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 처지: ㅎ, ㅆ, ㅕ, ㅅ계 합용 병서, ㅋ, 동사 (품사), 된소리와 예사소리, 무성 구개수 마찰음, 청음과 탁음, 유성음, 어간, 한글 낱자, 원각경언해, 훈민정음, 후음.
ㅎ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보다 ㆅ와 ㅎ
ㅆ
()은 한글 낱자의 ㅅ을 어울러 쓴 것이.
보다 ㆅ와 ㅆ
ㅕ
(여)는, 한글 낱자 중 18번째 글자이자 모음으로는 4번째 글자이.
보다 ㆅ와 ㅕ
ㅅ계 합용 병서
합용 병서(-系合用竝書)는 한글 겹낱자의 조합 원리 중 하나인 합용 병서 중 ㅅ으로 시작하는 겹낱자를 말하며, 등이 있. 모두 현재 사용되지 않고 있. 중세 한국어에서 ㅅ이 별도의 음가를 가졌는지 혹은 된소리를 표기하기 위한 것이었는지에 대하여는 논쟁이 있.
보다 ㆅ와 ㅅ계 합용 병서
ㅋ
(키읔)은 한글 닿소리 중 열한째 글자이.
보다 ㆅ와 ㅋ
동사 (품사)
동사(動詞, Verb) 또는 움직이는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품사이.
보다 ㆅ와 동사 (품사)
된소리와 예사소리
소리(경음, 硬音, fortis)와 예사소리(例事--, 연음, 軟音, lenis)는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
보다 ㆅ와 된소리와 예사소리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無聲口蓋垂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목젖에서 조음되는 무성 마찰음이.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보다 ㆅ와 청음과 탁음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보다 ㆅ와 유성음
어간
어간(語幹)은 문법에서 어형 변화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말. 분류:문법 분류:형태론.
보다 ㆅ와 어간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보다 ㆅ와 한글 낱자
원각경언해
250px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는 조선 세조 때 신미한계희 등이 《원각경(圓覺經)》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
보다 ㆅ와 원각경언해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보다 ㆅ와 훈민정음
후음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보다 ㆅ와 후음
또한 ㅎㅎ, 쌍히읗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