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삼국 시대

색인 후삼국 시대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892년 ~ 936년)는 남북국 시대의 신라와 발해가 병립(竝立)하고 있을 때로, 892년 비장 견훤이 서남부의 무진주(현 광주)를 점령 후 왕이라 칭하지 않고 대신 개국공을 칭한 후부터 936년 고려의 왕건이 신라와 후백제를 정복해 통일하기까지의 시기를 가리.

96 처지: 능창, 동사강목, 동산원부인, 동아시아의 역사, 마진, 목포의 역사, 목포시, 무인시대 (드라마), 백두산, 발해, 발해-요 전쟁, 강정구 (1945년), 박술희, 박언창, 강씨 (후고구려), 격구, 견권, 경상도, 고려, 고려 태조, 고려 세조,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고려의 교육, 고려의 역사, 고려의 토지제도, 고전후 시대, 고창 전투, 공산 동수 전투, 광주광역시, 불멸의 이순신, 비산동 (구미시), 대명주원부인,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구미시, 군 (행정 구역), 군벌, 남북국 시대, 남북통일,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효공왕, 장 (성씨), 흥덕 장씨, 의성부원부인, 제왕운기, 정통론, 진도군, 진성여왕, 철원군, 청주남원부인, ..., 청주원부인, 팔관회, 팔두령, 탐라, 태봉, 태장동 (원주시), 태조 왕건 (드라마), 수달 (동음이의), 영남 지방, 오대 십국 시대, 최승우, 최지몽, 양근 함씨, 사벌주, 삼국, 삼국 시대,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유사, 삼한, 삼화사, 성불사 (황해도), 소사, 소안도, 통일신라, 함보, 한반도, 한국,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수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한국사의 시대 구분, 아시아의 역사, 신돈 (드라마), 신라, 신검, 신숭겸, 월경지, 후백제, 웅천주, 외왕내제, 화척, 왕규 (함규), 왕희순 (고려), 10세기, 93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6 더) »

능창

능창(能昌, ? ~ 910)은 후삼국시대(9後三國時代)의 서남해안(西南海安)을 장악했던 해상(海上)세력의 수장(水葬)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능창 · 더보기 »

동사강목

《동사강목》(東史綱目)은, 조선의 학자 안정복(安鼎福)이 저술한 강목체(綱目體) · 편년체(編年體) 역사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동사강목 · 더보기 »

동산원부인

동산원부인 박씨(東山院夫人 朴氏)는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후백제(後百濟)의 왕족(王族)으로, 태조(太祖)의 제17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동산원부인 · 더보기 »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동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마진

마진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마진 · 더보기 »

목포의 역사

선사 시대에 동검이 시 부근에서 출토된 점을 볼 때, 선사시대인들이 살았다고 추정하고 있. 백제 때 물아혜군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안군으로 개칭되었.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목포의 역사 · 더보기 »

목포시

목포시청 청사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 무안반도 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목포시 · 더보기 »

무인시대 (드라마)

《무인시대(武人時代)》는 무신정권기를 다룬 2003년 2월 8일부터 2004년 8월 15일까지 총 158부작으로 방영된 KBS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무인시대 (드라마) · 더보기 »

백두산

백두(白頭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경북도 혜산군 무산군 과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걸쳐있는 화산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백두산 · 더보기 »

발해

발해(渤海, 698년 ~ 926년)는 고구려 멸망 이후 고구려를 계승하여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발해 · 더보기 »

발해-요 전쟁

발해-요 전쟁 (渤海國-遼國 戰爭)은 9세기 선왕 이후 해동성국 발해가 쇠퇴하던 10세기 이후부터 세력을 팽창하던 거란과 발해와의 일련의 전쟁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발해-요 전쟁 · 더보기 »

강정구 (1945년)

강정구(姜禎求, 1945년 3월 18일 ~, 경상남도 창녕군 출생)는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통일운동가이며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역임하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강정구 (1945년) · 더보기 »

박술희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945년 10월 24일(음력 9월 16일))는 신라(新羅) 말기와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사람이며,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神)이다. 태조(太祖)의 측근 중의 한 사람이다.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高麗) 전기의 무신(武神)이자, 개국공신으로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시대의 문신 박제상(朴堤上)과 백결 선생(百結 先生)의 후손이다.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박술희 · 더보기 »

박언창

색 부분이 후사벌의 영토. 박언창(朴彦昌, ?년 - 929년)은 후삼국 시대때 신라의 제54대 군주인 경명왕의 5남이며, 후사벌국의 초대 국왕(917년 - 929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박언창 · 더보기 »

강씨 (후고구려)

강씨(康氏, ? ~915년)는 신라(新羅)말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 사람으로, 후고구려(後高句麗)(태봉국)의 왕비(王妃)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강씨 (후고구려)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격구 · 더보기 »

견권

(堅權)은 후삼국 시대 무장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견권 · 더보기 »

경상도

경상도 경상도(慶尙道)는 경상남도, 경상북도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영남 지방(嶺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경상도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세조

세조 왕륭(高麗 世祖 王隆, ? ~ 897년 5월)은 후삼국시대 후고구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 세조 · 더보기 »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민주연방공화국안(高麗民主聯邦共和國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제시한 통일 방법으로, 연방제 통일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 더보기 »

고려의 교육

의 교육은 고려 시대 동안 행해진 교육을 의미하며, 연대적으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의 교육 · 더보기 »

고려의 역사

이 문서는 고려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의 역사 · 더보기 »

고려의 토지제도

의 토지제도는 시기에 따라, 신분 또는 공역에 따라, 수조권자 또는 소유권자에 따라 차별을 두고 국가에서 지급하거나 소유권을 인정하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려의 토지제도 · 더보기 »

고전후 시대

전근대(Pre-Modern Era) 또는 고전후 시대(post-classical era), 고대후 시대(Post-Ancient Era)는 고대와 근세 사이의 시대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전후 시대 · 더보기 »

고창 전투

창 전투는 930년 신라 고창(현재 안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결전으로 927년 공산 동수 전투와 함께 후삼국 시대 중요한 전투로 꼽히며, 왕건이 승리해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고 후백제는 쇠.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고창 전투 · 더보기 »

공산 동수 전투

공산 동수 전투(公山 棟藪 戰鬪)는 후삼국 시대인 927년 신라 공산(公山, 현 팔공산) 동수(棟藪, 현 지묘동)에서 고려의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치른 전투로 견훤이 왕건군을 기습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고 이곳에서 신숭겸 등 8명의 장수가 전사해 지명이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바뀌었다는 설화도 있고 반야월 등 대구의 대표 지명들이 이 전투에서 생.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공산 동수 전투 · 더보기 »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남서부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광주광역시 · 더보기 »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 (不滅의 李舜臣)은 대한민국 KBS에서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까지 충무공 이순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불멸의 이순신 · 더보기 »

비산동 (구미시)

비산동(飛山洞)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중심부 북부에 위치한 동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비산동 (구미시) · 더보기 »

대명주원부인

명주원부인 왕씨(大溟州院夫人 王氏)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4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대명주원부인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구미시

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구미시 · 더보기 »

군 (행정 구역)

군(郡)은 행정 구역의 하나로, 대한민국의 군은 도 및 광역시의 하부 행정 구역이자 기초지방자치단체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군벌

일본 전국시대의 가장 강력한 군벌 중 하나였던 우에스기 켄신. 군벌(軍閥, warlord)은 군대의 상부층이 자기가 가진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부·의회에 대하여 상대적 독자성을 갖고 강대한 권력과 정치권력을 장악한 경우를 말. 무장한 군대를 갖추고 특정 지역을 군사적으로 지배하며, 일반적인 경우 군벌은 공식적인 지위에 비해 실질적으로 갖고 있는 권력이 훨씬.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군벌 · 더보기 »

남북국 시대

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698년는 1784년에 유득공에 의해 창조된 북부의 만주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의 건국 이후 남부의 한반도에 있는 신라와 공존하던 시대를 일컫는 역사 용어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남북국 시대 · 더보기 »

남북통일

통일된 한반도의 상징인 한반도기 2018년 3월 대북특사로 임명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김정은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6·15 남북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남북통일(南北統一) 또는 한국의 재통일()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두 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하나의 국가로 통일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남북통일 · 더보기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는 SBS에서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1월 1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더보기 »

효공왕

효공왕(孝恭王, ? ~ 912년 4월, 재위: 897년 음력 6월 1일 ~ 912년 4월)은 신라의 제52대 왕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효공왕 · 더보기 »

장 (성씨)

장(張, 章, 莊, 蔣)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장 (성씨) · 더보기 »

흥덕 장씨

흥덕 장씨(興德張氏) 또는 흥성 장씨(興城 張氏)는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흥덕 장씨 · 더보기 »

의성부원부인

의성부원부인 홍씨(義城府院夫人 洪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26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의성부원부인 · 더보기 »

제왕운기

《제왕운기》(帝王韻紀)는 고려 시대의 학자 이승휴(李承休)가 충렬왕 13년(1287년) 한국과 중국의 역사를 시로 쓴 역사책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제왕운기 · 더보기 »

정통론

정통론(正統論)은 이전 국가의 멸망과 새로운 국가의 창건을 통한 왕조나 정권의 교체가 있거나 한 국가 내의 혈연적·세력적 분열이 있는 경우, 기존의 국가가 가졌던 정당성을 어느 국가가 계승 또는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정치적·철학적 담론의 총체를 말. 정윤론(正閏論)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정통론 · 더보기 »

진도군

(珍島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 진도와 부속 섬을 관할하는 군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진도군 · 더보기 »

진성여왕

성여왕(眞聖女王, ? ~ 897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재위:887년 ~ 897년 음력 6월 1일)은 신라의 제51대 여왕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진성여왕 · 더보기 »

철원군

1932년~1945년의 철원군. 녹색선이 군사분계선이고 청색으로 표시된 3개면은 삭녕군에서 편입된 지역이다. 철원군(鐵原郡)은 강원도 중서부에 위치한 군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철원군 · 더보기 »

청주남원부인

청주남원부인 김씨(淸州南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제3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청주남원부인 · 더보기 »

청주원부인

청주원부인 김씨(淸州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제3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청주원부인 · 더보기 »

팔관회

회(八關會)는 신라 때 시작되어 고려 때까지 이어진 불교 의식(儀式)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팔관회 · 더보기 »

팔두령

령(八頭鈴)은 청동기 시대의 방울의 일종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팔두령 · 더보기 »

탐라

국(耽羅國, 기원전 2337년 ~ 1402년)은 제주도의 왕국이었.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탐라 · 더보기 »

태봉

봉(泰封)은 후삼국 시대를 구성하던 나라로, 901년에 궁예를 국왕으로 하고 송악(개성)을 도읍삼아 건국하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태봉 · 더보기 »

태장동 (원주시)

장동(台壯洞)은 대한민국의 강원도 원주시에 설치된 동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태장동 (원주시) · 더보기 »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KBS에서 후삼국시대부터 삼별초, 공민왕 시대까지 다룬 고려사 시리즈 중 첫 번째로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태조 왕건 (드라마) · 더보기 »

수달 (동음이의)

수달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수달 (동음이의)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최승우

승우(崔承祐, ? ~ ?)은 신라 말기의 문인이자, 후삼국의 하나인 후백제의 관료, 정치가, 문인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최승우 · 더보기 »

최지몽

몽(崔知夢, 906년 ~ 987년)은 고려의 관료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최지몽 · 더보기 »

양근 함씨

양근 함씨(楊根 咸氏)는 경기도 양평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양근 함씨 · 더보기 »

사벌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사벌주(沙伐州) 또는 상주(尙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사벌주 · 더보기 »

삼국

삼국(三國, "세 나라")는 맥락에 따라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국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국 시대의 문학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한

3세기 초 삼한의 형세 삼한(三韓)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에 자리 잡고 있던 연맹왕국인 마한(馬韓), 변한(弁韓), 진한(辰韓)을 통칭하는 말로, 청동기 시대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성립하였던 진국에 기원을 둔 것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한 · 더보기 »

삼화사

삼화사 가이드맵 삼화사(三和寺)는 강원도 동해시의 무릉계곡 입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유서 깊은 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삼화사 · 더보기 »

성불사 (황해도)

성불사(成佛寺)는 황해북도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성불사 (황해도) · 더보기 »

소사

소사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소사 · 더보기 »

소안도

소안도(所安島)는 대한민국 남해안의 섬으로,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에 속. 면적은 23.22 km2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소안도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함보

완안 함보(完顏函普, ?~?)는 복간수 완안부의 1대 추장으로 금나라 황실의 시조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함보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반도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의 반란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한국사의 시대 구분

국의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 구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대가 가지는 특징에 따라 여러 시기로 분류하여 지나간 시대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하여 역사 연구의 편의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한국사의 시대 구분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신돈 (드라마)

《신돈》(辛旽)은 문화방송에서 2005년 9월 24일부터 2006년 5월 7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신돈 (드라마)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신라 · 더보기 »

신검

신검(甄神劍,? ~ 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 재위: 935년 11월 15일(음력 10월 17일)~936년 9월 26일(음력 9월 8일?)은 후백제(後百濟)의 두 번째 왕이자 마지막 왕이다.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신검 · 더보기 »

신숭겸

신숭겸(申崇謙, 전라남도 곡성군 용산재, ? ~ 927년 9월?)은 후삼국시대 태봉 말기 및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궁예의 부장이었으나 918년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건국에 기여하였으며 927년 공산 전투에서 왕건의 갑옷을 바꾸어 입고 대신 전사하였.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신숭겸 · 더보기 »

월경지

(그림 1) C의 주권이 B에 속해 있으며, B의 경계를 넘어 존재하기 때문에 C는 B의 '''월경지'''이다. 이에 대해 C는 A의 영토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A의 '''위요지'''이다. (그림 2) C는 B의 월경지이지만, A와 D가 국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요지는 아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소토(빨강 부분)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월경지(越境地)는 특정 국가나 특정 행정구역에 속하면서 본토와는 떨어져, 주위를 다른 나라·행정구역 등에 둘러싸여 격리된 곳을 말. 월경지 외에 비지(飛地)·비입지(飛入地)·포령(包領) 등의 용어도 쓰인.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월경지 · 더보기 »

후백제

후백제(後百濟, 892년~936년)는 892년(신라 진성여왕 6년)에 백제의 부흥 운동을 시작으로 900년 견훤이 완산주(오늘날의 전주시)를 도읍으로 삼아 세운 나라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후백제 · 더보기 »

웅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웅천주(熊川州),또는 웅주(熊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웅천주 · 더보기 »

외왕내제

외왕내제(外王內帝)는 외부적으로는 국왕을 칭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이중 체제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외왕내제 · 더보기 »

화척

화척(禾尺)은 후삼국 시대로부터 고려 시대에 걸쳐 떠돌아다니면서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로서, 무자리, 양수척(楊水尺)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화척 · 더보기 »

왕규 (함규)

(咸規, 생년 미상 ~ 945년) 또는 왕규(王規)는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왕규 (함규) · 더보기 »

왕희순 (고려)

왕희순(王希順)은 신라(新羅)말 고려(高麗) 초기 사람으로 고려(高麗)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삼한벽상익찬공신(三韓壁上翊贊功臣) 2등이었.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왕희순 (고려) · 더보기 »

10세기

10세기는 901년부터 1000년까지이.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10세기 · 더보기 »

9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삼국 시대와 93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후삼국, 후삼국시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