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0 처지: ㆆ, ㆅ, ㅎ, ㅇ, 된소리와 예사소리,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찰음, 무기음, 무성음, 반모음, 경구개음, 비강음, 당나라, 닿소리, 음성학, 중국어, 중국어 음운론, 유기음, 유음, 유성음, 파찰음, 파열음, 수나라, 오음 (음운학), 연구개음, 삼십육자모, 성문음, 한글 낱자, 훈민정음, 홀소리.
ㆆ
ㆆ(여린히읗, 된이응)은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 훈민정음에 따르면 ㆆ은 청탁의 구별에서 전청이고 조음 위치로는 목구멍소리로 설명하고 있어서 성문 파열음 으로 그 음가를 추정하고 있.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로 세조 때까지만 쓰였.
보다 후음와 ㆆ
ㆅ
ㆅ(쌍히읗)은 한글 낱자의 ㅎ을 거듭 쓴 것으로,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 한글 초성이.
보다 후음와 ㆅ
ㅎ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보다 후음와 ㅎ
ㅇ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보다 후음와 ㅇ
된소리와 예사소리
소리(경음, 硬音, fortis)와 예사소리(例事--, 연음, 軟音, lenis)는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기원전 18년경 – 서기 41년경)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어머니로 등장하는 갈릴래아의 나자렛 출신 유대인 여성이.
마찰음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
보다 후음와 마찰음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보다 후음와 무기음
무성음
무성음(無聲音,, voiceless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거나 유성음보다 덜 울리는 소리이며 안울림소리.
보다 후음와 무성음
반모음
반모음(半母音,; semiconsonant)은 /이, 우, 으/같은 모음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만 위턱 조음점과 아랫턱 조음체 사이에 만드는 틈이 좁고 지속 시간도 짧아서 자음의 자리에만 나오는 소리.
보다 후음와 반모음
경구개음
경구개음(硬口蓋音) 또는 센입천장소리는 전설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보다 후음와 경구개음
비강음
비강음 또는 비음()은 구강 안에서 폐쇄를 만들어 폐로부터 온 공기를 막았다가 연구개를 낮추어 공기의 일부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말. 조음적인 측면에선 폐쇄음이기도 한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
보다 후음와 비강음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보다 후음와 당나라
닿소리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후음와 닿소리
음성학
음성학(音聲學)은 사람의 말소리(와 수어에서 이와 관련 있는 요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보다 후음와 음성학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보다 후음와 중국어
중국어 음운론
음운학(音韻學; 성음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언어의 소리를 연구하는 전통적인 학문.
보다 후음와 중국어 음운론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보다 후음와 유기음
유음
유음(流音,liquid)은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을 적게 막아서 내는 닿소리이.
보다 후음와 유음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보다 후음와 유성음
파찰음
음(破擦音, Affricat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폐쇄를 형성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완전히 파열하지 않고 조금씩 개방해서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내는 소리.
보다 후음와 파찰음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보다 후음와 파열음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보다 후음와 수나라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보다 후음와 오음 (음운학)
연구개음
연구개음(軟口蓋音) 또는 여린입천장소리는 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보다 후음와 연구개음
삼십육자모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
보다 후음와 삼십육자모
성문음
성문음(聲門音) 또는 울대문소리는 성문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보다 후음와 성문음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보다 후음와 한글 낱자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보다 후음와 훈민정음
홀소리
홀소리(모음(母音), Vowel)는 음성학에서 자음과 차별되는 음운이.
보다 후음와 홀소리
또한 후두음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