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홍욱

색인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47 처지: 민회빈 강씨, 경주 김씨, 경안군, 병자호란, 관찰사, 김자점, 김정희, 김집 (1574년), 김육, 대동법, 남인, 이조, 음성, 정순왕후, 조지운, 조선,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영조, 진사, 청나라, 충청도, 충청북도, 추증, 생원, 예문관, 사간원, 사헌부, 성균관, 성암서원, 서인, 소현세자, 한성부, 홍문관, 홍우원, 1602년, 1624년, 1635년, 1636년, 1645년, 1648년, 1651년, 1654년, 1655년, 1718년, 1721년, 6월 17일.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새로운!!: 김홍욱와 민회빈 강씨 · 더보기 »

경주 김씨

경주 김씨(慶州 金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김홍욱와 경주 김씨 · 더보기 »

경안군

경안군 이회(慶安君 李檜, 1644년 10월 5일 ~ 1665년 9월 22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소현세자와 민회빈 강씨의 3남이.

새로운!!: 김홍욱와 경안군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홍욱와 병자호란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새로운!!: 김홍욱와 관찰사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김홍욱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김홍욱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홍욱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김홍욱와 김육 · 더보기 »

대동법

동법(大同法)은 조선 중기인 광해군-숙종 시기에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이.

새로운!!: 김홍욱와 대동법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김홍욱와 남인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홍욱와 이조 · 더보기 »

음성

성대의 구조 음성(音聲)은 사람이 발성 기관을 통해서 내는 소리를 뜻. 목소리.

새로운!!: 김홍욱와 음성 · 더보기 »

정순왕후

정순왕후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김홍욱와 정순왕후 · 더보기 »

조지운

조지운(趙之耘, 1637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화가이.

새로운!!: 김홍욱와 조지운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홍욱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김홍욱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김홍욱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김홍욱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김홍욱와 진사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김홍욱와 청나라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김홍욱와 충청도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새로운!!: 김홍욱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김홍욱와 추증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새로운!!: 김홍욱와 생원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김홍욱와 예문관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김홍욱와 사간원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홍욱와 사헌부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김홍욱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암서원

성암서원(聖岩書院)은 충청남도 서산시 읍내동에 있는 유숙과 김홍욱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

새로운!!: 김홍욱와 성암서원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김홍욱와 서인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김홍욱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홍욱와 한성부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김홍욱와 홍문관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김홍욱와 홍우원 · 더보기 »

1602년

16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02년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24년 · 더보기 »

1635년

163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35년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36년 · 더보기 »

1645년

164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45년 · 더보기 »

1648년

164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48년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51년 · 더보기 »

1654년

165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54년 · 더보기 »

1655년

165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655년 · 더보기 »

1718년

171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718년 · 더보기 »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홍욱와 1721년 · 더보기 »

6월 17일

6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8번째(윤년일 경우 16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홍욱와 6월 17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홍욱 (문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