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국광

색인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117 처지: 도승지, 도사, 명나라, 감찰, 경국대전, 경상남도, 경연, 과거제, 병조, 계유정난, 광산 김씨, 봉상시, 불천위, 길주군, 김명윤, 김개, 김겸광, 김계휘, 김장생, 대광보국숭록대부, 대한민국, 교리, 국조보감, 노사신, 우의정, 우찬성, 우참찬, 승문원, 승정원, 장령, 이시애의 난, 의정부, 의영고, 전라도, 정인지, 조선, 조선 덕종, 조선 중종, 조선 예종,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좌의정, 좌익공신, 좌찬성, 좌참찬, 주부, 지평, 충청도, 충청남도, 춘추관, ..., 추증, 판관, 영의정, 영중추부사, 오위, 호조, 최항, 어세공, 여진, 사간원, 사은사, 사헌부, 성균관, 성수침, 성혼, 서울특별시, 함경도, 함안군, 한명회, 한계희, 신숙주, 원종공신, 원상, 홍문관, 황희, 황치신, 황수신, 황해도, 10월, 11월 11일, 12월, 1373년, 1393년, 1415년, 1436년, 1438년, 1441년, 1445년, 1447년, 1448년, 1449년, 1452년, 1453년, 1455년, 1457년, 1458년, 1460년, 1464년, 1465년, 1466년, 1467년, 1468년, 1469년, 1470년, 1471년, 1476년, 1477년, 1478년, 1480년, 1481년, 1496년, 2월, 4월, 5월, 5월 12일, 6월, 8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7 더) »

도승지

승지(都承旨)는 조선의 정3품 당상관직으로 도령(都令)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김국광와 도승지 · 더보기 »

도사

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

새로운!!: 김국광와 도사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김국광와 명나라 · 더보기 »

감찰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국광와 감찰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김국광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국광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김국광와 경연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김국광와 과거제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병조 · 더보기 »

계유정난

유정난(癸酉靖難)은 1453년(단종 1)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김종서와 황보인과 세종의 여러 대군들을 귀양보내거나 제가하며 마지막으로 단종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을 말.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계유정난이.

새로운!!: 김국광와 계유정난 · 더보기 »

광산 김씨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국광와 광산 김씨 · 더보기 »

봉상시

봉상시(奉常寺)는 조선의 행정기관으로 국가의 제사와 시호 등을 맡아보던 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봉상시 · 더보기 »

불천위

불천위(不遷位)란 국가공신 혹은 덕망이 높은 자를 나라에서 정하여 제사를 지낼수 있도록 허락한 것으로서, 조선초기 개국공신부터 후기까지의 덕망높은 자들이 선정되었.

새로운!!: 김국광와 불천위 · 더보기 »

길주군

주군(吉州郡)은 함경북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김국광와 길주군 · 더보기 »

김명윤

명윤(金命潤, 1924년 5월 3일 ~ 2016년 2월 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김국광와 김명윤 · 더보기 »

김개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국광와 김개 · 더보기 »

김겸광

광(金謙光, 1419년 ~ 149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김겸광 · 더보기 »

김계휘

휘(金繼輝, 1526년 ~ 1582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김계휘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김장생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김국광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김국광와 대한민국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김국광와 교리 · 더보기 »

국조보감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국조보감》 《국조보감》(國朝寶鑑)은 조선의 역대 임금들의 정치 활동 가운데서 모범이 될 만한 사실을 뽑아 적은 편년체의 역사책이.

새로운!!: 김국광와 국조보감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김국광와 노사신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김국광와 우의정 · 더보기 »

우찬성

우찬성(右贊成)은 종1품 숭정대부와 숭록대부에 해당되는 조선 시대의 관직이.

새로운!!: 김국광와 우찬성 · 더보기 »

우참찬

우참찬(右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정헌대부 또는 자헌대부로 정원은 1명이.

새로운!!: 김국광와 우참찬 · 더보기 »

승문원

승문원 (承文院)은 조선 시대, 외교에 관한 문서를 맡은 관청이.

새로운!!: 김국광와 승문원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승정원 · 더보기 »

장령

장령(掌令)은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김국광와 장령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김국광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의정부 · 더보기 »

의영고

의영고(義盈庫)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기름, 꿀, 황랍(黃蠟), 소물(素物), 후추 등의 물품의 관리를 맡던 관청이다. 1392년 7월 설치되어 1882년 폐지되었다. 과잉 징수나 남용 등 폐단이 많기도 했다. 분류:조선의 행정기관.

새로운!!: 김국광와 의영고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김국광와 전라도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국광와 정인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예종

예종(睿宗,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 1469년 12월 31일(음력 11월 28일), 재위 1468년~1469년)은 조선의 제8대 임금이.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예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김국광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김국광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익공신

좌익공신(佐翼功臣)은 1455년 세조의 즉위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로, 그 해 9월 5일 처음 발표되었.

새로운!!: 김국광와 좌익공신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새로운!!: 김국광와 좌찬성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김국광와 좌참찬 · 더보기 »

주부

주부(主婦)는 일반적으로 가사 · 육아를 주로하는 기혼 여성을 말.

새로운!!: 김국광와 주부 · 더보기 »

지평

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국광와 지평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김국광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국광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춘추관

(春秋館)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청이.

새로운!!: 김국광와 춘추관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김국광와 추증 · 더보기 »

판관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국광와 판관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김국광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중추부사

영중추부사는 조선시대 중추부에 두었던 정1품 관직이.

새로운!!: 김국광와 영중추부사 · 더보기 »

오위

오위(五衛)는 조선시대 중앙군으로 세조 3년(1457년) 삼군부를 5위로 개편하고 5위진무소가 이를 총괄케 했는데 그 후 5위진무소(五衛鎭撫所)는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되었.

새로운!!: 김국광와 오위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호조 · 더보기 »

최항

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국광와 최항 · 더보기 »

어세공

어세공(魚世恭, 1432년 ~ 148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어세공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김국광와 여진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사간원 · 더보기 »

사은사

사은사란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사은사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사헌부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김국광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국광와 성수침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국광와 성혼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김국광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김국광와 함경도 · 더보기 »

함안군

안군(咸安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군이.

새로운!!: 김국광와 함안군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김국광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계희

희(韓繼禧, 1423년 ~ 1482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김국광와 한계희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국광와 신숙주 · 더보기 »

원종공신

원종공신(原從功臣, 元從功臣)은 각 공신녹권 중 친공신(직접적인 공신)의 아래로, 보조적인 역할을 한 공신이었.

새로운!!: 김국광와 원종공신 · 더보기 »

원상

원상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김국광와 원상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김국광와 홍문관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김국광와 황희 · 더보기 »

황치신

황치신(黃致身, 1397년 ~ 148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국광와 황치신 · 더보기 »

황수신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새로운!!: 김국광와 황수신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새로운!!: 김국광와 황해도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김국광와 10월 · 더보기 »

11월 11일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국광와 11월 11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김국광와 12월 · 더보기 »

13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373년 · 더보기 »

13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393년 · 더보기 »

14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15년 · 더보기 »

14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36년 · 더보기 »

143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38년 · 더보기 »

14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41년 · 더보기 »

14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45년 · 더보기 »

14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47년 · 더보기 »

144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48년 · 더보기 »

14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49년 · 더보기 »

1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52년 · 더보기 »

1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53년 · 더보기 »

14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55년 · 더보기 »

14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57년 · 더보기 »

14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58년 · 더보기 »

14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0년 · 더보기 »

14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4년 · 더보기 »

14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5년 · 더보기 »

14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6년 · 더보기 »

14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7년 · 더보기 »

14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8년 · 더보기 »

14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69년 · 더보기 »

14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70년 · 더보기 »

14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71년 · 더보기 »

147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76년 · 더보기 »

147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77년 · 더보기 »

147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78년 · 더보기 »

148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80년 · 더보기 »

148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81년 · 더보기 »

14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국광와 1496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김국광와 2월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김국광와 4월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김국광와 5월 · 더보기 »

5월 12일

5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2번째(윤년일 경우 13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국광와 5월 12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김국광와 6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김국광와 8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서석 김국광.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