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주 무왕

색인 주 무왕

주 무왕(周 武王)은 주나라의 제1대 왕이.

105 처지: 덴무 천황, 동괵, 동사 (이종휘), 동사강목, 멍진 현, 모 (춘추), 목야 전투, 무 (시호), 무경 (상나라), 문중 (봉신연의), 미자, 감 (춘추), 방통, 백읍고, 백이와 숙제, 강상, 고조선의 건국 신화, 고촉 (춘추 전국), 부절, 기 (사성), 기자 (고조선), 기자조선, 금등지사, 비렴, 비간 (상나라), 구미호, 구정 (중국), 등 (희성), 뇌진자, 노 (춘추 전국), 단군, 달기, 담계 재, , 당숙 우, 우 (춘추, 邘), 운 (춘추), 자동기계, 장안, 이이, 이종휘, 응 (제후), 제신, 전한 폐제, 정봉시, 조 (춘추), 조 (성씨), 조숙 진탁, 조선 정조, 주 (춘추 전국), ..., 주 (성씨), 주 문왕, 주 태왕, 주 성왕, 주공 단, 주나라, 주나라 가계도, 진 (규성), 진 (희성), 채 (춘추), 채 (성씨), 채숙 도, 초 (춘추 전국), 유교, 윤휴, 패자, 위 (전국), 위 (춘추 전국), 위 (성씨), 위 강숙, 상나라, 태사, 탕 (상나라), 숙신, 혁명, 오 (춘추), 오래, 오대 (오대 십국), 양만춘, 역사 연표, 연 (춘추 전국), 허 (춘추), 허 문숙, 허목, 풍호, 산시성 (섬서성), 삼감의 난, 성 (춘추), 서경 (책), 서주, 송 (춘추 전국), 소 (기성), 소공 석, 통천교주, 안양 시, 필 (춘추), 신사임당, 심 (춘추), 십란, 원 (춘추), 후작, 후주, 웅역, 황비호, 왕자 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5 더) »

덴무 천황

무 천황()은, 7세기 후반의 일본의 천황이.

새로운!!: 주 무왕와 덴무 천황 · 더보기 »

동괵

동괵(東虢)은 서주 초기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동괵 · 더보기 »

동사 (이종휘)

《동사》(東史)는 조선 후기 이종휘(1731년 ~ 1797년)가 지은 역사 책이.

새로운!!: 주 무왕와 동사 (이종휘)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주 무왕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멍진 현

멍진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허난 성 뤄양 시의 현급 행정구역이.

새로운!!: 주 무왕와 멍진 현 · 더보기 »

모 (춘추)

모(毛, ? ~ 기원전 516년)는 중국 춘추 시대 주나라의 제후국으로, 작위는 백작이며 성은 희(姬)이.

새로운!!: 주 무왕와 모 (춘추) · 더보기 »

목야 전투

목야 전투(牧野戰鬪)는, 고대 중국 기원전 11세기에 은(殷)의 제신(帝辛)과 주(周)의 무왕(武王)을 중심으로 하는 세력이 목야(牧野)에서 벌인 싸움.

새로운!!: 주 무왕와 목야 전투 · 더보기 »

무 (시호)

무(武)는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주 무왕와 무 (시호) · 더보기 »

무경 (상나라)

무경(武庚, 기원전 11세기)은 은나라 말기의 인물이.

새로운!!: 주 무왕와 무경 (상나라) · 더보기 »

문중 (봉신연의)

봉신연의의 문중(왼쪽 그림) 문중(聞仲)는 《봉신연의(封神演義)》에서 나오는 가공 인물로, 상나라의 태사(太師)이.

새로운!!: 주 무왕와 문중 (봉신연의) · 더보기 »

미자

미자(微子, ? ~ ?)는 중국 상나라의 왕족이자, 서주의 제후국인 송나라의 초대 공작(재위: 기원전 1038년 ? ~ 기원전 1025년 ?)이.

새로운!!: 주 무왕와 미자 · 더보기 »

감 (춘추)

(甘)은 주나라의 제후국 중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감 (춘추) · 더보기 »

방통

방통(龐統, 179년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사원(士元)이며 형주 남군 양양현(襄陽縣) 사람이.

새로운!!: 주 무왕와 방통 · 더보기 »

백읍고

백읍고(伯邑考)는 기원전 12세기 문왕(文王)인 희창(姬昌)의 아들이자 무왕(武王)의 형이.

새로운!!: 주 무왕와 백읍고 · 더보기 »

백이와 숙제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상나라 말기의 형제로, 끝까지 군주에 대한 충성을 지킨 의인으로 알려져 있. 백이와 숙제에 관한 이야기는 《사기》의 열전에 나온.

새로운!!: 주 무왕와 백이와 숙제 · 더보기 »

강상

강상의 초상. 태공상(太公像)이라고 적혀 있다. 강상(姜尙)은 기원전 1211년(은나라 경정(庚丁) 8년)에 출생하여 기원전 1072년(주강왕 6년)에 사망할 때까지 나이가 139세에.

새로운!!: 주 무왕와 강상 · 더보기 »

고조선의 건국 신화

조선의 건국 신화는 한반도 최초의 나라인 고조선의 건국에 대한 이야기이.

새로운!!: 주 무왕와 고조선의 건국 신화 · 더보기 »

고촉 (춘추 전국)

촉(古蜀)은 고대에 쓰촨 성에 있던 나라이.

새로운!!: 주 무왕와 고촉 (춘추 전국) · 더보기 »

부절

부절(符節) 또는 절월(節鉞)은, 고대 중국에서 중앙 정권이 관원에게 어떠한 권한을 수여할 때, 그 관원에게 천자의 군정(軍政) 직권을 대행(혹은 천자를 대신해 지방을 순수)하는 것을 윤허한다는 상징물로써, 그 형태나 양식은 어떤 권력을 대표하느냐에 따라서 제각.

새로운!!: 주 무왕와 부절 · 더보기 »

기 (사성)

(杞, ? ~ 기원전 445년)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기 (사성) · 더보기 »

기자 (고조선)

자(箕子, ? ~ ?)는 중국 상나라 문정(文丁)의 아들, 왕족이자 기자조선의 시조로 알려져 있는 전설상의 인물이.

새로운!!: 주 무왕와 기자 (고조선) · 더보기 »

기자조선

자조선(箕子朝鮮)은 고조선의 왕조 중 하나인 고대 국가이.

새로운!!: 주 무왕와 기자조선 · 더보기 »

금등지사

등지사(金縢之詞)란 억울함이나 비밀스런 일이 있어 후세에 이를 밝혀 진실을 알게 하는 문서를 말. 금등문서, 금등문건, 금등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주 무왕와 금등지사 · 더보기 »

비렴

비렴(飛廉 또는 蜚廉)은 상나라 말기의 장군이며, 주왕의 충신이.

새로운!!: 주 무왕와 비렴 · 더보기 »

비간 (상나라)

봉신연의의 비간(왼쪽 그림) 비간(比干)은 상나라 후기의 현인이.

새로운!!: 주 무왕와 비간 (상나라) · 더보기 »

구미호

미호 (산해경) 구미호(九尾狐, Kumiho 또는 nine-tailed fox)는 동아시아에서 구전되는, 황금빛 털에 9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이.

새로운!!: 주 무왕와 구미호 · 더보기 »

구정 (중국)

유정(상하이 박물관) 구정(九鼎)은 고대 중국의 왕권의 상징이.

새로운!!: 주 무왕와 구정 (중국) · 더보기 »

등 (희성)

등(滕)은 중국 춘추 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등 (희성) · 더보기 »

뇌진자

자(雷震子)는 《봉신연의(封神演義)》에서 나오는 가공 인물로, 희창(姬昌)이 연산(燕山)에서 주운 100번째 아들이.

새로운!!: 주 무왕와 뇌진자 · 더보기 »

노 (춘추 전국)

원전 5세기의 중국: 노(魯)나라는 지도에서 Lu로 표시되어 있다 노나라(魯,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는 지금의 취푸시에 위치한 나라로, 주나라 무왕이 아우인 주공 단에게 내린 봉토를 그의 아들인 백금에게 다스리게 하던 제후국으로 주나라의 혈족국가이.

새로운!!: 주 무왕와 노 (춘추 전국)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주 무왕와 단군 · 더보기 »

달기

주왕과 달기(오른쪽) 달기()는, 중국 은(殷) 왕조 말기(기원전 11세기경)의 왕 제신(帝辛)의 총비(寵妃)였.

새로운!!: 주 무왕와 달기 · 더보기 »

담계 재

재(聃季载)는 중국 서주 초기의 인물로, 주 문왕의 10번째 아들이고, 주 무왕의 동복동생이.

새로운!!: 주 무왕와 담계 재 · 더보기 »

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주 무왕와 당 · 더보기 »

당숙 우

당숙 우(唐叔虞)는 서주 초기의 왕족으로, 주 무왕의 3남이며, 초대 진후.

새로운!!: 주 무왕와 당숙 우 · 더보기 »

우 (춘추, 邘)

우(邘)는 중국 서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우 (춘추, 邘) · 더보기 »

운 (춘추)

운(鄖, 서주 초기 ~ 춘추 시대)은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운 (춘추) · 더보기 »

자동기계

스위스 기계 박물관에 있는 자동 인형 자동기계 (自動機械) 또는 오토머튼(복수형은)은 스스로 작동하는 기계이.

새로운!!: 주 무왕와 자동기계 · 더보기 »

장안

장안중심고루유적 장안의 위치 장안에서 발굴된 한나라 시기의 유물 주대부터 청대까지의 시안. 회색은 주의 풍경과 호경, 파란색은 진의 함양과 아방궁, 분홍색은 한대 장안, 빨간색은 당대 장안, 보라색은 송대 경조부, 노란색은 명대 이후의 시안이다. 장안()은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에 해당.

새로운!!: 주 무왕와 장안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주 무왕와 이이 · 더보기 »

이종휘

이종휘(李鍾徽, 1731년 ~ 1797년)는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정철(李廷喆)이.

새로운!!: 주 무왕와 이종휘 · 더보기 »

응 (제후)

응(應, 䧹)은 중국 주나라 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응 (제후) · 더보기 »

제신

주왕 제신(帝辛)은 주(紂), 주신(紂辛), 주왕(紂王)이라 불리며, 은나라의 제31대 왕으로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제신 · 더보기 »

전한 폐제

제(漢廢帝) 또는 창읍왕 유하(昌邑王 劉賀)는 전한의 제9대 황제(재위 기원전 74년)이며 세종 무제의 서손자이자 창읍애왕 유박의 아들이.

새로운!!: 주 무왕와 전한 폐제 · 더보기 »

정봉시

정봉시(鄭鳳時, 1855년 양력 6월 5일 ~ 1937년 양력 12월 3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정봉시 · 더보기 »

조 (춘추)

조(曹,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487년)는 주(周)나라, 춘추전국시대에 걸쳐서 존재한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조 (춘추) · 더보기 »

조 (성씨)

조(趙, 曺, 租)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주 무왕와 조 (성씨) · 더보기 »

조숙 진탁

조숙 진탁(曹叔 振鐸)의 성은 희(姬), 이름은 진탁으로, 서주 문왕의 아들이자 서주 무왕의 동모제이.

새로운!!: 주 무왕와 조숙 진탁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주 무왕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주 (춘추 전국)

주(邾)는 중국 춘추 시대의 주(周)나라의 제후국으로, 국성은 조(曹)이며, 작위는 자작(子爵)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 (춘추 전국) · 더보기 »

주 (성씨)

주(朱, 周)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 (성씨) · 더보기 »

주 문왕

주 문왕 희창 주 문왕(周 文王)은 중국 상나라 말기 주(周) 씨족의 수령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 문왕 · 더보기 »

주 태왕

주 태왕(周 太王, ? ~ ?)은 중국 상나라의 제후국인 주(周)의 제후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 태왕 · 더보기 »

주 성왕

주 성왕(周 成王)은 주나라의 제2대 왕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 성왕 · 더보기 »

주공 단

주 문공 희단 주공 단(周公 旦)은 주나라의 정치가로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생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공 단 · 더보기 »

주나라

주(周,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나라는 상나라를 이어 중국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주나라 · 더보기 »

주나라 가계도

이 가계도는 주나라의 마지막왕 난왕이 주나라의 무왕이 후손임을 보인.

새로운!!: 주 무왕와 주나라 가계도 · 더보기 »

진 (규성)

(陳,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478년)은 중국 주나라 때 존속했던 제후국 중의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진 (규성) · 더보기 »

진 (희성)

(晉, 기원전 1042년 ~ 기원전 376년)은 주나라 무왕의 둘째 아들 당숙 우(唐叔虞)가 형인 성왕에게 삼감의 난이 평정된 이후 그 땅을 봉받아 세운 나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진 (희성) · 더보기 »

채 (춘추)

(蔡,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447년)는 주대에 중국에 존재한 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채 (춘추) · 더보기 »

채 (성씨)

(蔡, 菜, 采)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주 무왕와 채 (성씨) · 더보기 »

채숙 도

숙 도(蔡叔度)는 중국 서주 초기의 인물로, 주 무왕의 아우.

새로운!!: 주 무왕와 채숙 도 · 더보기 »

초 (춘추 전국)

기원전 300년의 초나라 장강 유역도 초(기원전 1042년 ~ 기원전 223년)는 현재의 후베이성이 있는 장강 중류 지역에서 일어난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나라이며, 춘추오패와 전국칠웅 중의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초 (춘추 전국)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유교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윤휴 · 더보기 »

패자

자(覇者, hegemon)는, 패권주의적 국제관계에서 그 패권을 쥔 자를 말. 보통 패자라 하면 중국의 춘추시대에 동주 왕조 하의 제후들 중에서 패권을 잡은 이를 일컬으며, 이들을 춘추오패(春秋五覇).

새로운!!: 주 무왕와 패자 · 더보기 »

위 (전국)

기원전 300년의 위나라 위(魏, 기원전 403년 ~ 기원전 225년)는 전국 시대의 칠웅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위 (전국) · 더보기 »

위 (춘추 전국)

위(衞,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209년)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자 춘추 전국 시대의 주요 국가들 중의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위 (춘추 전국) · 더보기 »

위 (성씨)

위(魏, 韋, 衛, 尉)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위 (성씨) · 더보기 »

위 강숙

위 강숙(衛 康叔)은 서주 시기 위나라의 제1대 군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위 강숙 · 더보기 »

상나라

상(商, 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6년경)나라는 역사적으로 실제로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최초의 중국 왕조이.

새로운!!: 주 무왕와 상나라 · 더보기 »

태사

사(太姒)는 주문왕의 부인이.

새로운!!: 주 무왕와 태사 · 더보기 »

탕 (상나라)

탕 탕(湯, 기원전 1600년경)은 상나라(商.

새로운!!: 주 무왕와 탕 (상나라) · 더보기 »

숙신

숙신(肅愼 영어: Sushen, 중국어: 肃慎, 병음: Sùshèn)은 주대(周代)에 중국의 동북 지방에 살던 동이인 퉁구스계 민족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주 무왕와 숙신 · 더보기 »

혁명

혁명(革命)은 권력이나 조직 구조의 갑작스런 변화를 의미.

새로운!!: 주 무왕와 혁명 · 더보기 »

오 (춘추)

오나라(吳, 기원전 ? - 기원전 473년)는 지금의 쑤저우(蘇州)에 위치한 나라로 주태왕의 장남 태백이 삼남인 계력에게 왕위를 양보하려고 차남인 중옹과 함께 장강남안으로 가서 건국한 나라로 주나라와는 혈족국가이.

새로운!!: 주 무왕와 오 (춘추) · 더보기 »

오래

오래(惡來) 또는 오래혁(惡來革)는 상나라 제신의 대신이.

새로운!!: 주 무왕와 오래 · 더보기 »

오대 (오대 십국)

오대(五代)는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중원에서 흥망한 다섯 왕조이.

새로운!!: 주 무왕와 오대 (오대 십국) · 더보기 »

양만춘

양만춘(梁萬春/楊萬春, ? ~ ?)은 고구려 말의 군인이.

새로운!!: 주 무왕와 양만춘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주 무왕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 (춘추 전국)

기원전 300년의 연나라 연나라(燕國)는 중국 춘추 시대의 주나라 제후국이자, 전국 시대의 전국 칠웅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연 (춘추 전국) · 더보기 »

허 (춘추)

(許, 기원전 1046년 ~ ?)나라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허 (춘추) · 더보기 »

허 문숙

문숙(許 文叔, 기원전 11세기 경)은 허나라의 제1대 남작(재위: 기원전 11세기 경)이.

새로운!!: 주 무왕와 허 문숙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주 무왕와 허목 · 더보기 »

풍호

풍호(豊鎬)는 중국의 옛 지명이며, 서주(西周)의 수도였.

새로운!!: 주 무왕와 풍호 · 더보기 »

산시성 (섬서성)

산시 성(섬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부에 위치한 성이.

새로운!!: 주 무왕와 산시성 (섬서성) · 더보기 »

삼감의 난

삼감의 난(三監-亂)은 주나라 초기에 상나라의 유민을 관할한 무경 녹보와 녹보의 감시 · 보좌를 맡은 삼감(三監) 관숙 선, 채숙 도 등이 서주 성왕을 보좌한 주공 단에 대항하여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주 무왕와 삼감의 난 · 더보기 »

성 (춘추)

성(郕)은 중국 춘추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성 (춘추) · 더보기 »

서경 (책)

《서경(書經)》은 중국 유교의 5경(五經)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이.

새로운!!: 주 무왕와 서경 (책) · 더보기 »

서주

서주(西周, 기원전 11세기~기원전 771년)는 수도를 시안에서 뤄양으로 옮기기 전의 주나라를 말. 주나라의 판도는 상나라보다 대폭 확대되어 황하 일대에 세력을 미. 또한 서쪽과 남쪽에 자리잡고 있었던 비한족들과 접촉.

새로운!!: 주 무왕와 서주 · 더보기 »

송 (춘추 전국)

송(宋)은 주나라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송 (춘추 전국) · 더보기 »

소 (기성)

소(蘇, ? ~ 기원전 650년) 또는 온(溫)은 중국 춘추 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소 (기성) · 더보기 »

소공 석

소공 석(召公 奭)은 서주의 정치가이자, 연나라와 소나라의 초대 군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소공 석 · 더보기 »

통천교주

통천교주(通天敎主)는 도교 신화에 등장하는 선인으로, 홍균노조(鴻鈞老祖) 밑에서 태상노군(太上老君), 원시천존(元始天尊)과 함께 수행을 받았.

새로운!!: 주 무왕와 통천교주 · 더보기 »

안양 시

안양(안양)은 중국 허난 성의 최북단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주 무왕와 안양 시 · 더보기 »

필 (춘추)

(畢)은 중국 춘추 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필 (춘추) · 더보기 »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새로운!!: 주 무왕와 신사임당 · 더보기 »

심 (춘추)

심나라(沈國, 기원전 1042년 ~ 기원전 506년)는 서주 왕조와 춘추 시대에 걸친 주나라의 제후국 중 하나이.

새로운!!: 주 무왕와 심 (춘추) · 더보기 »

십란

십란(十亂)은 주나라 무왕의 치세시의 나라를 다스린 능력 있는 신하 열 명을 칭하는 것으로써, 남송때의 사람인 왕응린이 편찬한 소학감주(小學紺珠)의 명신류(名臣類)에 따르면 각각 주공단(周公旦), 소공석(召公奭), 태공망(太公望), 필공(畢公), 영공(榮公), 대전(大顚), 굉요(閎夭), 산의생(散宜生), 남궁적(南宮適), 읍강(邑姜)을 뜻. 여기서의 란(亂)은 치(治)의 의미이.

새로운!!: 주 무왕와 십란 · 더보기 »

원 (춘추)

원(原, ? ~ ?)은 중국 춘추 시대의 제후국이.

새로운!!: 주 무왕와 원 (춘추) · 더보기 »

후작

후작(Marquis)은 귀족의 작위 중 하나로 오등작 중 2위의 지위이.

새로운!!: 주 무왕와 후작 · 더보기 »

후주

후주(後周, 951년 ~ 960년)는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五代) 최후의 왕조로서 후한(後漢)의 실력자였던 곽위(郭威)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주 무왕와 후주 · 더보기 »

웅역

웅역(熊繹)은 중국 초나라의 제1대 군주이.

새로운!!: 주 무왕와 웅역 · 더보기 »

황비호

봉신연의의 황비호(오른쪽 그림) 황비호(黃飛虎)는 《봉신연의(封神演義)》에서 나오는 가공 인물로, 상나라에 있을 당시에는 무성왕(武成王)으로 불리며 나라의 군사권을 장악해 재상과 태사에 버금갈 정도의 권력을 가졌.

새로운!!: 주 무왕와 황비호 · 더보기 »

왕자 조

왕자 조(王子 朝, ? ~ 기원전 505년)는 주나라의 비정통 왕(재위: 기원전 519년 ~ 기원전 516년)이.

새로운!!: 주 무왕와 왕자 조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주무왕, 서주 무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