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창덕궁 측우대

색인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는 본래 창덕궁 금문원(檎文院)에 설치되었던 측우대로, 직경 16.2cm, 길이 4.3cm의 구멍이 파여 그 안에 측우기를 앉혀 놓게 되어 있는 대(臺)이.

5 처지: 대구 선화당 측우대, 대한민국의 보물 (제801호 ~ 제900호), 국립고궁박물관, 측우기, 영녕릉.

대구 선화당 측우대

선화당 측우대(大邱 宣化堂 測雨臺)는 대구 감영의 선화당에 있던 측우대를 말.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

새로운!!: 창덕궁 측우대와 대구 선화당 측우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보물 (제801호 ~ 제900호)

보물 제1호 흥인지문 대한민국의 보물(大韓民國 寶物)은 목조 건축물, 석조 건축물, 전적류, 서적류, 고문서, 회화, 조각류, 공예품, 고고자료, 무구(巫具) 등 대한민국의 유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한 것을 국가에서 지정한 것이.

새로운!!: 창덕궁 측우대와 대한민국의 보물 (제801호 ~ 제900호) · 더보기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은 궁중유물의 연구·조사·수집·보관 및 전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창덕궁 측우대와 국립고궁박물관 · 더보기 »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

새로운!!: 창덕궁 측우대와 측우기 · 더보기 »

영녕릉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은 대한민국 사적 제195호로, 조선 제4대 세종과 그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능인 영릉(英陵)과 제17대 효종과 그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능인 영릉(寧陵)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창덕궁 측우대와 영녕릉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창덕궁측우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