적분학의 두 기본연산 중의 하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적분표 · 더보기 »

지겔 모듈러 형식

수학에서, 지겔 모듈러 형식()은 보형 형식의 한 종류이자 모듈러 형식의 일반화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지겔 모듈러 형식 · 더보기 »

체 (수학)

상대수학에서, 체(體)는 사칙연산이 자유로이 시행될 수 있고, 산술의 잘 알려진 규칙들을 만족하는 대수 구조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체 (수학) · 더보기 »

체의 확대

에서, 체의 확대(體의 擴大)는 주어진 체에 원소를 추가하여 얻는 더 큰 체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체의 확대 · 더보기 »

초등함수

수학에서, 초등 함수(初等函數)는 대수 함수와 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에 사칙 연산 및 함수의 합성을 가하여 만들 수 있는 일변수 함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초등함수 · 더보기 »

초월함수

월함수(超越函數)는 대수함수와 대조적으로, 다항식으로 구성되지 않는 함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초월함수 · 더보기 »

치환적분

미적분학에서 치환적분(置換積分)은 변수의 치환을 통해 적분을 구하는 방법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치환적분 · 더보기 »

유리 다양체

수기하학에서, 유리 다양체(有理多樣體)는 사영 공간과 쌍유리 동치인 대수다양체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유리 다양체 · 더보기 »

유리 함수층

수기하학에서, 유리 함수층(有理函數層)는 어떤 대수다양체 위에 존재하는 유리 함수들로 구성된 층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유리 함수층 · 더보기 »

유리형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유리형 함수(有理型函數)는 극점을 가질 수 있지만 본질적 특이점을 가지지 않고, 특이점을 제외한 다른 모든 점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새로운!!: 유리 함수와 유리형 함수 · 더보기 »

팽르베 방정식

팽르베 방정식()은 다음의 6개의 2차 비선형 해석적 상미분 방정식을 일컫.

새로운!!: 유리 함수와 팽르베 방정식 · 더보기 »

파데 근사

석학에서, 파데 근사(Padé近似)는 어떤 함수를 유리 함수로 근사하는 방법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파데 근사 · 더보기 »

타원함수

복소해석학에서, 타원 함수(楕圓函數)는 복소 타원 곡선 위에 정의된 유리형 함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타원함수 · 더보기 »

순서체

수학에서, 순서체(順序體)는 전순서가 주어진 체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순서체 · 더보기 »

오일러 치환

미적분학에서 오일러 치환(-置換)은 x와 \sqrt에 관한 유리 함수 R의 적분 을 구하는 방법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오일러 치환 · 더보기 »

형식적 멱급수

수학에서, 형식적 멱급수(形式的冪級數)는 수렴할 필요가 없는 멱급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형식적 멱급수 · 더보기 »

연속체 가설

집합론에서, 연속체 가설(連續體假說,, 약자 CH)은 실수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가산 집합이거나 아니면 실수 집합과 크기가 같다는 명제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연속체 가설 · 더보기 »

프로베니우스 사상

환대수학과 체론에서, 프로베니우스 사상(Frobenius寫像)은 양의 소수 표수에서 정의되는 가환환 또는 체의 자기 사상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프로베니우스 사상 · 더보기 »

함수의 극한

석학에서, 함수의 극한()은 독립 변수가 일정한 값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함수의 값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값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함수의 극한 · 더보기 »

하세-베유 제타 함수

수학에서, 하세-베유 제타 함수()는 주어진 대수다양체의 일부 성질들을 나타내는 L-함수의 하나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하세-베유 제타 함수 · 더보기 »

완전체

상대수학에서, 완전체(完全體)는 그 갈루아 이론이 특별히 단순한 체이.

새로운!!: 유리 함수와 완전체 · 더보기 »

J-불변량

j-불변량 j(\tau)의 그래프 수학에서, j-불변량(j-不變量)은 모듈러 함수의.

새로운!!: 유리 함수와 J-불변량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무리식, 유리 함수체, 유리식, 유리함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