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윤웅렬

색인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105 처지: 독립공채표, 명성황후 (드라마), 민겸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영목, 민영익, 민원식, 반계, 반계 윤웅렬 별장, 갑신정변, 박규수, 박정양, 박중양, 강위, 박영교, 공덕귀,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암정 (별장), 기호흥학회, 김경천 (1888년), 김병기 (1814년), 김두만 (1927년), 김일성 가짜설, 김옥균, 김홍집 (1842년),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대한제국 고종, 국채보상운동, 작위, 임오군란, 포산 (승려), 이동인, 이봉의, 이규완, 이노우에 가오루, 이용익, 전동장, 전라남도 관찰사, 정광현, 정난교, 정한론, 조선귀족, 찬란한 여명, 청년학우회, 청안군 (1851년), 춘생문 사건,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유길준, 유혁로, ..., 육용정, 윤 (성씨), 윤명선 (1900년), 윤문희, 윤경완, 윤보선, 윤광선, 윤기선, 윤두수, 윤득우, 윤득실, 윤노덕, 윤장선, 윤일선, 윤흔, 윤제동, 윤창구, 윤취동, 윤치명, 윤치병, 윤치창, 윤치영,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 묘역, 윤치호의 사상, 윤치성, 윤치소, 윤치왕, 윤택영, 윤영렬, 윤영선 (1896년), 윤옥 (1694년), 윤연선 (1936년), 윤세겸, 윤필오, 윤원선, 윤훤, 어윤중, 양기탁, 서광범, 서재필, 서얼, 해평 윤씨, 해평 윤씨 (1835년), 한일 관계, 한제국 건국사, 한성부민회, 하응선, 신응희, 십삼도, 후쿠자와 유키치, 홍순목, 홍순형, 홍영식.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5 더) »

독립공채표

윤치영이 소장하고 있던 액면가 50달러권 독립공채 채권윤치영은 해당 공채표를 한국일보에 공개한 뒤, 금액을 받지 않고 기증하였다. 독립공채표 또는 대한독립공채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최초의 채권이.

새로운!!: 윤웅렬와 독립공채표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윤웅렬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윤웅렬와 민겸호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귀족 작위를 수작했거나 습작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윤웅렬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민영목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민영익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민원식 · 더보기 »

반계

반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윤웅렬와 반계 · 더보기 »

반계 윤웅렬 별장

반계 윤웅렬 별장(磻溪 尹雄烈 別莊) 또는 반계 윤웅렬 별서(磻溪 尹雄烈 別書)는 대한제국 시기에 법부대신과 군부대신을 지낸 반계 윤웅렬이 당시 도성 내에 유행하던 성홍열 등을 피해 지내기 위해 도성 밖 경승지로 첫 손에 꼽히던 창의문 밖 부암동에 조성한 별장이.

새로운!!: 윤웅렬와 반계 윤웅렬 별장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윤웅렬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윤웅렬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정양

박정양, 1888년 박정양(朴定陽, 1842년 2월 4일(1841년 음력 12월 24일) ~ 1905년 12월 15일(음력 11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박정양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박중양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윤웅렬와 강위 · 더보기 »

박영교

박영교(朴泳敎, 1849년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 혁신파 정객으로 자는 자명(子明), 본관은 반남, 시호는 충목이다. 박원양의 아들이자, 박영효의 형이다. 관직은 통정대부 승정원도승지에 이르렀다. 박규수, 유대치의 문인이다. 일찍부터 먼 친척이자 개화사상가인 재동 박규수의 문하에 출입하며 수학했고 이어 유대치의 문하에도 출입했다. 이어 동생인 박영효 역시 박규수와 유대치의 문하에 출입하게 하여 수학케 했다. 1881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1884년 동생 박영효, 김옥균, 홍영식 등과 모의하여 갑신정변을 일으키는데 가담, 승정원도승지가 되었으나 3일만에 왕비 민씨의 청나라 군대 요청으로 거사가 좌절되자 북관동묘까지 고종을 끝까지 호위하다가 청나라 군사들에게 홍영식과 함께 살해당했다. 사후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윤웅렬와 박영교 · 더보기 »

공덕귀

공덕귀(孔德貴, 1911년 4월 21일 ~ 1997년 11월 24일, 경남 통영)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사회사업가이자 여성운동가, 신학자, 종교인, 사회기관단체인, 야당운동가이며, 영부인으로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두 번째 아내이.

새로운!!: 윤웅렬와 공덕귀 · 더보기 »

부용산 윤영렬 묘역

부용산 윤영렬 묘역(芙蓉山尹英烈墓域) 또는 부용산 윤보선 대종묘(芙蓉山尹潽善大宗廟)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산 3-1번지 부용산에 마련된 조선 말기의 장군 윤영렬, 한진숙 일가족의 묘역이.

새로운!!: 윤웅렬와 부용산 윤영렬 묘역 · 더보기 »

부암정 (별장)

부암정(傅巖亭) 또는 윤가정원(尹家庭園)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있던 독립운동가 겸 철학자 윤치호의 별장이.

새로운!!: 윤웅렬와 부암정 (별장) · 더보기 »

기호흥학회

호흥학회(畿湖興學會)는 대한제국 시기에 결성된 애국계몽 운동 계열의 단체이.

새로운!!: 윤웅렬와 기호흥학회 · 더보기 »

김경천 (1888년)

경천(金擎天, 1888년 6월 5일 ~ 1942년 1월 2일)은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서 해외로 망명하여 일제 강점기에 무장 독립 운동을 벌인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김경천 (1888년) · 더보기 »

김병기 (1814년)

병기(金炳基, 1814년 ~ 1891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옥천군수, 강릉부사, 통정대부, 형조참의 등을.

새로운!!: 윤웅렬와 김병기 (1814년) · 더보기 »

김두만 (1927년)

만(金斗萬, 1927년 2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이며 정치가 겸 기업가이며 교육행정가 및 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김두만 (1927년) · 더보기 »

김일성 가짜설

일성 가짜설은 해방 후 소련군과 함께 평양에 온 북한 김일성이 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에서 김일성 장군을 자칭하며 처음 대중앞에 나선 당시 나이가 33세로 너무 젊어서 1920년 무렵부터 유명했던 김일성 장군으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군중들 사이에 가짜라는 소동이 벌어지면서 처음 대두되었.

새로운!!: 윤웅렬와 김일성 가짜설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윤웅렬와 김옥균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윤웅렬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중 정치 부문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윤웅렬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 정치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윤웅렬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국채보상운동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은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으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제안하였.

새로운!!: 윤웅렬와 국채보상운동 · 더보기 »

작위

작위(爵位)는 왕족이나 공적이 뛰어난 귀족에게 수여하던 명예의 칭호 또는 그 계급을 가리.

새로운!!: 윤웅렬와 작위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윤웅렬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포산 (승려)

산, 1939년 무렵 포산(飽山) 또는 포산당 혜천(飽山堂 慧天, 1912년 10월 12일 ~ 1971년 9월 6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불교 조계종 승려였.

새로운!!: 윤웅렬와 포산 (승려) · 더보기 »

이동인

이동인(李東仁, 1849년? ~ 1881년 5월)은 조선 후기의 불교 승려이자 외교관, 개화 사상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이동인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윤웅렬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윤웅렬와 이규완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윤웅렬와 이용익 · 더보기 »

전동장

전동장(典洞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5-18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무신 윤웅렬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계몽사상가, 교육인인 좌옹 윤치호가 살던 대저택을 말. 전동장과는 별도로 안국동의 윤보선 사저는 안동장이라고 불. 1860년경부터 1905년까지 윤웅렬이 거주했고, 1905년부터 1945년까지는 좌옹 윤치호가 거주하던 저택으로 본래는 윤치호의 아버지 윤웅렬이 매입한 자택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전동장 · 더보기 »

전라남도 관찰사

전라남도 관찰사(全羅南道觀察使)는 대한제국 전라남도의 지방 장관으로 오늘날의 전라남도지사에 해당.

새로운!!: 윤웅렬와 전라남도 관찰사 · 더보기 »

정광현

정광현(鄭光鉉, 1902년~ 1980년 12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

새로운!!: 윤웅렬와 정광현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윤웅렬와 정난교 · 더보기 »

정한론

정한론() 또는 정조론(征朝論)은 19세기 말 당시, 일본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 또는 신념이.

새로운!!: 윤웅렬와 정한론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윤웅렬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윤웅렬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청년학우회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는 1909년 2월부터 1910년 11월까지 활동한 청년 계몽운동 목적의 시민단체이자 신민회의 측면 조직 단체였.

새로운!!: 윤웅렬와 청년학우회 · 더보기 »

청안군 (1851년)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윤웅렬와 청안군 (1851년) · 더보기 »

춘생문 사건

생문 사건(春生門 事件)은 1895년 11월에 한성부에서 발생한 친러파, 친미파, 개화파 대 친일파 간의 무력 충돌 사건이.

새로운!!: 윤웅렬와 춘생문 사건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親日反民族行爲106人名單)은 2006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강만길)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초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06명에 관한 명단이.

새로운!!: 윤웅렬와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 · 더보기 »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 가운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거나 물려받은 115명의 명단이.

새로운!!: 윤웅렬와 친일파 708인 명단 - 조선귀족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유길준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윤웅렬와 유혁로 · 더보기 »

육용정

육용정(陸用鼎, 1842년 ~ 1917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소설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육용정 · 더보기 »

윤 (성씨)

윤(尹)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 (성씨) · 더보기 »

윤명선 (1900년)

윤명선(尹明善, 1900년 9월 1일 - 1946년 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과 만주국의 관료, 럭비 선수, 문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명선 (1900년) · 더보기 »

윤문희

윤문희(尹文姬, 1907년 9월 18일 - ?)는 조선후기의 무신 윤웅렬의 손녀이며,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사상가 윤치호의 셋째 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문희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윤경완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보선 · 더보기 »

윤광선

윤광선, 1935년 윤광선(尹光善, 1898년 11월 17일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낙농, 경영인이자, 미군정기의 통역관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윤광선 · 더보기 »

윤기선

윤기선(尹琦善, 영문명 Kee-Suhn Yoon, 1921년 10월 22일 ~ 2013년 7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피아니스트이며 대한민국, 미국의 음악가 겸 대학 교수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기선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두수 · 더보기 »

윤득우

윤득우(尹得雨, 1719년 2월 9일 - 1774년 8월 7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득우 · 더보기 »

윤득실

윤득실(尹得實, 1768년 - 1823년 9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였.

새로운!!: 윤웅렬와 윤득실 · 더보기 »

윤노덕

윤노덕(尹老德, 1889년 9월 19일 ~ 1979년 10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노덕 · 더보기 »

윤장선

윤장선(尹璋善, 다른 이름은 워싱턴 윤(Washington Yoon), 1920년 1월 27일 ~ 2004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외교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장선 · 더보기 »

윤일선

윤일선(尹日善, 1896년 10월 5일 ~ 1987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사, 대학교수, 대학총장, 사회 운동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일선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흔 · 더보기 »

윤제동

윤제동(尹悌東,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제동 · 더보기 »

윤창구

윤창구(尹昌求, 1941년 12월 18일 ~ 1991년 7월 27일)는 대한민국의 화학자 겸 공학자, 교육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창구 · 더보기 »

윤취동

윤취동(尹取東, 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효자, 문신으로 윤두수의 7대손이며 증조는 돈령부사 윤세겸(尹世謙)이고 조부는 낭청을 지내고 증 호조참의와 증 비서원승에 추증된 윤발(尹潑)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취동 · 더보기 »

윤치명

윤치명(尹致明, 1885년 10월 27일(음력 9월 20일) ~ 1944년 양력 4월 21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 겸 교육자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명 · 더보기 »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병 · 더보기 »

윤치창

윤치창 (1961년 이전) 윤치창(尹致昌, 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상인이자 기업인이자 미군정의 관료, 대한민국의 은행원, 공무원, 외교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창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오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호 묘역

윤치호 묘역 또는 윤치호 일가 묘역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330-2번지에 있는 구한말의 독립운동가 겸 계몽사상가 윤치호 일가의 묘역을 말. 근처 둔포면 신항1리는 윤보선, 윤일선, 윤치호의 고향으로 윤보선 대통령 생가와 윤일선 가옥, 윤제형 가옥, 윤승구 가옥 등이 소재해 있.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호 묘역 · 더보기 »

윤치호의 사상

윤치호 본 문서는 윤치호의 사상에 대하여 설명.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호의 사상 · 더보기 »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성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소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치왕 · 더보기 »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윤택영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영렬 · 더보기 »

윤영선 (1896년)

윤영선(尹永善, 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영선 (1896년) · 더보기 »

윤옥 (1694년)

윤옥(尹沃, 1694년 10월 18일 - 1767년 4월 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옥 (1694년) · 더보기 »

윤연선 (1936년)

윤연선(尹然善, 1936년 1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자 공공기업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연선 (1936년) · 더보기 »

윤세겸

윤세겸(尹世謙, 1668년 6월 18일 - 1749년 9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세겸 · 더보기 »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새로운!!: 윤웅렬와 윤필오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새로운!!: 윤웅렬와 윤원선 · 더보기 »

윤훤

윤훤(尹暄, 1573년 ~ 1627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군인, 작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윤훤 · 더보기 »

어윤중

어윤중의 편지 서찰 어윤중(魚允中, 1848년 ~ 189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윤웅렬와 어윤중 · 더보기 »

양기탁

양기탁(梁起鐸, 문화어:량기탁, 1871년 4월 2일 ~ 1938년 4월 1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양기탁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윤웅렬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새로운!!: 윤웅렬와 서얼 · 더보기 »

해평 윤씨

평 윤씨(海平 尹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윤웅렬와 해평 윤씨 · 더보기 »

해평 윤씨 (1835년)

평윤씨 부인(海平尹氏 夫人, 1835년 - 1920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초기의 여성 지식인으로, 한글로 된 《윤상공 선정록고》(尹相公善政錄攷)를.

새로운!!: 윤웅렬와 해평 윤씨 (1835년)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윤웅렬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윤웅렬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새로운!!: 윤웅렬와 한성부민회 · 더보기 »

하응선

응선(河應善, ? ∼ 1884년 12월)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으로 갑신정변에 참여하였다가 정변 실패 후 홍영식, 박영교, 사관생도 7명과 함께 처형당.

새로운!!: 윤웅렬와 하응선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윤웅렬와 신응희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윤웅렬와 십삼도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윤웅렬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윤웅렬와 홍순목 · 더보기 »

홍순형

홍순형(洪淳馨, 1858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문(汝聞),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윤웅렬와 홍순형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윤웅렬와 홍영식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반계 윤웅렬, 윤웅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