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길랭-바레 증후군

색인 길랭-바레 증후군

랭-바레 증후군(길랭바레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 GBS) 또는 급성감염성다발신경염() 혹은 특발성다발신경근염은 말초신경계통의 손상으로 급격하게 근 무력이 시작되는 병이.

51 처지: 뎅기열, 리포 다당류, 말이집, 말초신경계통, 마비, 면역계, 면역글로불린 A, 면역글로불린 G, 백혈구, 보체, 부정맥, 근육통, 대마비, 대식세포, 뇌척수액, 뇌신경, , 운동실조, 슈반세포, 요통, 욕창, 자가면역질환, 자율신경계통, 장염, 폐렴, 폐색전증, 이산화 탄소, 인공호흡, 저림, 지카바이러스, 척수, 축삭, 육탄당, 패혈증, 파상풍, 위장출혈,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호흡 부전, 혈압, 연하곤란, 산소, 프랑스, 설사, 소두증, 소아마비, 항원 결정기, 심박수, 홍역, 활동전위, N-아세틸뉴라민산, ..., T세포.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 더) »

뎅기열

뎅기열()은 모기가 매개가 되는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에 의해 발병하는 전염병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뎅기열 · 더보기 »

리포 다당류

리포 다당류의 구조 리포 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내독소(內毒素, endotoxin)는 지질과 다당류(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O-항원, 외핵, 내핵으로 구성)로 구성되는 커다란 분자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리포 다당류 · 더보기 »

말이집

말이집(myelin sheath), 수초, 또는 미엘린은 주로 뉴런을 여러 겹으로 둘러싸고 있는 절연체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말이집 · 더보기 »

말초신경계통

선이 말초신경계를 나타낸다. 말초신경계통(末梢神經系統, 영어: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은 뇌나 척수의 중추 신경계에서 나와 온몸에 나뭇가지 모양으로 분포하는 신경계를 말. 말초신경계라고도 부른.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말초신경계통 · 더보기 »

마비

마비(痲痺, paralysis)는 하나 이상의 근육에 대한 근육 기능을 잃어버리는 상태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마비 · 더보기 »

면역계

탄저균(그림에서 주황색)을 섭식하고 있는 호중구(그림에서 노란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면역계(免疫系)는 생물체 내에서 병원체 등의 비자기 물질(외인성 항원, Exogenous antigen)이나 암세포 등의 비정상적인 세포를 인식하고 살균하여 생체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생물학적인 구조 및 과정을 의미.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면역계 · 더보기 »

면역글로불린 A

이합체형 IgA 1 H-사슬 2 L-사슬 3 J-사슬 4 분비형 요소 면역글로불린 A 혹은 IgA는 점막 면역에 주요 역할을 하는 항체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면역글로불린 A · 더보기 »

면역글로불린 G

면역글로불린 G(IgG)는 항체 개별형 중 하나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면역글로불린 G · 더보기 »

백혈구

백혈구 백혈구(白血球, leukocyte, White Blood Cell, WBC)는 혈액에서 적혈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을 일컫.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백혈구 · 더보기 »

보체

전교체, 교대적보체의 경로 보체(補體, complement system)는 생물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 작용과 식작용의 기능을 보완하는 물질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보체 · 더보기 »

부정맥

부정맥(不整脈, Cardiac dysrhythmia)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말. 심장은 어른은 1분에 60회 정도 규칙적으.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부정맥 · 더보기 »

근육통

육통(筋肉痛, myalgia)은 근육의 통증으로, 여러 질병과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근육통 · 더보기 »

대마비

마비(對痲痺, paraplegia) 또는 하반신마비(下半身痲痺)는 하반신이 운동 마비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 분류:장애 분류:외상학 분류:신경 질환 분류: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성 증후군.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대마비 · 더보기 »

대식세포

의 대식세포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는 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한 세포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대식세포 · 더보기 »

뇌척수액

척수액의 맥동을 보여주는 MRI 사진 뇌척수액은 뇌와 척수 주위의 거미막밑 공간을 순환한다. 뇌실계통 뇌척수액(腦脊髓液, cerebrospinal fluid, CSF)은 수액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뇌척수액 · 더보기 »

뇌신경

신경 뇌신경(腦神經)은 뇌로부터 바로 나오는 신경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뇌신경 · 더보기 »

은 정온 동물의 피부에 있는 땀샘에서 분비되는 배설물 중 하나로,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땀 · 더보기 »

운동실조

운동실조(運動失調, ataxia) 또는 운동실조증(運動失調症)는 보행 이상을 포함한 자율 근육 운동 협응이 부족한 신경학적 징후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운동실조 · 더보기 »

슈반세포

말초신경계에는 위성세포와 슈반세포가 있다. 슈반세포(Schwann cell, 생리학자 테오도어 슈반의 이름을 땀) 혹은 신경초세포(neurolemmocyte)는 말초신경계의 기본적인 신경교세포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슈반세포 · 더보기 »

요통

요통(腰痛, low back pain, LBP, lower back pain, lumbago) 또는 요통증(腰痛症)은 등의 근골격계 질병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요통 · 더보기 »

욕창

욕창(蓐瘡, bedsore, decubitus)은 피부 및 피부 아래 조직에 가해지는 그 아래 뼈로 인한 압력 또는 그 압력과 조합된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국소적 부상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욕창 · 더보기 »

자가면역질환

자가 면역 질환(自家免疫疾患, autoimmune disease)은 자가 면역으로 나타나는 질병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자가면역질환 · 더보기 »

자율신경계통

자율신경계 모식도. 붉은 선이 교감신경, 푸른 선이 부교감신경을 나타낸다.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는 말초신경계통에 속하는 신경계로 평활근과 심근, 외분비샘과 일부 내분비샘을 통제하여 동물 내부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자율신경계통 · 더보기 »

장염

장염(腸炎, gastroenteritis)이란 장(소장, 대장)에 염증이 생기는 모든 질병을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로, 크게 세균성 장염과 바이러스성 장염으로 분. 대부분의 경우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구분이 어렵.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장염 · 더보기 »

폐렴

(肺炎)은 폐에 염증이 일어나는 반응을 말. 원인으로는 세균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으며, 바이러스, 균류, 또는 기타 미생물도 원인이 될 수가 있. 드물게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적인 화학 물질을 흡입해 발생.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폐렴 · 더보기 »

폐색전증

색전증(肺塞栓症)은 폐에 생기는 병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폐색전증 · 더보기 »

이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의 구조 이산화 탄소(二酸化炭素)는 탄소 원자 하나에 산소 원자 둘이 결합한 화합물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이산화 탄소 · 더보기 »

인공호흡

인공호흡(人工呼吸, mechanical ventilation)은 자발적인 호흡을 기계적으로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수단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인공호흡 · 더보기 »

저림

저림(paresthesia)은 마비의 한 종류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저림 · 더보기 »

지카바이러스

바이러스()는 플라비 바이러스과와 플라비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숲모기를 통해 전염.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지카바이러스 · 더보기 »

척수

척수 척수(脊髓)는 뇌와 연결되어 있고, 척추 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의 일부분으로 감각, 운동신경들이 모.뇌와 척수의 내부 구조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으나 그 경계에서는 서서히 이행해가서 명확한 경계는 없. 척수는 100만개의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위쪽 부분은 호흡과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중간과 아래부분은 몸통과 다리의 움직임, 성기능을 조절.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척수 · 더보기 »

축삭

축삭돌기(軸索突起)란 신경 세포(뉴런)의 세포체에서 길게 뻗어나온 가지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축삭 · 더보기 »

육탄당

육탄당(六炭糖, 헥소스)는 6개의 탄소 원자가 포함된 단당류이며, 화학식은 C6H12O6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육탄당 · 더보기 »

패혈증

혈증(敗血症)이란 인체에 침입한 세균에 혈액이 감염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을 의미.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패혈증 · 더보기 »

파상풍

상풍으로 인한 근육 경련. 파상풍(破傷風)은 파상풍균이 만드는 독소 때문에 생기는 급성 감염성 질환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파상풍 · 더보기 »

위장출혈

위장출혈(胃腸出血, gastrointestinal bleeding, GI bleed, gastrointestinal hemorrhage)은 입에서 직장으로까지 이어지는 위장관 내의 모든 형태의 출혈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위장출혈 · 더보기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는 RNA 바이러스의 한 과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더보기 »

호흡 부전

호흡 부전(呼吸不全, respiratory failure)은 의학에서 호흡계통에 의한 부적절한 가스 교환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호흡 부전 · 더보기 »

혈압

혈압계. 동맥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혈압(血壓)은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액이 혈관의 벽에 주는 압력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혈압 · 더보기 »

연하곤란

연하곤란(嚥下困難, dysphagia)은 음식물이 구강에서 식도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생겨 음식을 원활히 섭취할 수 없는 증상을 의미.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연하곤란 · 더보기 »

산소

산소(酸素←)는 화학 원소의 하나로, 원소 기호는 O(←)이고 원자 번호는 8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산소 · 더보기 »

프랑스

랑스 공화국() 또는 프랑스()는 서유럽의 본토와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를 비롯해 여러 대륙에 걸쳐 있는 해외 레지옹과 해외 영토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유럽 연합 소속 국가 중 가장 영토가 넓. 수도는 파리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프랑스 · 더보기 »

설사

브리스톨 대변 도표 설사(泄瀉, diarrhea)는 약리학에서 액체가 섞인 배변이나 잦은 손실을 일컫.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설사 · 더보기 »

소두증

소두증(小頭症) 또는 작은머리증(-症)은 신경 발달 장애의 하나이며, 중요한 신경계장애의 징후이나, 정해진 정의는 없. 소두증은 통상 머리둘레가 나이와 성별의 평균에 비해 2표준편차 이상 낮은 경우로 정의.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소두증 · 더보기 »

소아마비

소아마비(小兒痲痺, poliomyelitis)는 폴리오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소아마비 · 더보기 »

항원 결정기

항체(Antibody)의 항원결합부위(노란색)과 항원(Antigen)의 항원결정기(노란색)가 결합하는 모습 항원결정기(epitope 또는 antigenic determinant)는 항체, B세포, T세포등의 면역계가 항원을 식별하게 해 주는 항원의 특정한 부분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항원 결정기 · 더보기 »

심박수

심장의 자동 신경 자극 전달. 심박수(心搏數, 심박)는 단위시간당 심장박동의 수로 일반적으로 분당 맥의 수(beats per minute, bpm)로 표현되는 숫자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심박수 · 더보기 »

홍역

홍역(紅疫, measles)은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ixovirus)과에 속하는 홍역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홍역 · 더보기 »

활동전위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活動電位)는 근육·신경 등 흥분성 세포의 흥분에 의한 세포막의 일시적인 전위변화를 가리키며 동작전위(動作電位). 세포막에 존재하는 나트륨·칼륨 등의 여러 이온 펌프의 활동에 의해 세포 안팎의 이온 조성은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이온 조성차로 세포막 안쪽이 60∼90 mV의 음전위(정지전위)를.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활동전위 · 더보기 »

N-아세틸뉴라민산

N-아세틸뉴라민산()는 포유동물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주된 시알산이고, 약자로는 Neu5Ac 또는 NANA.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N-아세틸뉴라민산 · 더보기 »

T세포

혈구의 전자현미경 사진.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세포가 T세포이다. T세포(T細胞, T cell) 또는 T림프구(T lymphocyte)는 항원 특이적인 적응 면역을 주관하는 림프구의 하나이.

새로운!!: 길랭-바레 증후군와 T세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AIDP, 귈랑-바레 증후군, 길레안바레 증후군, 길리안바레 증후군, 길랭 바레 증후군, 길랭-바레증후군, 길랭바레 증후군, 길랭바레증후군, 길랑 바레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 길랑바레 증후군, 길랑바레증후군, 급성특발다발신경염, 급성특발여러신경염.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