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중종

색인 김중종

중종(金中鐘, 1926년 음력 4월 2일(5월 3일) ~ 2009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이.

36 처지: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경북대학교, 경상북도, 검사, 비전향 장기수, 김종필, 대법원, 대구사범학교 (1923년), 대한민국, 남조선로동당, 평양직할시, 음력 4월 2일, 조국통일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좌익, 언어학, 서대문형무소, 서울특별시, 한국 전쟁, 한국어, 안동시, 황태성, 10월 20일, 1926년, 1946년, 1952년, 1953년, 1961년, 1989년, 2000년, 2003년, 2009년, 5·16 군사 정변, 5월 3일, 9월 2일.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은 1953년 박헌영과 리승엽을 비롯한 남로당 계열의 거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인들이 미국의 간첩으로서 정부 전복을 음모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최고재판소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이.

새로운!!: 김중종와 박헌영 리승엽 간첩 사건 · 더보기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는 1946년 5월 28일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으로 개교한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이며, 대구광역시를 거점으로 하는 국립 대학이.

새로운!!: 김중종와 경북대학교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중종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검사

사(檢事, prosecutor)는 범죄자에 대하여 법원에 기소 및 공소유지를 담당.

새로운!!: 김중종와 검사 · 더보기 »

비전향 장기수

비전향 장기수(非轉向 長期囚)는 사회주의 사상이나 공산주의 사상을 포기하지 않고 대한민국의 감옥에서 장기간 생활한 자생적 게릴라, 조선인민군 포로와 남파 간첩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김중종와 비전향 장기수 · 더보기 »

김종필

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 ~ 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김중종와 김종필 · 더보기 »

대법원

법원(大法院)은 사법부의 최고 기관이.

새로운!!: 김중종와 대법원 · 더보기 »

대구사범학교 (1923년)

1930년대 엽서의 대구사범학교 모습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는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교원양성 학교이.

새로운!!: 김중종와 대구사범학교 (1923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김중종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줄여서 남로당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공산주의 정당이.

새로운!!: 김중종와 남조선로동당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김중종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음력 4월 2일

음력 4월 2일은 음력 4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김중종와 음력 4월 2일 · 더보기 »

조국통일상

조국통일상(祖國統一賞)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수여하는 상이.

새로운!!: 김중종와 조국통일상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김중종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군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김중종와 조선인민군 · 더보기 »

좌익

좌익(左翼) 또는 좌파(左派)는 정치적 성향 분포에서 우익 또는 우파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회적 평등 또는 평등주의를 지지하거나 수용하고 사회적 계급과 사회적 불평등에 반대하는 활동 또는 정치적 입장을 말.Lukes, Steven.

새로운!!: 김중종와 좌익 · 더보기 »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김중종와 언어학 · 더보기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 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대문 감옥(西大門監獄)은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이.

새로운!!: 김중종와 서대문형무소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김중종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김중종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김중종와 한국어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김중종와 안동시 · 더보기 »

황태성

황태성(黃太成, 초명은 黃泰成, 1906년 4월 27일 ~ 1963년 12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이며 前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역성 부상으로 일명 황대용(黃大用)이라고도 불리었.

새로운!!: 김중종와 황태성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중종와 10월 20일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26년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46년 · 더보기 »

1952년

195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52년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53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61년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1989년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김중종와 2000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2003년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중종와 2009년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김중종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중종와 5월 3일 · 더보기 »

9월 2일

9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5번째(윤년일 경우 2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중종와 9월 2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