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미 관계

색인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30 처지: 문재인 정부,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박정희, 보수주의, 김종훈 (1952년), 김채곤, 김현종,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미국의 주요인사 회담 목록,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국방백서,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 단발령, 이명박 정부, 이병렬 (1967년), 이정희 (1969년), 정태동 (외교관), 조미, 조선책략,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관 부대사, 양유찬, 허세욱 (1953년), 서재필, 한미, 한국 전쟁, 한표욱, 식량 농업 기구.

문재인 정부

문재인 정부(文在寅政府, 2017년 ~)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일곱 번째 대한민국 정부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문재인 정부 · 더보기 »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2018년 북미정상회담김정은 국무위원장(왼쪽),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미국(주황색)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초록색)의 위치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조미 관계(朝美關係), 북미 관계(北美關係)는 적대적이며 주로 한국 전쟁 기간 중에 발전하였.

새로운!!: 한미 관계와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박정희 · 더보기 »

보수주의

보수주의(保守主義, Conservatism)는 관습적인 전통 가치를 옹호하고, 기존 사회 체제의 유지와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정치이념을 말. 상대적으로 급격한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진보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가치로서의 보수는 현상 유지(status quo)를 하거나, 점진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 보수주의는 보수적 가치를 추구하는 수많은 방법 중의 하나일 뿐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보수주의 · 더보기 »

김종훈 (1952년)

종훈(金宗壎, 1952년 5월 5일 ~, 대구)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김종훈 (1952년) · 더보기 »

김채곤

(金采坤, 미국명: 로버트 김,, 1940년 1월 21일, 전남 여수 ~)은 미국의 전직 해군정보국 직원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김채곤 · 더보기 »

김현종

현종(金鉉宗, 1959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통상교섭본부장이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김현종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공화국

제4공화국(第四共和國)은 1972년 10월 유신으로 수립된 대한민국의 네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대한민국 제4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미국의 주요인사 회담 목록

음은 대한민국-미국 간에 이뤄진 주요 인사의 회담 목록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대한민국-미국의 주요인사 회담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1997년 12월 3일 ~ 2001년 8월 23일)은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이 IMF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사건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 더보기 »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right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민주 공화국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대한민국에 관한 문서 · 더보기 »

국방백서

국방백서(國防白書)는 국방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형태의 책자로, 국민들에게 국방정책을 알리기 위해서 2년에 한 번씩 발행하고 있.

새로운!!: 한미 관계와 국방백서 · 더보기 »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國際關係委員會傘下國際機構小委員會) 또는 일반적으로 프레이저 위원회()는 1976년 ~ 1977년 사이에 한미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미국 하원에서 열렸던 위원회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국제관계위원회 산하 국제기구소위원회 · 더보기 »

단발령

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단발령 · 더보기 »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李明博政府, 2008년 ~ 2013년) 또는 사용 빈도는 낮지만 별칭으로 실용 정부(實用政府)는 제6공화국의 다섯 번째 정부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이명박 정부 · 더보기 »

이병렬 (1967년)

이병렬(1967년 8월 10일 전북 정읍 ~ 2008년 6월 9일 서울 한강성심병원)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시민사회운동가, 노동운동가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이병렬 (1967년) · 더보기 »

이정희 (1969년)

이정희(李正姬, 1969년 12월 22일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이정희 (1969년) · 더보기 »

정태동 (외교관)

정태동(鄭泰東, 1937년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 공무원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정태동 (외교관) · 더보기 »

조미

조미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조미 · 더보기 »

조선책략

《조선책략》(朝鮮策略)은 일본 주재 청나라 공사관의 참사관으로 있던 청국인 황준헌(黃遵憲, 황쭌센)이 1880년경에 저술한 외교문제를 다룬 외교 방략서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조선책략 · 더보기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는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에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의 수장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 · 더보기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Chief of Mission Ambassador in Korea)는 1883년 5월 20일 루시어스 푸트 특명전권공사를 시작으로 하여, 격동의 대한민국 근대사와 현대사를 같이 지켜본 미합중국 국무부의 주한 대사관의 수장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주한 미국 대사 · 더보기 »

주한 미국 대사관 부대사

주한 미국 대사관 부대사 또는 주한 미국 대사관 공관차석은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관인 주한 미국 대사관 겸 영사관의 제2인자로 주한 미국 대사를 보좌하며 주한 미국 대사 부재시 그의 직무를 대행.

새로운!!: 한미 관계와 주한 미국 대사관 부대사 · 더보기 »

양유찬

양유찬 양유찬(梁裕燦, You Chan Yang, 1897년 - 1975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외교, 정치인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양유찬 · 더보기 »

허세욱 (1953년)

세욱(許世旭, 1953년 5월 9일 ~ 2007년 4월 15일)은 대한민국의 택시 운전사·시민사회운동가·노동운동가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허세욱 (1953년)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한미 관계와 서재필 · 더보기 »

한미

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미 관계와 한미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표욱

1954년 유엔총회에 참석한 한국 대표들. 왼쪽부터 양유찬, 한표욱, 변영태, 임병직 한표욱(韓豹頊, 1916년 8월 17일 - 2003년 8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외교관, 교육자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한표욱 · 더보기 »

식량 농업 기구

로마에 있는 식량 농업 기구 본부 건물 식량 농업 기구(食糧農業機構,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약칭 FAO)는 유엔 소속으로 인류의 영양 상태 및 생활 수준의 향상, 식량(농산물)의 생산 및 분배 능률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세계 식량 안보 및 농촌 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국제 기구이.

새로운!!: 한미 관계와 식량 농업 기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미국-대한민국 관계, 대한민국-미국 관계, 한미관계, 한미관계 갈등역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